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표준화 교육과정과 학생 주도성: 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0
- 영문명
- Standardized Curriculum and Student Agency: A Narrative Inquiry into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수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957~98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생 주도성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대 위에서 국가교육과정을 비롯하여 학생 주도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교육 지원책들이 마련되고 있다. 특히 그간 학생 주도성을 제약해 왔다고 비판받아 온 표준화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제기 속에서, 교사들의 교육과정 다양화를 위한 노력이 교육 혁신의 핵심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정작 학생 주도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다양화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어 교사들의 관점이나 경험이 적극적으로 고려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표준화된 교육 체제 속에서 교사들이 학생 주도성 함양을 위해 어떠한 수업을 만들어가고 있으며, 수업의 과정이 어떠한 고민과 어려움을 동반하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이 자신과 자신이 속한 공적 세계를 이해하고 탐색할 수 있는 수업을 만들어가기 위해 노력하며, 학생들이 자신과 세계의 변화를 이끌어가는 주체로 성장하는 것을 지원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이 개인적이며 사회적인 맥락에서 자신의 고유함을 드러낼 수 있도록 장려하며 표준화 교육과정을 다양화하는 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나아가 여전히 표준화 교육과정이 우위를 차지하는 현실 속에서 학생들의 고유함이 다시 표준화되지 않도록, 경제적 논리에 의거한 교육의 구조와 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Amid growing societal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fostering student agency, various educational policies—including revisions to the national curriculum—have been implemented. In particular, against criticism that the standardized national curriculum has constrained student agency, teachers’ efforts to diversify it have been highlighted as a key driver of educational innovation. However, th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of teachers have been insufficiently considered in shaping how such diversification should unfold. This study employed a narrative inquiry method to examine teachers’ efforts to foster student agency within the standardiz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hallenges they fac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sought to creat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xplore both themselves and the public world to which they belong, thereby supporting their growth as agents of chang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highlighted the need to support students in expressing their uniqueness within personal and social contexts, positioning themselves as active agents in diversifying the curriculum. It further underscored the necessity of policy efforts to reform educational structures and cultures shaped by economic logic, so that students’ uniqueness is not once again subsumed under standardized practices.
목차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VI.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직윤리 교육 실태 분석
- 교사의 STEAM 융합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에듀테크 기반 수업 설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Wee 클래스 슈퍼비전 제도의 도입 방안을 위한 질적연구 : 전문상담교사의 슈퍼바이지 경험을 중심으로
- 예비중등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실습불안 형성과 변화과정 내러티브 탐색
- 해외 교사교육자 연구 동향 분석: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예비 초・중등 교원을 위한 교과 외 활동 강좌 교육내용 주제 탐색 연구
- 표준화 교육과정과 학생 주도성: 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OECD Teaching Compass 특징 탐색: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 교원 디지털 역량을 위한 마이크로 디그리 설계 및 디지털 배지 적용 방안 탐색
- 학교 업무 효율화 정책에 따른 행정실무원 배치사업 효과 분석: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행정실무원을 중심으로
- 통제집단합성법을 통한지역구분 임용제도의 효과 분석
- 교육과정 문해력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과 학습 경험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원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초등교사 임용시험 과목 중 교직논술 분석: 교직수행능력을 중심으로
- Y시 초등교원의 역량 및 교사행위자성 실태 분석
-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직 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스타그램 관계망이 초등 교사의 교육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전공 이수 경험이AI 리터러시 및 AI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사안처리 중심의 학교폭력 정책변동 분석 연구
- 유치원 교사의 유아기 문해력 및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인식
- OECD Teaching Compass의 주요 특징과 유아교사 전문적 성장을 위한 시사점 탐색
- 도시형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재구성
- 교사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 중학교 교사의 기초학습 지원 실천 경험을 통한 교육적 의미 탐색
- 어떠한 유형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의 교사 참여가 교수실제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가?
-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 재학생의 학업중단 예측 요인 탐색
- 중등교사의 교수학습-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생애주기별 교원교육과정 개발
- 고교학점제 교육 정책의 특수학교 현장 적용 방안 -기본 교육과정 연구학교 담당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 특수교사가 경험한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의미 구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부설 영재학교 교원노조의단체교섭권에 대한 법적 쟁점과 개선방안:한국과학영재학교(KSA) 사례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들의 정체성과직무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저경력 중등교원의 학습기회와 교수·학습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 교사교육 질 제고를 위한 미국 실습 중심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