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물교육전공 대학생들의 생명현상에 대한 추측의 사고과정 연구

이용수  34

영문명
A Study about Biology Education Major Students` Thinking Process of Conjecture in Biological Phenomena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안은정(An, Eun-Jung) 이혜정(Lee, Hea-Jung) 권용주(Kwon, Yong-Ju)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제56권 제1호, 189~21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4.0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생명현상에 대한 추측의 사고과정을 귀납적으로 기술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추측의 사례를 조사하고 잠정적인 추측 사고 분석틀을 고안하고, 실제 사고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다음, 연구 대상들이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지식과 사고과정을 획득하였으며, 사고 발성법과 회상적 면접법을 통해서 생성한 프로토콜의 규칙성을 찾아 귀납적으로 사고과정을 기술하였다. 이를 위해 생물교육전공 대학생 8명을 선정하여 미세구조 추측 과제를 투입하였다. 동물, 식물, 미생물 각 영역에서 1과제씩 나비과제, 딸기과제, 곰팡이 과제 총 3과제를 훈련과제로 개발하였다. 또한, 각 영역에서 2과제씩 황새깃털 과제, 오징어 상피 과제, 선인장 가시 과제, 백합 화분 과제, 버섯 대 절단면 과제, 뿌리혹 과제, 총 6과제를 본 과제로 개발하였다. 연구의 결과, 생명현상에 대한 추측의 사고과정은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조합으로 추측이 구성되었으며, 추측의 사고과정은 크게 잠정적 추측 생성과 최종 추측 구성으로 구성된다. 먼저 선언적 지식은 관찰을 통한 의문 상황과 관찰 대상, 관찰 요소, 관찰 요소변화의 하위 지식으로 구성되는 의문 현상, 귀추의 사고 과정을 통한 경험 상황과 경험 대상, 경험 요소, 경험 요소 변화의 하위 지식으로 구성되는 경험 현상, 잠정적 추측지식, 최종 추측 지식으로 구성되었다. 그 다음 절차적 지식은 인식하기, 표상하기, 재인하기, 추출하기, 분석하기, 탐색하기, 비교하기, 차용하기, 확인하기, 판정하기, 선택하기, 조합하기의 지식으로 구성되었다. 잠정적 추측 지식은 확인과 판정, 선택, 조합의 절차적 지식을 통하여 최종 추측 지식을 구성하였다. 요컨대, 추측의 사고과정은 이들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선별적인 조합과 이들 조합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추측의 사고 과정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생물 교육적인 측면에서 교사는 과학적 추측의 사고 과정을 이해하고, 생명현상을 관찰하고 탐구해 나아갈 때 학습자의 특성이나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생물학습을 위한 비계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는 다양하고 복잡한 생명현상에 대한 의문현상을 구체적이고 상세한 과학적 설명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iology major students` thinking process of conjecture in biological phenomena. We developed the tentative framework based on the conjecture case analysis reported in literatures. Eight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science education were selected to throw into conjecture tasks. To obtain verbal protocols, six tasks were developed. Raw protocols were collected using thinking aloud method and retrospective interview method. After the protocols were analyzed, the final framework was developed and the thinking processes of conjecture were discov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hinking processes of conjecture in biological phenomena were consisted of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declarative knowledge was generated through the processes of questioning situation, questioning phenomenon, experienced situation, experienced phenomenon, tentative conjecture knowledge, and final conjecture knowledge. The thinking processes of the procedural knowledge involved recognize, represent, retrieve, extract, analyze, search, compare, borrow, confirm, decide, select, combine. Furthermore, almost of knowledges were generated by interaction between the declarative knowledge and the procedural knowledg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teaching strategy for guiding the direction and the method of conjecture and developing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that help student to generate conjecture in biological phenomen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분야 BEST
더보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은정(An, Eun-Jung),이혜정(Lee, Hea-Jung),권용주(Kwon, Yong-Ju). (2008).생물교육전공 대학생들의 생명현상에 대한 추측의 사고과정 연구. 개인저작물 - 사회, , 189-214

    MLA

    안은정(An, Eun-Jung),이혜정(Lee, Hea-Jung),권용주(Kwon, Yong-Ju). "생물교육전공 대학생들의 생명현상에 대한 추측의 사고과정 연구." 개인저작물 - 사회, .(2008): 189-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