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활자본舊活字本 고소설 「셔산대사젼西山大師傳」 연구

이용수  12

영문명
A Study on an Old-type Printed Novel, SeoSanDaeSa-Jeon(西山大師傳)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이민희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5집, 125~165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1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구활자본 고소설 「서산대사전西山大師傳」은 조선 증가의 고승高僧이자 승군장僧軍將으로 유명한 서산대사西山大師 휴정休靜의 설화를 소설화한 국문소설이다. 원제는 「셔산대사 사명당 젼」이며 총 18쪽의 분량으로 되어 있다. 세계서림世界書林 간행본에 「셔산대사젼」과 「셔산대사부록」이 함께 수록되어 있는데, 양자 간에 연관성이 없는 독립된 작품이다. 본문 속에 사용된 몇몇 어휘들(‘일본해’·‘내각 총리대신’ 등)과 창작 사기를 알려주는 몇 가지 기록을 통해 「셔산대사젼」이 구한말 혹은 1910년부터 1927년 사이에 씌어졌을 것으로 추정 가능하다. 「셔산대사션」은 임란 후 나타난 실기문학實記文學에서 제재적 원천과 구성 및 표현 방식을 빌어 창작된 역사소설이라 할 수 있다. 실기 또는 기록문학을 개작한 흔적을 엿볼 수 있으며, 신유한의 한시 <촉석루원운矗石樓原韻> 전문을 삽입해 놓는 등 문헌 기록을 적극 차용하고 있다. 게다가 구비문학적 요소 또한 적절히 삽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홍순언 일화나 「임진록」에 보이는 유사 설화 등 통해 서산대사의 비범한 예지豫知력과 신통력을 보여주고 있다. 사실과 허구의 간극은 곧 서산대사의 신이함을 부각시켜 주는 서사적 장치이자 주제로 사용되고 있다. 통시적으로 볼 때, 「셔산대사젼」은 개화기 역사전기소설이나 1920년대 이래로 등장한 근대 역사소설과는 달리 조선 후기에 창작된 역사소설의 전통을 잇고 있다. 그러나 작품 전체의 서사적 구성이 치밀하지 못하며, 현실상황을 직시한 역사의식보다 흥미 본위의 통속성을 고려한 임의적 역사해석과 역사에 대한 안일한 태도가 자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셔산대사젼」은 임란 후 창작된 「최척전」·「임진록」 등의 작품에서부터 최근에 나타난 『임진왜란』 (박종화)·『서산대사』 (최명익) 등의 임란 소재 역사소설로 이어지는 흐름 속에서 일제 강점기에 창작된 구활자본 역사소설 중 임란 소재 역사소설의 시대적 한계를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영문 초록

An Old type printed novel, SeoSanDaeSa-Jeon by the national script, is historical short story about SeoSanDaeSa(西山大師傳), which was famous for high priest as well as a leader of monk soldiers when a war against Japan broke out in 1592-98. It is estimated that this work was published approximately in 1910 in a shape of pulp fiction. SeoSanDaeSa-Jeon was written through the influence of material, the framework of story, and forms of expression from documentary literatures which had created after a war. It also put in oral stories, for example, a HongSunEon(洪純彦) anecdote and story of GyeWeolHyang, NonGye, SaMyongDang(泗溟堂) etc., in the middle of work, These oral stories aimed at showing extraordinary, uncommon abilities of foreknowledge and taking the long views which a hero has. SeoSanDaeSa-Jeon itself has defects in a few respects, specially, of descriptive composition when compared with other contemporary works. Even if it were so, this work can be appreciated to be significant, because it has intermediate character to lie halfway between old and modem historical novel with a theme about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창작 시기
3. 전대前代 문학과의 관계
4. 『셔산대사젼』의 주관적 역사인식 태도
5. 문학사적 의미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분야 BEST
더보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희. (2004).구활자본舊活字本 고소설 「셔산대사젼西山大師傳」 연구. 개인저작물 - 사회, , 125-165

    MLA

    이민희. "구활자본舊活字本 고소설 「셔산대사젼西山大師傳」 연구." 개인저작물 - 사회, .(2004): 125-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