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전두엽연합령의 기능과 보존논리 형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용수  31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ervation Reasoning and Functional Prefrontal Lob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권용주(Kwon, Yong-ju) 김영신(Kim, Young-shin) 배윤주(Bae, Yoon-ju) 정진수(Jeong, Jin-su, 정완호(Jeong, Wan-ho)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제24권 제3호, 417~428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0.0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보존 논리는 조작적 사고를 가능케 하는 도구적 역할로서 과학, 수학, 물리학, 등의 분야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필수적인 개념이다. 보존 논리의 형성 여하에 따라 수리문제의 해결 능력과 과학적 유추 능력, 추상적 사고능력이 결정되며, 인지 발달 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개념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보존 논리 형성과 전두엽연합령 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사고력 향상과 과학개념 시기를 앞당기는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1, 2, 3학년 학생의 보존 논리의 형성 정도는 약 50% 정도였으며, 수 보존 논리의 형성 정도가 가장 높았고, 부피 보존 논리의 형성 정도가 가장 낮았다. 보존 논리의 형성은 비선형적으로 일어났으며, 보존 논리의 형성 정도에 따라서, 추론 능력과 설계 능력, 보속적 오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보존 논리와 전두엽연합령 기능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보존 논리 형성에 대한 예측 변인으로는 추론 능력과 설계 능력이였으며, 이들 변인이 보존 논리에 대한 설명력은 약 20% 정도이다. 이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보존 논리가 미형성 단계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많이 있지만, 이들 학생들의 보존 논리 형성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보존 논리 형성에 전두엽연합령이 깊은 관계가 있어 전두엽연합령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Conservation reasoning makes operational thought possible as a functional tool and in is the essential concept not only in the area of science and mathematics but also in several aspects of daily life. The abilities to solve mathematical problems and that of scientific reasoning and abstract way of thinking depend on whether thereis conservation reasoning or not and they are critical concepts that enables us to confirm the steps of cognitive development. Therefor in the study, we emphasized the issue that is the ways to speed up the scientific era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rmation of conservation reasoning and neuro-cognitive variables. About 50% of 1-3 grade students did not had conservation reasoning skills. The formation of conservations was not linear. Scientific reasoning ability, planing and inhibit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levels of conservation, And conservation reason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gnitive variables. Scientific reasoning and planning ability significantly explained about 20% of the conservation reasoning ability of 1-3 grad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분야 BEST
더보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용주(Kwon, Yong-ju),김영신(Kim, Young-shin),배윤주(Bae, Yoon-ju),정진수(Jeong, Jin-su, 정완호(Jeong, Wan-ho). (2004).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전두엽연합령의 기능과 보존논리 형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개인저작물 - 사회, , 417-428

    MLA

    권용주(Kwon, Yong-ju),김영신(Kim, Young-shin),배윤주(Bae, Yoon-ju),정진수(Jeong, Jin-su, 정완호(Jeong, Wan-ho).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전두엽연합령의 기능과 보존논리 형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개인저작물 - 사회, .(2004): 417-4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