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꽃가루 분류에서 과학교사들이 생성한 분류지식의 분석을 통한 분류능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이용수  34

영문명
Development of the Classification Ability Quotient Equ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Science Teachers` Classification Knowledge Generated in the Pollen Classification Task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권용주(Kwon, Yong-Ju) · 이준기(Lee, Jun-Ki) · 이일선(Lee, Il-Sun)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제55권 제3호, 21~4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사들이 꽃가루 분류 과제를 통해 생성한 분류 지식의 유형분류를 통해, 개인의 분류능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산출식을 얻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과학적 분류에 대하여 다수의 수행 및 지도의 경험을 갖춘 중등 과학교사 48명 (생물 전공 24명, 비전공 24명)을 선정하였다. 꽃가루 분류과제는 8개의 서로 다른 종으로부터 추출된 꽃가루들을 분류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과학교사들에 의해 생성된 분류지식들은 특성과 유형분석에 의해 추출된 4가지 주요 요인[풍부도, 유형, 차원(수준), 정확도]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이를 종합하여 개인의 분류능력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수 산출식을 고안하였다. 모든 요소를 고려하여 종합해 보면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CQ = Σ(TC × CRN × LEN × ΣACn)’. 이러한 분류능력지수 산출식으로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분류능력지수를 적용해 본 결과, 동일집단 내에서의 능력에 따른 등위 파악은 물론 서로 다른 집단 사이의 능력 비교에도 용이하였다. 이와같은 결과로 볼 때에, 이 연구에서 고안된 꽃가루 분류과제와 분류능력지수(CQ) 산출식은 학생들의 분류능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유용한 과제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duce an equation, which could quantitatively evaluate individual`s classification ability through the type classification of classification knowledge generated by the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during the pollen classification task. To the attainment of our goal, 48 science teachers (24 biology teachers and 24 non-major secondary science teachers) who have a range of teaching and performing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task was developed in the parts of plants and animals. The classification task about pollen was classifying pollens of 8 different species of plant. The classification knowledge that was generated by them was analyzed by 4 major factors (richness, type, level and accuracy) which was extracted from important components of the classified types. Then, a general equation which could quantitatively and objectively evaluate individual`s classification ability was invented by an inductive method. After considering all the factors, we reached the following equations. ‘CQ = Σ(TC × CRN × LEN × ΣACn)’. According to this results, pollen classification task and classification ability quotient (CQ) equation which were invented in this study may be a practical way to measure students` ability of scientific classif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교육적 적용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분야 BEST
더보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용주(Kwon, Yong-Ju) · 이준기(Lee, Jun-Ki) · 이일선(Lee, Il-Sun). (2007).꽃가루 분류에서 과학교사들이 생성한 분류지식의 분석을 통한 분류능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개인저작물 - 사회, , 21-43

    MLA

    권용주(Kwon, Yong-Ju) · 이준기(Lee, Jun-Ki) · 이일선(Lee, Il-Sun). "꽃가루 분류에서 과학교사들이 생성한 분류지식의 분석을 통한 분류능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개인저작물 - 사회, .(2007): 2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