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n Korean Names
- 발행기관
- 개인저작물
- 저자명
- 이복규(Lee Bok-kyu)
- 간행물 정보
- 『개인저작물 - 인문』溫知論叢 第16輯, 363~3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개인저작물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5.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 기술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름에 대한 한국인의 관념은 웃어른의 이름을 함부로 안 부르려 한다는 점이다. 이름을 단순한 기호로서가 아니라 인격 자체로 인식한 결과라고 보인다. 이를 피휘법(避諱法)이라고 하는바, 역대 왕들의 이름을 짓거나 표기하는 데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남북한 모두 조상의 이름에 들어있는 글자를 후손이 쓰는 것을 금기시하는 것도, 전통 피휘법의 계승이라고 해석된다.
둘째, 한국인의 작명 원리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항렬자를 따라서 짓는 유형, 항렬자를 따르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짓는 유형이 그것이다. 집안의 항렬자를 따르는 방식은 주로 양민 이상의 남성들에게, 항렬자를 따르지 않고 달리 짓는 방식은 노비나 여성들에게 적용되었던것을 알 수 있다. 항렬자를 따르는 유형도 다시 세분되는데, 오행을 기준으로 하기, 십간을 기준으로 하기, 십이지를 기준으로 하기, 일이삼사오륙 순서로 하기, 28개 별자리(28수) 순서로 하기, 절충하기 등으로 구분된다. 집안의 항렬자를 따르지 않는 경우도, 출생 상황을 반영하기, 부모의 소망을 반영하기, 외모의 특징을 반영하기 등으로 나뉜다.
셋째, 한국인 작명의 새로운 변화들로 몇 가지가 포착된다. 항렬자 안따르기도 그중의 하나로서, 좋은 이름은 이미 남들이 선점해 버려, 좀더 부르기 좋고 뜻도 좋은 이름을 짓기 위해 불가피하게 그렇게 바뀌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순우리말 이름으로 짓기, 부모의 성을 동시에 반영하기, 믿는 종교의 경전에 등장하는 인물의 이름을 차용하기, 영어 이름으로 전환하는 데 유리한 이름으로 짓기 등의 변화도 있다.
넷째, 한국 이름의 특징으로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이름에 대한 관념 면에서, 웃사람의 이름을 거론하거나 답습하는 것을 꺼리는 의식이 우리나라 사람에게는 아주 강하다. 조상의 이름을 그대로 물려받아, 여러 대에 걸쳐서 동일한 이름을 쓰기도 하는 이스라엘, 미국 등과는 판이하다. 특히 러시아에서는 두 번째 이름에 필수적으로 그 아버지의 이름이 반영되는 게 관례화되어 있는바, 우리와는 크게 다르다 할 수 있다.
둘째, 우리는 돌림자 즉 항렬자 전통이 강하며, 오행이나 십이지 십간을 따라서 짓는 게 일반적인데 다른 나라에는 없는 특징이다. 일본에는 항렬자가 없으며, 중국에도 우리식의 항렬자는 없다. 요즘에는 부르기 좋고(소리가 좋고) 뜻이 좋은 이름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는 일본이나 우리나라의 최근 추세와 상통하는 점이라 하겠다.
셋째, 성소명다(姓少名多) 현상도 특징적이다. 우리는 성은 제한되어 있는데 이름은 매우 많지만, 일본이나 유럽은 성다명소(姓多名少) 즉 성은 많은데 이름은 적다. 우리는 성을 절대로 바꾸지 않으나 일본에서는 결혼해서 분가하면 얼마든지 성을 갈 수 있는 분위기이다. 이름의 경우, 우리나라 사람들의 이름은 매우 개별적이다. 같은 이름이 그다지 많지 않은 편이다. 물론 여성의 이름에서 같은 이름이 발견되기도 하지만, 유럽 여성의 이름과 비교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넷째, 우리 이름은 성과 명, 이렇게 두 단위로 이루어지며 성 다음에 명이 오는 순서이다. 한국에서는 ‘이복규’하면, ‘이’가 성이고, ‘복규’가 명이다. 철저하게 두 단위로 되어 있고 성 다음에 명이 오는 구조이다. 하지만 유럽의 경우는 다르다. 제1이름(first name), 제2이름(second name 혹은 middle name), 제3이름(family name 혹은 given name:성) 이렇게 세 단위로 이루어지는 게 보통이며, 이름 다음에 성이 온다. 제1이름
첫째, 이름에 대한 한국인의 관념은 웃어른의 이름을 함부로 안 부르려 한다는 점이다. 이름을 단순한 기호로서가 아니라 인격 자체로 인식한 결과라고 보인다. 이를 피휘법(避諱法)이라고 하는바, 역대 왕들의 이름을 짓거나 표기하는 데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남북한 모두 조상의 이름에 들어있는 글자를 후손이 쓰는 것을 금기시하는 것도, 전통 피휘법의 계승이라고 해석된다.
둘째, 한국인의 작명 원리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항렬자를 따라서 짓는 유형, 항렬자를 따르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짓는 유형이 그것이다. 집안의 항렬자를 따르는 방식은 주로 양민 이상의 남성들에게, 항렬자를 따르지 않고 달리 짓는 방식은 노비나 여성들에게 적용되었던것을 알 수 있다. 항렬자를 따르는 유형도 다시 세분되는데, 오행을 기준으로 하기, 십간을 기준으로 하기, 십이지를 기준으로 하기, 일이삼사오륙 순서로 하기, 28개 별자리(28수) 순서로 하기, 절충하기 등으로 구분된다. 집안의 항렬자를 따르지 않는 경우도, 출생 상황을 반영하기, 부모의 소망을 반영하기, 외모의 특징을 반영하기 등으로 나뉜다.
셋째, 한국인 작명의 새로운 변화들로 몇 가지가 포착된다. 항렬자 안따르기도 그중의 하나로서, 좋은 이름은 이미 남들이 선점해 버려, 좀더 부르기 좋고 뜻도 좋은 이름을 짓기 위해 불가피하게 그렇게 바뀌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순우리말 이름으로 짓기, 부모의 성을 동시에 반영하기, 믿는 종교의 경전에 등장하는 인물의 이름을 차용하기, 영어 이름으로 전환하는 데 유리한 이름으로 짓기 등의 변화도 있다.
넷째, 한국 이름의 특징으로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이름에 대한 관념 면에서, 웃사람의 이름을 거론하거나 답습하는 것을 꺼리는 의식이 우리나라 사람에게는 아주 강하다. 조상의 이름을 그대로 물려받아, 여러 대에 걸쳐서 동일한 이름을 쓰기도 하는 이스라엘, 미국 등과는 판이하다. 특히 러시아에서는 두 번째 이름에 필수적으로 그 아버지의 이름이 반영되는 게 관례화되어 있는바, 우리와는 크게 다르다 할 수 있다.
둘째, 우리는 돌림자 즉 항렬자 전통이 강하며, 오행이나 십이지 십간을 따라서 짓는 게 일반적인데 다른 나라에는 없는 특징이다. 일본에는 항렬자가 없으며, 중국에도 우리식의 항렬자는 없다. 요즘에는 부르기 좋고(소리가 좋고) 뜻이 좋은 이름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는 일본이나 우리나라의 최근 추세와 상통하는 점이라 하겠다.
셋째, 성소명다(姓少名多) 현상도 특징적이다. 우리는 성은 제한되어 있는데 이름은 매우 많지만, 일본이나 유럽은 성다명소(姓多名少) 즉 성은 많은데 이름은 적다. 우리는 성을 절대로 바꾸지 않으나 일본에서는 결혼해서 분가하면 얼마든지 성을 갈 수 있는 분위기이다. 이름의 경우, 우리나라 사람들의 이름은 매우 개별적이다. 같은 이름이 그다지 많지 않은 편이다. 물론 여성의 이름에서 같은 이름이 발견되기도 하지만, 유럽 여성의 이름과 비교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넷째, 우리 이름은 성과 명, 이렇게 두 단위로 이루어지며 성 다음에 명이 오는 순서이다. 한국에서는 ‘이복규’하면, ‘이’가 성이고, ‘복규’가 명이다. 철저하게 두 단위로 되어 있고 성 다음에 명이 오는 구조이다. 하지만 유럽의 경우는 다르다. 제1이름(first name), 제2이름(second name 혹은 middle name), 제3이름(family name 혹은 given name:성) 이렇게 세 단위로 이루어지는 게 보통이며, 이름 다음에 성이 온다. 제1이름
영문 초록
The descrip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s think that the names of their elders should not be called publicly. This seems to result from their perception that names are not mere signs but the personality embodied. This avoidance of calling is easily found in the naming of the kings or writing of their names in the past. The tradition is transmitted to a taboo for which both South and North Koreans won`t use the characters of their ancestors in their names.
Second, Korean naming has developed into two types: naming with a generation character and naming with no such character. The common people or above preferred the first type whereas the slaves or the women adopted the second type. The first type can be subdivided into five-elements naming, ten sexagenarian naming, twelve-animals naming, numeral order naming, 28 signs naming, eclectic naming, etc. The second type is also subdivided into birth situation naming, parental wishes naming, salient appearance naming, etc.
Third, Korean naming seems to be changing these days. Many Koreans have their names with no generation character since good names have been preoccupied by other relatives. They desperately want to have names that sound better and mean better. The changes include pure Korean names, reflecting the surnames of both parents, naming from the bible of their religion.
Fourth, four features are observed in Korean names. Above all things, the avoidance of calling or following the elders` names is deeply imbibed in Korean naming culture. It drastically differs from the way of naming in Israel or in the United States, where the ancestral names are often reused in naming the descendants. Especially in Russia, one`s second name is required to follow the name of the male parent, which is different from Korean tradition.
Fifth, the naming tradition based on the generation character, or on the five elements, the ten sexagenarian terms, or the twelve animal symbols is uniquely Korean. In Japan or China, there is no generation character. There is, nowadays, a strong inclination toward making up names that sound better and mean better. This trend seems to spread all across the Far-East Asia.
Sixth, few surnames but many given names are another feature. Korean surnames are limited but given names are not while in Japan or in Europe the opposite is the case. Koreans won`t change their surname but in Japan it can be rearranged after establishing a branch family following marriage. Korean given names correlate with individual identities, so there are fewer cases of carrying the same name. Admittedly, names of women are more likely to have the same name but the phenomenon cannot be compared with the similarity found among the names of European women.
Seventh, Korean names are made up of two units which follow the order of a surname before a given name. For instance, in Lee Bokkyu, Lee is the surname and the second unit is the given name. T
First, Koreans think that the names of their elders should not be called publicly. This seems to result from their perception that names are not mere signs but the personality embodied. This avoidance of calling is easily found in the naming of the kings or writing of their names in the past. The tradition is transmitted to a taboo for which both South and North Koreans won`t use the characters of their ancestors in their names.
Second, Korean naming has developed into two types: naming with a generation character and naming with no such character. The common people or above preferred the first type whereas the slaves or the women adopted the second type. The first type can be subdivided into five-elements naming, ten sexagenarian naming, twelve-animals naming, numeral order naming, 28 signs naming, eclectic naming, etc. The second type is also subdivided into birth situation naming, parental wishes naming, salient appearance naming, etc.
Third, Korean naming seems to be changing these days. Many Koreans have their names with no generation character since good names have been preoccupied by other relatives. They desperately want to have names that sound better and mean better. The changes include pure Korean names, reflecting the surnames of both parents, naming from the bible of their religion.
Fourth, four features are observed in Korean names. Above all things, the avoidance of calling or following the elders` names is deeply imbibed in Korean naming culture. It drastically differs from the way of naming in Israel or in the United States, where the ancestral names are often reused in naming the descendants. Especially in Russia, one`s second name is required to follow the name of the male parent, which is different from Korean tradition.
Fifth, the naming tradition based on the generation character, or on the five elements, the ten sexagenarian terms, or the twelve animal symbols is uniquely Korean. In Japan or China, there is no generation character. There is, nowadays, a strong inclination toward making up names that sound better and mean better. This trend seems to spread all across the Far-East Asia.
Sixth, few surnames but many given names are another feature. Korean surnames are limited but given names are not while in Japan or in Europe the opposite is the case. Koreans won`t change their surname but in Japan it can be rearranged after establishing a branch family following marriage. Korean given names correlate with individual identities, so there are fewer cases of carrying the same name. Admittedly, names of women are more likely to have the same name but the phenomenon cannot be compared with the similarity found among the names of European women.
Seventh, Korean names are made up of two units which follow the order of a surname before a given name. For instance, in Lee Bokkyu, Lee is the surname and the second unit is the given name. T
목차
〈국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이름에 대한 한국인의 관념 - 웃어른의 이름 함부로 안 부르기
Ⅲ. 한국인의 전통 작명 원리
Ⅳ. 한국인 작명의 새로운 변화들
Ⅴ. 한국인 이름의 특징
Ⅵ.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Ⅰ. 머리말
Ⅱ. 이름에 대한 한국인의 관념 - 웃어른의 이름 함부로 안 부르기
Ⅲ. 한국인의 전통 작명 원리
Ⅳ. 한국인 작명의 새로운 변화들
Ⅴ. 한국인 이름의 특징
Ⅵ.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개인저작물분야 NEW
- 우크라이나 전쟁과 군사적 약소국의 최후무기 개발
- 우크라이나 전쟁과 군사적 약소국의 전쟁방지 및 10년이상 장기 독재자 퇴출
- 우크라이나 전쟁과 군사강국 독재자 타도무기 액체염소탄 시스템의 개념설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