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8~19세기 미국의 세책(貰冊) 문화 연구

이용수  24

영문명
A study on the American Lending-book s Culture in the 18th~19th century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Comparison and Review with Korean Lending-book s Culture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이민희(Lee Min heui)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26집, 229~270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3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8~19세기 미국 내 세책(貰冊) 문화의 다양한 면모를 소개하고, 이에서 세책업의 흥성 요인과 그 의미를 궁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국 세책문화를 국내에 처음 소개하는 것으로, 세책문화의 형성, 발달, 쇠퇴에 이르는 세책문화사 자료가 풍부히 남아 있는 미국의 사례를 토대로 18~19세기 국내 세책문화 이해를 위한 보충 자료로 삼는 한편, 그 시사점을 생각해 보고자 했다. 미국에서는 18세기 중반(1762) 동부 아나폴리스(Annapolis)에서 월리암 린드(William Lind)가 처음 세책점을 연 이후로 독립전쟁을 거쳐 대도시를 중심으로 급성장했다. 19세기 전반기에 최고 절정을 이루었고, 19세기 중반 이후 신문 등 대체 독서매체의 등장과 독자 취향의 변화로 점차 쇠퇴의 길을 걷었다. 약 150여 년간 꽃피운 미국 내 세책 문화는 영국 세책 문화의 영향도 적지 않게 받았지만, 이주 정착민들이 독자적으로 만든 문화도 적지 않았다. 미국에서 세책 문화가 흥기하고 반대로 쇠락해 간 이유를 다음 몇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경제에 대한 낙관주의적 사고다. 상업성(소비성)과 오락성(여가활용)이 세책 문화 발달을 견인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이라는 점이다. 지식과 책이 상품으로 인식되고 돈을 매개로 한 소비 및 매매의 대상이 되면서 세책 독서가 소비문화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세책을 목적으로 한 신문 광고 및 카탈로그 제작 등 홍보에 관심을 쏟은 것이 그 한 예이다. 둘째, 독서 수요와 공급이 가능한, 일정 수준 이상의 경제 인구를 갖춘 대도시에서 세책업이 발달할 수 있었다. 셋째, 대도시 내 세책점의 위치 또한 세책업 발달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넷째, 세책점은 회원제로 대여 영업을 했지만, 일부 세책점에서는 전당금을 요구했다. 그러나 비정기 회원 독자들도 주당 6펜스만 내면 마음대로 빌려다 볼 수 있었다. 저렴한 대여비야말로 세책 독서가 생활화되고 서적 매매보다 선호하게 된 중요한 이유였다. 다섯째, 세책문화 발달의 주역은 여성 독자였다. 남성 독자도 존재했지만 여성 독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이 흥미롭다. 여섯째, 최고 인기 있었던 세책용 도서는 소설책과 문학책이었다. 일곱째, 문자해득률의 상승이 세책 독서의 발달을 촉진시켰다. 여덟째, 도서 대여뿐만 아니라 커피를 판매하거나 음악 감상실을 운영한다거나 배를 이용한 이동식 영업 등 겸업이 발달했다. 아홉째, 19세기 중반 이후 다양한 정보와 오락적 읽을거리를 신문에서 얻게 되고, 무료 열람이 가능한 공공도서관이 등장함에 따라 세책업이 점차 쇠락해갔다. 독서사에서 이런 미국 내 세책 문화의 형성 및 발달이 지닌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책을 읽을 만한 중간층 독자의 성장과 소설 시대의 도래를 견인했다. 둘째, 개인적인 수양 활동, 또는 자족적 성격에 머물던 독서에서 타인(또는 사회)과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전제한 독서로 변화시켰다. 셋째, 독서 가치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작품성(문학성)만이 아닌, 통속성(오락성)과 정보성(교양과 계몽)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독서를 지향하게 된 것이다. 넷째, 음악, 커피 등과 결합된 독서 활동과 그 영업을 추구함으로써 타 영역과의 융합적 독서문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미국 세책문화 연구는 유럽 세책문화 이해를 위한 좋은 참고자료일 뿐 아니라, 전 세계 세책문화 이해의 근간이 된다. 특히 세책 관련 자료가 부족한 국내 세책문화를 이해하고자 할 때 미국 세책문화 관련 자료는 비판적 이해를 위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various aspects of the culture of lending-book that took place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18th~19th centuries. It is the first time I introduce the American culture of lending-book in Korea. It is a supplementary material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hoseon s culture of lending-book in the 18th~19th century based o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which has a wealth of cultural history of lending-book. In the United States, the first circulating library began in the mid 18th century, in 1762 by William Lind in Annapolis. After that, business of circulating library was rapidly growing around the big cities after the war of independence and reached its peak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However, since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re has been a gradual decline due to the emergence of alternative reading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changes in readers preferences. For over 150 years, the culture of lending-book blossomed. In the process, the influences of the British culture of lending-book were not negligible. However, the culture of the lending-book created by the immigrant settlers showed both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The following are the reasons for the development and decline of US culture of lending-book. First, the optimistic consciousness of the economy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the culture of lending-book.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hat knowledge and books are perceived as commodities, consumed by money, and bought and sold. Commerciality(consumption) and amusement(recreational use) have led to the culture of lending-book. In the United States, it is confirmed that the company promoted aggressive promotional strategies such as newspaper advertisement and catalog production. Second, for the development of lending-book business, it was necessary to have a large-scale economic population capable of reading demand and supply. Third, the location of circulating library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an important factor for sales. Fourth, generally circulating libraries were leased to regular reading members. But even irregular member of readers can freely borrow six pence per week. This low cost made it possible to read books borrowed. Fifth, the leading role of the development of lending-book culture was female readers. Therefore, circulating library has developed various service strategies for female readers. Sixth, the most popular books at circulating library were novels and literary books. Seventh, the increase of the letter reading rate promoted the development of lending-book culture. Eighth, the operation of a multi-purpose business such as cooperating of a coffee shop and circulating library, or common using of a music listening room and circulating library,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lending-book culture. In Korea, the novel reading of professional reader(called by Jeongisu ) was like a kind of oral story rental that rented reading by lending the act of reciting. However, since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newspapers have gained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readings, and as the public library has become available for free reading, book rental business has gradually declined. In a history of reading book, such culture of lending-book has the following meaning. First, it led to the growth of middle class readers who could read books and the advent of the novel era. Second, it means that the book has been changed from readings that have remained in self-cultivation activities or self-sufficient personality to reading that presupposes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or society) and communication. Third, it led to a change in reading value. That is, culture of circulating library was aiming for a reading that satisfies entertainingness and information(culture and enlightenment) as well as literacy value at the same time. Fourth, it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fusio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18~19세기 미국의 세책 문화의 형성과 발전
3. 미국 세책문화의 특징 및 한국 세책문화와의 비교
4.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분야 BEST
더보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희(Lee Min heui). (2016).18~19세기 미국의 세책(貰冊) 문화 연구. 개인저작물 - 사회, , 229-270

    MLA

    이민희(Lee Min heui). "18~19세기 미국의 세책(貰冊) 문화 연구." 개인저작물 - 사회, .(2016): 229-2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