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업무 효율화 정책에 따른 행정실무원 배치사업 효과 분석: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행정실무원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the Effects of Administrative Staff Deployment under the School Work Efficiency Policy: A Case Study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고성자 양수경 이은정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57~8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학교 업무 효율화 정책에 따른 행정실무원 배치사업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행정실무원 배치사업이 학교 업무 효율화를 위한 지속적인 사업이 되려면 행정실무원 배치사업의 효과가 확인되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향후 바람직한 행정실무원 운영 방향 제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특히, 행정실무원의 업무를 유, 초, 중, 고 학교급별로 분석하고, 행정실무원 배치교와 미배치교를 비교 분석하여 행정실무원의 배치 효과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하에 도내 유․초․중․고등학교 교원과 행정실무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행정실무원 배치사업은 학교 현장에서 체감하는 교사들의 행정업무 부담을 실질적으로 경감시켜서 수업과 생활지도 등 교육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었다. 다만, 학교 구성원 간 여러 인식 차이와 이로 인한 갈등이 발생하고 있음에 따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administrative staff deployment program implemented under the school work efficiency policy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o ensure the program’s sustainability, it is essential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identifying the specific areas where the program demonstrates imp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sights for the future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staff.
The analysis considers tasks across different school levels—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and compares schools with and without deployed administrative staff.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teachers and administrative staff across these school levels in Jeju Provi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gram effectively reduces teachers’ administrative workload, allowing them to focus more on teaching and student guidanc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educational quality. However, differences in perceptions among school members and related conflicts were also identified.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to address these issues and further improve the program’s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관련 문헌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토픽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농업인력개발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중장년층 업스킬링 및 리스킬링 정책의 효과성 비교 연구: OECD 국가 패널 데이터 분석
- 인증코치의 셀프리더십,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경력몰입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