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서교육에서 비판의 성격과 지도내용

이용수  177

영문명
The concept of criticism and contents of teaching reading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김봉순(Kim, Bongsoon)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제19호, 167~19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논의되어 온 비판의 개념을 정리․분석함으로써, 독서교육에 유용한 비판적 사고의 지도 내용을 마련하여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학 및 교육학 분야에서 논의되어 온 비판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판의 성격을 ‘평가하기’로서의 비판, ‘인식하기’로서의 비판, ‘통찰하기’로서의 비판 세 가지로 정리하고, 비판의 개념을 구성하는 요소를 ‘기존 관념’과 ‘저항’의 태도, 여기에서 생성되는 ‘새 관념’의 세 가지와, ‘새 관념의 기저’ 및 ‘기존 관념의 기저’의 두 가지 요소를 더하여 다섯 가지로 설명하였다. 이런 개념 분석의 틀을 독서에 적용하여 가능한 비판의 구도를 알아보았다. 독서 과정에는 ‘글’과 ‘독자’, ‘맥락’의 세 가지 요소가 상호작용하며, 이들이 각각 기존 관념과 새 관념으로 기능하며 평가적이고 인식적이며 통찰적인 비판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이에 제7차 교육과정 및 현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비판적 독서의 지도내용과 비교하여, 독서교육에서 더욱 충실하게 다루어져야 할 비판의 지도내용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 첫째, 비판의 목적을 뚜렷이 하기, 둘째, 평가적인 비판은 대안 형성의 사고로 더 이끌기, 셋째, 인식적 비판에서 ‘저항’ 개념을 더욱 명료화하기, 넷째, 통찰적인 비판을 강화하기의 네 가지가 앞으로 독서지도에서 다루어져야 할 사항임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criticism and to suggest contents of teaching reading. For this purpose, first, I surveyed usages of the concepts `criticism or critical thinking` in sociology and education. And I abstracted three concepts of critical thinking as a judgement, a discernment, and introspection and distinguished these three concepts with five features as resistant attitude, given idea, new idea, given viewpoint, and new viewpoint. Second, I classified and arranged contents of reaching reading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As the result I knew that the new curriculum(`2007) has almost balanced contents. But it is needed to supplement some ideas : 1) we have to let they(students) know why it is better to read books critically, 2) we have to teach it is better to make their own new ideas when they perform judgemental criticism, 3) we have to clarify and suggest them the concept of resistance when they perform discernible criticism, and 4) we have to supplement and suggest them contents of teaching reading of introspectional criticism.

목차

Ⅰ. 여는 말
Ⅱ. 비판의 성격
Ⅲ. 비판의 지도 내용
Ⅳ.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분야 BEST
더보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봉순(Kim, Bongsoon). (2008).독서교육에서 비판의 성격과 지도내용. 개인저작물 - 사회, , 167-199

    MLA

    김봉순(Kim, Bongsoon). "독서교육에서 비판의 성격과 지도내용." 개인저작물 - 사회, .(2008): 167-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