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가설생성과 이해과정에서 나타나는 감성의 유형

이용수  71

영문명
Types of Emotion during the Hypothesis-Generating and Hypothesis-Understanding Process on the Biological Phenomena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권용주(Kwon, Yong-Ju) · 이준기(Lee, Jun-Ki)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제56권 제3호, 1~3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0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생명현상에 관한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가설을 생성할 때와 이해할 때 나타나는 감성의 유형을 알아보고, 이들 유형이 집단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생명현상에 관한 14개씩의 가설생성 및 가설이해 과제를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일반고등학교 학생 12명, 과학고등학교 학생 12명, 생물학 비전공 예비교사 12명, 생물학 전공 교사 12명, 생물학자 12명으로 하였다. 피험자들은 과제를 수행하면서 자신이 느낌 감성의 강도를 이모티콘 척도 기록지에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가설생성과정에서 이해과정에 나타나는 감성의 유형은 차이가 나며, 가설이해과정에 비해 가설생성과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한 것은 ‘기대-흥미-낙관-기쁨-사랑-놀람’이었고, 이해과정에서는 ‘거부-슬픔-공포-후회’였다. 또한 집단에 따른 감성유형과 개별감성의 강도 분포에서도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 of emotion which occurred in the scientific hypothesis-generating process and hypothesisunderstanding process about biological phenomena, and to confirm the pattern difference of emotions among various groups. For this study, 14 tasks were developed that are suitable for each learning strategy (scientific hypothesisgenerating and hypothesis-understanding; totally 28 tasks). The tasks was administered to 5 groups of subjects: 12 general highschool student, 12 science highschool student, 12 pre-service teacher non-majoring biology, 12 preservice teacher majoring biology, and 12 biologists. After the task, the strength of emotion was measured using adjective emoticon check li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motion patterns occurred in the scientific hypothesis-generating process and hypothesis- understanding process about biological phenomena. The strength of emotion occurred in the hypothesis-generating process rather than hypothesis-understanding process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expectancy - interest - optimism - joy - love - surprise (in strength order). In the case of vice -versa, disgust - sadness - fear - remorse (in strength order). In addi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trength of each emo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교육적 적용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분야 BEST
더보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용주(Kwon, Yong-Ju) · 이준기(Lee, Jun-Ki). (2008).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가설생성과 이해과정에서 나타나는 감성의 유형. 개인저작물 - 사회, , 1-36

    MLA

    권용주(Kwon, Yong-Ju) · 이준기(Lee, Jun-Ki).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가설생성과 이해과정에서 나타나는 감성의 유형." 개인저작물 - 사회, .(2008): 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