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미있는 고소설 교육을 위한 실천적 수업활동의 실제

이용수  0

영문명
The Actual Lessons of Practical Activities for Educational Fun with Classic Novel Work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이민희(Lee Min Heui)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52호, 299~335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소설 작품을 대상으로 한 수업 시간에 학습자들은 여전히 어려움을 토로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 연구는 현 고등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 고소설 수업 시 어렵다고 느끼는 요인을 분석했다. 그리고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학습자들이 재미있는 고소설 수업이라 여기는 활동들을 제안 받아 이를 실제 수업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들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고소설 수업 시 문학의 수용과 생산, 그리고 적용이란 측면을 고려해 고소설 어휘 교육과 인물 교육, 그리고 사건 교육 관련 여러 수업활동들을 설계해 보았다. 문학의 수용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의 근간이 되는 어휘 이해와 내용 이해 중심 활동이 중요하다. 한자어 교육 및 벼슬명 교육, 그리고 인물관계도와 사건기차를 통한 내용 파악 활동, 인물평을 담은 신문기사 작성 활동, 고소설 속 인물이 되어 SNS에 글 써 보기 같은 활동, 고소설 작품을 소재로 한 웹툰 작품과의 비교 활동 등이 작품의 내용 이해를 돕는 활동으로 유용하다. 특히 복잡한 서사구조와 갈등을 지닌 작품의 경우, 사건 기차 활동지를 활용한 활동이 효과적이다. 둘째, 문학의 생산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 후 학습자의 표현 및 창작 능력을 키우는 활동이 요구된다. 본문을 시나리오 대본 또는 만화로 바꿔보는 창작 활동에서도 새로운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학의 적용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와 창작 활동을 토대로 현실생활 속에서 적용 가능한 활동들, 이를테면. 선인과 악인에 대한 상장 수여 활동, 고소설 속 인물의 현상수배지 만들기, 작품 주제를 소재로 한 문학재판 활동, 또는 인물에 관한 문학 토론 활동 등을 활용해 흥미로운 수업을 설계할 수 있다고 보았다. 현 고등학생들이 기대하는 흥미로운 수업 활동은 단순히 수업 초기에 흥미 유발을 목적으로 한 준비활동이 아닌, 본격적인 수업 속에서의 활동을 의미한다. 수업 전반에 걸쳐 재미를 느끼며 행할 수 있는 활동들, 곧 본문 작품 이해를 달성하고 폭넓은 체험 활동과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실천적 활동들이 고소설 수업 시간에 요구된다. 이런 점에서 여기서 제안한 수업활동 중 일부는 교과서 본문 내용이해를 위한 학습활동으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재미있는 고소설 수업의 설계와 실천적 활동은 재미가 교육 수단뿐만이 아닌 교육적 목표가 될 때 더욱 그 의미가 커질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practice specific and fun activities for the classic novel work in the classroo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ed by conducting a survey of the current 73 high school students.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learn chinese vocabulary, main characters and events in the lesson of classic novel. It is required for students to feel fun about classic novel work, and to do many practical activities for more in-depth understanding. Students think that the strange Chinese vocabulary and a frequent title(position name) changes used on the classic novel text in textbook make themselves not to understand the work easily. The translated text using easy vocabulary in textbooks will need for students to feel interested. Therefore, here this paper suggest the fun activities that teach the classic novel work in class. These are so good activities in relation to character study that to create a character relationships map, to write on SNS in a view of figures in classic novel work, to make a certificate of merit for giving to the good and the wicked, to make a leaflet seek for character wanted in connection with a crime in classic novel work, and to write newspaper articles to introduce a good or bad person in classic novel work and etc. And when you want to analyze the classic novels with a complex narrative structure and conflict, you can take advantage of the fun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event in classic novel work like following ;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classic novels can use the train incident activity. And an activity of changing original text in classic novel work into the scenario script or cartoon is also effective. A classic novels trial or literary discuss with content of classic novel work may also attempt to use activities. Providing interesting lessons design and practical activities are necessary in order to dispel the negative perception that lesson for classic novel is difficult and tedious. The classic novel class a fun-borne navigation is possible in the hope that it can also be educational means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재미있는 고소설 교육을 위한 수업의 실제
3. 재미있는 고소설 수업의 한계 및 과제
4.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분야 BEST
더보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희(Lee Min Heui). (2016).재미있는 고소설 교육을 위한 실천적 수업활동의 실제. 개인저작물 - 사회, , 299-335

    MLA

    이민희(Lee Min Heui). "재미있는 고소설 교육을 위한 실천적 수업활동의 실제." 개인저작물 - 사회, .(2016): 299-3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