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학적 가설의 생성력 향상을 위한 삼원귀추모형의 적용

이용수  13

영문명
Application of the Triple Abduction Model for Improving the Skills of Scientific Hypothesis Generation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정진수(Jeong, Jin-Su) 원희정(Won, Hee-Jeong) 권용주(Kwon, Yongju)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제25권 제5호, 595~602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0.0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학습에서 가설 생성력 향상에 미치는 삼원귀추모형(TAM)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TAM의 가설 생성 절차에 따른 가설 생성 활동 10개와 전통적인 방법에 따른 가설 생성 활동 10개와 전통적인 방법에 따른 가설 생성 활동 10개를 개발하여 각각 26명의 고등학생으로 구성된 TAM 집단과 27명의 전통 집단에 투입하였다. 가설 생성 활동 10개가 투입되는 과정에서 4개의 활동에서 학생들이 생성한 최종 가설의 설명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가설 생성력의 향상 정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과학 지식 생성력 검사 A형과 B형을 사전과 사후에 각각 투입하여 연구 대상 학생들의 가설 생성력을 검사하였다. 연구 결과 TAM 집단이 생성한 가설의 설명도가 전통 집단의 가설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에서 높았다. 가설 생성력 검사에서는 TAM 집단과 전통 집단의 검사 점수가 사전 검사에서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에는 TAM 집단이 의미 있게 높았다. 따라서 TAM을 적용한 가설 생성 활동은 전통적인 방법보다 가설 생성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effects of the Triple Abduction Model (TAM) for improving the skills of scientific hypothesis generation in science learning. Twenty-six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e TAM group and 27 others were selected for a traditional group from one high school. Researchers developed and administered 10 TAM and traditional-style activities. The degree of hypothesis explanation was evaluated dur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Each Subjects’ ability in scientific hypothesis generation was assessed by the Science Knowledge Generation Test A and B. Test A was used as a protest and B for a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degree of hypothesis explanation of TA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degree of the traditional group, and the mean of the TAM group was equal to the mean of traditional group on the pretest. Additionally, the mean of the TAM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an of the control group on the posttest. Therefore, instruction with TA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instruction using traditional method for increasing students’ hypothesis generation skill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분야 BEST
더보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수(Jeong, Jin-Su),원희정(Won, Hee-Jeong),권용주(Kwon, Yongju). (2005).과학적 가설의 생성력 향상을 위한 삼원귀추모형의 적용. 개인저작물 - 사회, , 595-602

    MLA

    정진수(Jeong, Jin-Su),원희정(Won, Hee-Jeong),권용주(Kwon, Yongju). "과학적 가설의 생성력 향상을 위한 삼원귀추모형의 적용." 개인저작물 - 사회, .(2005): 595-6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