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서와 작문 통합 지도의 전망

이용수  140

영문명
Integrative prospects of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in nonfiction genre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김봉순(Kim, Bong-soon)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제11호, 83~11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독서와 작문의 통합을 비문학 장르를 대상으로 독서와 작문의 통합 구도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독서와 작문의 통합 내용을 사고(인지), 담화(장르와 의미), 담화장의 요소로 밝혀 각각 통합의 장단점을 검토하였다. 통합의 본질은 교육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는 두 활동의 통일적 연계에 있다. 독서와 작문은 사고, 담화, 의사소통의 세 차원에서 관련성을 갖는다. 사고(인지) 특성은 독서와 작문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배치하는 구도로 통합된다. 담화 형식인 장르 특성은 특정 장르의 글쓰기를 활용한 독서 또는 독서를 통한 장르 학습 후의 글쓰기 구도로 통합된다. 담화 내용인 의미 특성은 독서 후 활동으로 작문하기, 작문을 위한 내용생성으로서의 독서하기의 구도로 통합된다. 의사소통 차원인 담화장은 필자의 글이 독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또한 독자의 이해가 필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대화적인 소통환경을 설정함으로써 독서와 작문을 통합한다. 독서와 작문의 통합은 교육과정 수준에서, 학습자의 발달을 고요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입문기 시기에는 인지특성 중심의 통합을 계획하고, 초등 중학년 이후로 장르와 의미 중심의 통합을 계획한다. 담화장에서의 통합은 장르와 의미 중심의 통합과 결합하여 시도하되, 초등고학년 이후부터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a frame of integrative teaching in reading and writing. For this purpose, I make clear four integrative teaching point : cognitive processes, discourse forms(genre), discourse contents(meaning), fields of discourse. The integrative teaching intends to get the synergy effects. It is usable to integrate sequentially reading and writing focused on cognitive process. It is possible to integrate effectively the two areas on same formed texts like this way: writing with meaning come from reading or reading for discovering ideas. And we can try to integrate two areas on shared discourse field by giving direct conversational channels between writer and reader. In the beginning of reading and writing. I recommend integrative teaching focused in cognitive processes. Around three or four grade, it is possible to teach students with integration focused genre and meaning characteristics. And integrative teaching connected in fields of discourse is possible at over five or six grade.

목차

Ⅰ. 서론
Ⅱ. 통합의 관점
Ⅲ. 통합의 대상
Ⅳ. 통합의 구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분야 BEST
더보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봉순(Kim, Bong-soon). (2004).독서와 작문 통합 지도의 전망. 개인저작물 - 사회, , 83-112

    MLA

    김봉순(Kim, Bong-soon). "독서와 작문 통합 지도의 전망." 개인저작물 - 사회, .(2004): 83-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