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교사의 기초학습 지원 실천 경험을 통한 교육적 의미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ducational Meanings of Foundational Learning Support: Middle School Teachers’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여지화 육휘영 우다현 한지윤 황의진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453~4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초학력 저하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국가 차원의 다양한 지원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나, 현장 실행과 교사의 실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내러티브를 통해 기초학습지원의 실제를 분석하고, 교사 실천이 학생, 교실, 학교 제도와 어떻게 충돌하거나 상호작용하는지를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년 이상 중학교에서 기초학습지원을 지속해 온 교사 4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표적집단면접(FGI)을 실시하고, 주제분석법(thematic analysis)을 중심으로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기초학습지원을 단순한 학습 내용 보충이 아닌 ‘존재 회복–관계적 돌봄–전술적 대응’의 통합적 실천으로 인식하며, 제도적 공백 속에서 윤리적 책임감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술적 실천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천은 개인 헌신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양상을 보여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초학습지원의 구조적 전환을 위해 존재 기반 교육의 확립, 학교 내 실행팀의 제도화, 교사 경험에 기반한 연수 체계 구축, 학생 주도 프로그램 지원, 교사의 정책 공동 설계자 인정 등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기초학습지원은 ‘존재–돌봄–제도’가 통합된 교육 복지로 재구성되어야 하며, 학교 제도 속에 구조적으로 정착할 때 교육의 윤리성과 공공성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mid growing concern over declines in students’ basic academic competence, South Korea has implemented various state-level support policies; however, research on school-level enactment and teachers’ day-to-day practices remains limited. Centering teachers as key agents,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design, using thematic analysis (Braun & Clarke, 2021) combined with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Corbin & Strauss, 2018) to investigate their lived experiences and educational meanings. Four middle school teachers with over five years of ongoing support experience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Findings reveal that teachers understood foundational learning support not merely as academic remediation but as an integrated practice of restoring students’ presence, cultivating relational care, and tactically addressing institutional gaps. They enacted ethical responsibility and engaged in tactical practices to create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s for marginalized students. At the same time, heavy reliance on individual commitment raised concerns about sustainability and limited institutional support.
Based on these insights, this study proposes five key directions for structural transformation: (1) establishing presence-based education that recognizes students as more than academic deficits, (2) institutionalizing school-level implementation teams to replace ad hoc individual efforts, (3) developing teacher-training systems grounded in classroom practice, (4) supporting student-led, experience-based programs, and (5) positioning teachers as co-designers rather than mere executors of educational policy.
Consequently, foundational learning support is reconceptualized as the integration of presence, care, and institutional structure, highlighting the educational and ethical significance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lived experien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결과: 아이들 곁의 교사 이야기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직윤리 교육 실태 분석
- 교사의 STEAM 융합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에듀테크 기반 수업 설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Wee 클래스 슈퍼비전 제도의 도입 방안을 위한 질적연구 : 전문상담교사의 슈퍼바이지 경험을 중심으로
- 예비중등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실습불안 형성과 변화과정 내러티브 탐색
- 해외 교사교육자 연구 동향 분석: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예비 초・중등 교원을 위한 교과 외 활동 강좌 교육내용 주제 탐색 연구
- 표준화 교육과정과 학생 주도성: 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OECD Teaching Compass 특징 탐색: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 교원 디지털 역량을 위한 마이크로 디그리 설계 및 디지털 배지 적용 방안 탐색
- 학교 업무 효율화 정책에 따른 행정실무원 배치사업 효과 분석: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행정실무원을 중심으로
- 통제집단합성법을 통한지역구분 임용제도의 효과 분석
- 교육과정 문해력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과 학습 경험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원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초등교사 임용시험 과목 중 교직논술 분석: 교직수행능력을 중심으로
- Y시 초등교원의 역량 및 교사행위자성 실태 분석
-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직 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스타그램 관계망이 초등 교사의 교육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전공 이수 경험이AI 리터러시 및 AI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사안처리 중심의 학교폭력 정책변동 분석 연구
- 유치원 교사의 유아기 문해력 및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인식
- OECD Teaching Compass의 주요 특징과 유아교사 전문적 성장을 위한 시사점 탐색
- 도시형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재구성
- 교사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 중학교 교사의 기초학습 지원 실천 경험을 통한 교육적 의미 탐색
- 어떠한 유형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의 교사 참여가 교수실제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가?
-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 재학생의 학업중단 예측 요인 탐색
- 중등교사의 교수학습-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생애주기별 교원교육과정 개발
- 고교학점제 교육 정책의 특수학교 현장 적용 방안 -기본 교육과정 연구학교 담당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 특수교사가 경험한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의미 구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부설 영재학교 교원노조의단체교섭권에 대한 법적 쟁점과 개선방안:한국과학영재학교(KSA) 사례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들의 정체성과직무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저경력 중등교원의 학습기회와 교수·학습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 교사교육 질 제고를 위한 미국 실습 중심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