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일 자국어교육의 현황

이용수  43

영문명
A Study on German National Language Education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김봉순(Kim, Bong-Soon)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제21집, 195~23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2.0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독일어교육의 이론과 실천에 대해 알기 위하여, 독일어교육의 역사와 제도, 독일어 교과교육학의 위상과 연구동향, 그리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실에서의 실제 수업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 국어교육에서 생각해야 할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독일어교육의 이론은 역사적으로 민족주의에서 기능주의로 옮겨져 현재는 통합적 기능교육을 중심축으로 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표현’, ‘이해’, ‘언어지식’의 세 영역 체제로 구성되고, 통합교과적 주제 또는 공통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는데, 그룬트슐레는 ‘주제 중심’, 김나지움은 ‘장르중심’의 구성 방식을 취한다. 그러나 수업은 교사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와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독일어교육의 현황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발견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지도의 경험은 현 시점에서 국어교육에 중요한 모델이 된다. 둘째, 검정 교과서의 갭라과 관리에 대한 아이디어는 우리에게 참고가 된다. 셋째, 교육의 중앙관리와 자율관리 사이의 역학관계와 효율성에 대해 재고하게 한다. 넷째, 교사 양성 과정에서 교과교육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한다.

영문 초록

I study on German national language education in its history, operating system, scientific status, tendency of research, curriculums, textbook, and classroon teachings. As a result of this study, I suggest some issues that have to be urgently discussed for Korean national language education. Historically, main focuses of German national language education transfer from racial ideology to communication abilities, and bow, it is on integrative teaching theories. In influence of the theories, curriculum is composed of three areas : `expression`, `comprehension`, and `knowledge of the language`, and involves themes for integrative teaching. Textbooks are governed by the curriculum, and influenced by teaching method theories. A main idea of composing chapters for Grundschule is thematic, but for Gymnasium is generic. Classroom teaching wholly controlled by teachers, who compose teaching materials for themselves instead of textbooks. As a result of this study. I discuss on issues : how can we make a model for integrative curriculum and textbooks, how can we manage several kinds of textbooks, how can we control interactions between the central governed nad teachers`s self-regulating education systems, and how necessary is subject matter education in pre-teacher education courses.

목차

Ⅰ. 서론
Ⅱ. 독일어교육의 배경
Ⅲ. 독일어교육의 이론
Ⅳ. 독일어교육의 실천
Ⅴ. 결론: 시사점
참고문헌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분야 BEST
더보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봉순(Kim, Bong-Soon). (2004).독일 자국어교육의 현황. 개인저작물 - 사회, , 195-230

    MLA

    김봉순(Kim, Bong-Soon). "독일 자국어교육의 현황." 개인저작물 - 사회, .(2004): 195-2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