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이용수  6

영문명
Types of Scientific Questions Generated in Observational Activity by Elementary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s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이혜정(Hye-Jeong Lee) 정진수(Jin-Su, Jeong) 박국태(Kuk-Tae Park) 권용주(Yong-Ju Kwon)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사회』제24권 제5호, 1018~1027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0.0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인 현상이 제시되었을 때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그 현상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생성하는 과학적 의문의 유형을 분석하여 분류하고,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생성한 의문의 유형과 수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관찰활동 수행에 적합한 4가지의 과제 즉, 사이다에 담긴 건포도 관찰, 촛불 관찰, 잉크에 염색된 샐러리 관찰, 암석 관찰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0명과 교원 양성 대학교에서초등교육을 전공하는 초등예비교사 4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의문의 유형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의문의 유형은 크게 추측적 의문, 인과적 의문, 예측적 의문, 방법적 의문, 적용적 의문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하위 의문으로 각각 대상탐색 의문과 대상확인 의문, 설명자탐색 의문과 설명자확인 의문, 결과탐색 의문과 결과확인 의문, 실례탐색 의문과 실례확인 의문으로 분류하였는데, 방법적 의문에서는 하위 의문이 나타나지 않았다.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은 모두 동일하였으나, 그 빈도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types of scientific questions which were generat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s on the tasks of scientific observation. To identify the types of scientific questions, 4 observing tasks, dry grapes contained in soda pop, candlelight, celery, and a rock were administered to 40 sixth elementary students and 20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then, the types and frequency of scientific questions generated by them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ypes of scientific questions were classified into conjectural questions, causal questions, predictive questions, methodical questions and applicative questions. Further more, subordinate questions to the above questions were classified into object exploration questions and object verification questions, explicans exploration questions and explicans verification questions, result exploration questions and result verification questions, example exploration questions and example verification questions. Subordinate questions did not come out from the methodical questions. The types of scientific questions generat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s were identical,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frequency. This study supports that elementary students also have cognitive capability to generate various scientific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teaching strategy for the guidance of the direction and the method of scientific inquir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정(Hye-Jeong Lee),정진수(Jin-Su, Jeong),박국태(Kuk-Tae Park),권용주(Yong-Ju Kwon). (2004).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개인저작물 - 사회, , 1018-1027

MLA

이혜정(Hye-Jeong Lee),정진수(Jin-Su, Jeong),박국태(Kuk-Tae Park),권용주(Yong-Ju Kwon).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개인저작물 - 사회, .(2004): 1018-10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