학술논문
기억과 망각의 서사로서의 만주 배경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 읽기
이용수 40
- 영문명
- A Reading of Historical Novel Against Manchuria as a Description of the Memory and Oblivion in the 17th Century : focused on Choicheok-Jeon[崔陟傳]·Gangno-Jeon[姜虜傳]·Kimyoungcheol-Jeon[金英哲傳]
- 발행기관
- 개인저작물
- 저자명
- 이민희
- 간행물 정보
- 『개인저작물 - 사회』11집, 209~24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7세기 초 만주 일대에서 후금과 명, 그리고 조선이 군사적으로 충돌했다. 이때 강홍립의 군대가 명나라 군을 지원하기 위해 출정했다가 후금에 투항한 소위 ‘심하(沈河)의 원정’이 일어났다.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화 속에서 백성들은 전란의 고통과 이산의 슬픔을 처절히 맛보았고, 그러한 체험담이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 작품에 고스란히 투영되어 나타났다. 그 대표적인 작품이 「최척전(崔陟傳)」·「강로전(姜虜傳)」·「김영철전(金英哲傳)」 등이다. 본고에서는 이 세 작품에 담긴 전란 서사 속 고통과 분노의 시선을 의도성 문제로 접근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 나타난 기억과 망각의 존재양상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눠 살펴보았다. 즉, (가)서사에서 의도적으로 기억해낸 역사(체험담/이념적 변형), (나)서사에서 의도적으로 망각시킨 역사(시대·사회에 대한 불만과 비판), (다)서사에서 의도하지 않았지만 기억된 역사(리얼리티 획득을 통한 자료의 간접적 복원), (라)서사에서 의도하지 않았지만 망각된 역사(상상·서사적 독법이 요구되는 사건·사실)등으로 대별해 작품에 투영한 서사의 진실 문제를 다루고자 했다.이 중 의도하지 않았지만 기억되거나(다)망각된(라)역사와 리얼리티는 작품의 새로운 의미와 가치 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새로운 독법을 요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서사속 의도된 기억과 망각의 주체는 개인적, 또는 집단적일 수 있지만, 비의도적 요소는 작가의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독자의 소관이라 보았다. 이는 분명 역사가가 역사적 사건을 바라보고 재구성하는 시각과는 다른 접근 방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후대에 특정 사회가, 작가와 독자가, 그 전란을 기억해 내고 싶어하거나 망각하고 싶어하는 방향으로 역사적 인물과 사건의 의미와 이미지를 결정짓고 그것에 따라 서사라는 겉모습을 만들어 내면, 그것이 결국 하나의 실체요 진실인 양 바뀌기 쉽다. 이러한 사고(의식)의 균열 지점이 이전과 현저히 다르게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 바로 17세기였고, 특별히 명·청 교체기에 만주를 중심으로 한 ‘심하의 원정’과 포로 생활기를 다룬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Imran(壬亂) and Byeongran(丙亂) in the 17th century arose, and so-called ‘Simha(沈河) Expedition’ which General Ganghongrip(姜弘立) surrendered to the Hugeum(後金) military, also broke out in the same period. East Asia’s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and suffering of the people dispersed in historical novels was described actually against Manchuria in the 17th century. The representative works are Choicheokjeon(崔陟傳)․Gangrojeon(姜虜傳)․Kimyoungcheoljeon(金英哲傳) and the like. This paper tried to approach in a aspect of history writing problem, and of pain and anger caused by war, contained in these three works.
For this 17th-century historical novel in the war appeared in the presence of memory and oblivion divided into four main aspects. That is, (a) history which was memorized intentionally in narrative(experiences/ideological transformation), (b) history intentionally forgot in narrative(age, social discontent and criticism on), (c) history which unintentionally memorized in narrative(the restoration of the data indirectly through the acquisition of reality), (d) history which unintentionally forgotten in the narrative( which requires imagination, historical reading method). Those four main aspects of memory and oblivion in historical novel due to the projection of work you want to deal with the truth of the narrative. History and reality that unintentionally memorized and forgot can be capable of creating new meaning and value of new reading. The subject of memory and oblivion in a narrative can be intended for your personal, or group, but unintentional factors beyond the realm of the artis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reader.
It is important that we have to understand how to be described unintentional memory and forgetting for history in historical novel against manchuria in the 17th Century.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 나타난 기억과 망각
3.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 나타난 기억과 망각의 존재 양상
4.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 나타난 비의도적 기억과 망각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자로서의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에 관한 종합적 고찰
- 재미있는 고소설 교육을 위한 실천적 수업활동의 실제
- 전란을 기억하는 한 방식으로서의 ‘극적 표현’과 전란 서사의 의미
- 유럽에서의 한국학 연구 동향 및 방향
- 18~19세기 미국의 세책(貰冊) 문화 연구
- 18세기 후반 서적유통 및 세책(貰冊) 문화 비교 연구(Ⅰ)
-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 저작물에 관한 기초 연구
- 가람 이병기와 서지학
- 18세기 말~19세기 천주교 서적 유통과 국문 독서문화의 상관성 연구
- 조선후기 이야기 연행의 양상과 실제(Ⅰ)
- 고소설 등장인물의 결연(結緣) 및 생존 적응 논리 연구
- 애정 전기(傳奇)의 소설화 과정에 대한 일고(一考)
- 「천군전(天君傳)」 장르 규정 및 명명(命名)에 관한 제언
- 김유정 개작 「홍길동전」(1935) 연구
- 박지원의 『열하일기』와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 비교 연구
- 한남서림 간행 신작 구소설 『창송녹죽(蒼松綠竹)』 작품 해제
- 20세기 초 외국인 기록물을 통해 본 고소설 이해 및 향유의 실제
- 수학 기호(개념)를 활용한 고소설 주제교육 연구 시론(試論)
- 리투아니아 전통종교 로무바(Romuva)와 요례(Jorė) 축제 연구
- 사운드 아트 관점에서 보는 백남준의 작품세계 - 1947년 ∼ 1964년의 작품 중심으로
- 2010년도 고전소설 분야 연구 동향
- 서지학자로서의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 연구
- 기억과 망각의 서사로서의 만주 배경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 읽기
- 수학적 사고와 공간관으로 본 『구운몽』 일고(一考)
- 1920-1930년대 고소설 향유 양상과 비평 연구
- 翰南書林의 白斗鏞 연구
- 고소설에 나타난 놀이의 서사적 성격과 놀이 문화
- 강서도매시장의 상장경매제와 시장도매인제 가격 비교분석
- 조선시대 서적유통 및 매매의 문화적 의미
- 17~18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화폐경제의 사회상
- 서적중개상 송신용(宋申用) 연구
- 독서교육에서 비판의 성격과 지도내용
- 생물교육전공 대학생들의 생명현상에 대한 추측의 사고과정 연구
- 시나리오별 쌀소득보전직불제 효과분석
- 소조와 조각기법의 전개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고래 과제에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고안한 가설 검증 방법의 분석을 통한 실험 설계 능력 지수 산출식의 개발
- 농산물 유통마진 분해
- 생명 현상에 관한 생물학자들의 경향성 지식 생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두뇌 활성 양상
- 생물학자의 지식 생성 과정에서 나타난 귀추적 사고
- 중등예비교사들의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의문 분석을 통한 의문생성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 CDM 사업배출권의 가격결정요인 분석
- 고소설 삽입 놀이 의 서사적 역할과 의미 연구
- 생명 현상의 공통성 지식 생성과 적용에서 나타나는 예비 교사의 뇌 활성화 양상
-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가설생성과 이해과정에서 나타나는 감성의 유형
- 딱따구리 과제에서 초등예비 교사들의 가설 평가 지식에 대한 분석을 통한 가설 평가 능력 지수 산출식의 개발
- 강화 고전문학사 연구 및 서술을 위한 제언
- 거래비용을 통한 농산물 도매시장의 거래제도 비교분석: 상장경매제 대 시장도매인제
- 교토메카니즘을 활용한 농업부문의 소득증대 방안
- 미곡종합처리장(RPC) 경영 개선을 위한 구조조정 방향 :목표계획법을 이용하여
- 학습자의 규칙성 생성 활동에 근거한 중학교 유전과 진화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 계약재배 안정화사업의 옵션 가치 평가
- 국어교육에는 어떤 문법이 필요한가?
- 기공과 새우 과제에서 초·중등 교사들이 생성한 관찰의 분석 및 관찰력 지수의 개발
- 현대 인체조각에서 드로잉에 관한 연구
- 과학 지식 생성 모형을 기반으로 한 초등학생용 거미 탐구 프로그램 개발
- 꽃가루 분류에서 과학교사들이 생성한 분류지식의 분석을 통한 분류능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 생명 현상에 대한 가설 검증 방법의 고안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 예비 교사의 두뇌 활성 - fMRI 연구
- 초등 과학 교육에서 두뇌 연구 방법의 고찰
- 동물 행동학자의 연구 활동에서 나타나는 연구 단계, 사고 과정, 행동 양식 및 생성 지식에 관한 연구
- 읽기 교육을 위한 연구 과제
- 생물학자와 고등학생의 생물학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두뇌활성 : fMRI 연구
- 감자즙 과제에서 예비 과학 교사들이 생성한 가설 검증 방법
- 서사무가 『바리데기』에 나타난 욕망의 의미와 바리데기 신화의 현재성
- 심리 치료 측면에서 본 <閔翁傳> 小考
- 19세기 말~20세기 초 만주ㆍ연해주 지역에서의 동ㆍ서양의 만남
-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전분 실험에서 생성한 생물학 가설의 설명 경향 분석
- 초등학교 과학 영재아의 뇌파 기반 변별 척도 개발
- 생명 현상에 대한 과학적 가설 생성과 수리 연산에서 나타나는 두뇌 활성
- 대형유통업체들의 최저가격보상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 Test of the Confirming Abduction Model
- 책쾌(冊儈) 송신용(宋申用)과 교주본 「女容國傳여용국젼」 연구
- Definition of Scientific Hypothesis
- 가설생성 학습 후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두뇌 활성 변화
- 예비교사들의 생물학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의 생성과정 유형별 두뇌 활성화에 대한 fMRI 연구
- 과학자의 과학지식 생성 과정에 대한 심층 면담 연구
- 과학 지식 생성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가설 지식 생성 능력의 발달
- 농업부문의 기후변화협약/교토의 정서 대응방안
- 생명현상의 관찰과 명상 감상에 나타나는 생물교육학자들의 두뇌활성
- 생명 현상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잠정적 설명의 유형
- 화가들의 조각 연구
- 생명 현상에 관한 초등학교 관찰 수업 과정과 관찰 유형 분석
- 생명 현상에 대한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과학교사의 두뇌 활성
- 가설 생성 학습 후에 나타난 초등 예비교사의 뇌파 변화
- 「여용국전(女容國傳)」 연구
- 읽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
- 생물학 가설의 생성에서 나타난 과학적 감성의 생성 과정
- 국제 탄소배출권 가격의 일물일가 검정 및 동태적 분석
- 김치지수의 개발과 선물시장 상장가능성 분석
- 인체조각 작품의 명제에 관한 연구
- WTO 분쟁사례 분석과 함의
- 생물학 탐구에서 학생들이 생성한 가설검증방법의 유형
- 생명현상에 대한 초 · 중등 과학교사의 관찰에서 나타난 과학적 관찰의 유형
- 초등학생들의 어항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관찰의 유형과 그 변화
- 생물 계통수 생성의 사고 과정 모형 개발
- 과학적 가설의 생성력 향상을 위한 삼원귀추모형의 적용
- 초등예비교사들의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인과적 의문의 사고 유형과 생성 과정
- 읽기 부진의 진단과 지도
- 옵션가격결정법을 통한 농업소득안정계정의 가치평가
- 일본 옥수수 선물시장의 불편성에 대한 검정
- China`s Agricultural Structure and Competitiveness In the Era of the WTO
- 1900년 前後 개화기 신문에 나타난 약소국가 인식태도 연구
- 구활자본舊活字本 고소설 「셔산대사젼西山大師傳」 연구
- 귀추적 과학지식의 생성에서 나타나는 감성의 유형
- 과학적 가설검증방법 지식의 생성에서 나타난 과학적 감성의 유형
- 양념채소가격의 요일효과, 월별효과 및 월중효과에 관한 연구
- EEG Correlation Patterns of Hypothesis-Generating in Undergraduate students` gener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 과학적 규칙성 지식의 생성 과정
- 과학지식 생성력 측정 도구의 개발
- 사이버 스페이스의 몰입적 환경이 예술작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전두엽연합령의 기능과 보존논리 형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 생물과 비생물의 구분에 대해서 유아들이 생각하는 바탕 개념 연구
- 독서와 작문 통합 지도의 전망
- 독일 자국어교육의 현황
- 初ㆍ中等學校 化粧室 計劃에 관한 硏究
- 과학적 관찰과 규칙성 발견 활동에서 나타나는 감성단어 유형과 과학 지식 생성력과의 관계
- 국내 사료가격 변동에 미치는 국제옥수수가격과 환율의 비대칭적 효과 분석
- 미술교육에서 테라코타 제작에 관한 기초적 고찰
-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 축산물 가격의 인과성 검정 :사료곡물에서 소매단계까지
- 수증기 응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가설 생성에서 귀추의 역할과 과정
- 대학생들의 귀납적 탐구에서 나타난 과학적 사고의 유형과 과정
- 생물학 가설의 검증에서 연역적 과학지식의 구조와 생성 과정
- 과학적 가설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 자본제약과 위험프레미엄을 고려한 비모수적 효율성 분석:한우비육농가 사례분석
- 정인섭(鄭寅燮)이 바라본 폴란드ㆍ폴란드 문학
- 농안법 개정이 농산물 도매시장의 효율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임경업전(林慶業傳)>과 <국성야합전(國性爺슴戰)> 비교 연구
- 과일 상품가치의 헤도닉 가격 분석
-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효율적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 조각예술에서 재료의 선택과 처리
- 미국산 옥수수의 한국선물거래소 상장 타당성 분석
- 現代彫刻에서 Organism과 Formalism에 관한 연구
- 수산물 전자상거래를 위한 제도 및 법규의 구축
- 한국 농산물 수입시장에서 주요 수출국의 시장지배력 분석
- 수입곡물 가공업자의 가격위험 관리 :최소분산과 최소준분산 헤지의 비교분석
- 미곡 약정수매제의 효과와 수매정책 방향
- 양재물류센터와 가락도매시장의 가격비교분석
- 학습자의 텍스트구조에 대한 인지도 발달 연구
- 농업경영환경의 변화와 파생상품의 역할
- 소주-위스키 주세분쟁과 주세율 조정에 따른 파급효과 분석
- 다리와 그 조각표현
- 농산물 물류센터의 재무투자분석
- 신문 기사에 반영된 필자의 주관성
-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과학적 추론 능력에 대한 비교 연구
- 손과 그 조각표현에 관한 연구
- Why Do Most Science Educators Encourage to Teach School Science through Lab-Based Instruction?
- 상품선물을 통한 가격위험 관리의 효과분석
- 설명적 텍스트의 중심내용 분석 원리
- 쓰기 영역의 수행 평가 방안
- 초등학교 학생들의 비례논리 전략의 발달에 대한 연구
- 돈지육 선물의 상장 타당성 분석과 선물 계약 설계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돼지가격의 예측
- 쌀의 소득탄력성 : 열등재인가, 계량분석의 실패인가 ?
- A Plateau and Spurt Pattern of Neurological Maturation, Scientific Reasoning Development and Conceptual Change in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 How Do the Prefrontal Lobes Mediate Scientific Reasoning and Conceptual Change in Adolescents?
-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의 신경심리학적 변인 통제에 대한 연구
- Minimum Variance Hedge Ration under Commodity Price and Exchange Rate Risks: The Case of Korean Food Manufacturers
- 상품선물시장의 연구동향과 과제
- 과학적 추론 능력의 발달에서 전두엽연합령의 역할
- 국어과교육과 타교과교육의 관계와 연구과제
- 국제 쌀 가격의 동태적 분석 : 중립종과 장립종을 중심으로
- Torso 와 그 表現에 관한 硏究
- 텍스트 意味構造 標識의 機能에 대한 實驗 硏究
- 미술의 기능에 관한 연구
- STS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대학 입학 학력고사의 생물 문항 분석 연구
- Bauhaus의 미술교육 이념과 교육안
- STS교육운동의 국내 연구 경향 분석과 적용방안에 관한 조사 연구
- 인체의 조형규범과 표현가능성에 대한 연구
- 頭像에 대한 硏究
- 美術에서 人間과 그 敎育
- 현대조각에 대한 수학의 영향
- 소조기법에 의한 작품연구
- 1950年代 美國의 現代美術과 無關心의 美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