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설명적 텍스트의 중심내용 분석 원리

이용수  73

영문명
The strategies of a Main Idea analysis in expository texts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김봉순(Kim, Bong-soon)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제9집, 141~17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01.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설명적인 텍스트(expository text)를 대상으로 중심내용(main idea) 분석의 원리를 구체적이면서도 간단한 원리로 고안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중심내용이란 본고에서는 텍스트의 명시적 진술을 토대로 추론할 수 있는, 그 텍스트의 내용을 집약적으로 드러내는 명제이다. 중심내용을 판단하는 원리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포괄성의 원리, 선호성의 원리, 상호성의 원리가 그것이다. 포괄성의 원리란 다른 요소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일반적인 특성을 가진 최소의 명제를 구성하거나 선택하라는 것이다. 명제를 화제(topic)와 평언(comment)으로 나누어, 구성 요소인 화제를 포괄하는 최소의 포괄적 화제와 구성 요소인 평언을 포괄하는 포괄적 평언을 객관적 지식구조를 기준으로 판단하여 중심내용인 명제를 파악할 수 있다. 선호성의 원리란 필자가 자신의 의도에 따라 특정 내용을 강조하거나 약화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강조된 내용을 중심내용으로 선택하라는 것이다. 필자의 선호성은 객관적 지식 체계와는 다른 주관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반드시 언어를 통해 명시되는데, 중심내용의 언어화는 표지(markers)와 상술의 양의 두 가지 방식으로 나타나므로 이를 활용하여 중심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상호성의 원리란 포괄성의 원리와 선호성의 원리가 상충될 경우 선호성의 원리를 우선으로 하여 판단하는데, 선호성의 원리에 의해 결정된 중심내용은 포괄성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도록 의미구조로 재구성하라는 것이다. 선호성의 원리에 의해 결정된 중심내용을 포괄성 원리로 회귀시킴으로써 필자가 주장하는 새로운 지식구조를 독자가 이해하고 그것에 터하여 중심내용을 파악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strategies of a main idea analysis in expository texts. In this study, a main idea is a proposition that summarizes explicit contents in text. As the results, I construct three strategies. First strategy is `to construct or select a comprehensive proposition`. A comprehensive proposition is constructed of a minimum topic and comment that comprehenses element propositions on objective knowledge structures. Second strategy is `to select an emphasized proposition by writer`. An emphasized proposition is expressed as two means ; discourse marker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ird strategy is `to reconstruct a text-structure centered on the emphasized proposition`. In the case that an emphasized proposition coexist with another comprehensive proposition, the emphasized proposition is concluded to a main idea. In this case, readers must reconstruct a text-structure in that the emphasized proposition is placed in the highest macro proposition. Because, with this reconstructed text-structure, readers can understand writer`s new knowledge structures.

목차

Ⅰ. 서론
Ⅱ. 중심내용의 개념 및 선행연구 분석
Ⅲ. 중심내용의 분석 원리
Ⅳ. 결론
참고문헌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분야 BEST
더보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봉순(Kim, Bong-soon). (1999).설명적 텍스트의 중심내용 분석 원리. 개인저작물 - 사회, , 141-170

    MLA

    김봉순(Kim, Bong-soon). "설명적 텍스트의 중심내용 분석 원리." 개인저작물 - 사회, .(1999): 141-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