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유아기 문해력 및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literacy and early childhood literacy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안예슬 임예지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335~36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기 문해력과 문해력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교사 390명이었으며, 연구자들이 개발한 인식 조사 설문지를 배부하여 빈도분석 및 카이제곱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교사들은 현 세대의 문해력이 낮게 평가되는 이유를 다양하게 인식하였는데 이는 교사의 기관 유형, 경력, 학력, 담당 학급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교사들은 디지털 기기 및 영상 매체의 발달이 문해력 저하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보았고, 유아기 문해력에 대한 관심 정도는 높은 편이었으며, 유아기 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가정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둘째, 대부분의 유치원 교사들은 문해력 교육이 유아기부터 필요하다고 하였는데 이는 문해력이 유아의 언어 능력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었다. 교사들은 유아의 문해력 수준이 대체로 보통 이상이라고 보았으나, 교사의 기관 유형과 경력에 따라 응답의 양상이 달랐다. 다수의 교사들은 문해력 교육의 시작 시기를 3세 이하로 보고 있었는데, 이는 교사의 모든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부분이었다. 또한 교사들은 의사소통 영역의 모든 교육내용들이 문해력과 관련된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이 문해력을 광의의 개념으로 보고 유아기 문해력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이는 교사의 문해력 지도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literacy and literacy education.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390 teacher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as distribut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eachers perceived various reasons for the current generation's low literacy skills, which varied depending on the teacher's institution type, career experience, education level, and class age. Teachers identified the development of digital devices and visual media as the primary cause of the decline in literacy skills. They also expressed a high level of interest in early childhood literacy, and considered family factors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early childhood literacy. Second, most kindergarten teachers believed that literacy education is necessary from an early age, as it influences children's overall language abilities. While teachers generally believed that young children's literacy skills were above average, responses varied depending on the teacher's institution type and career experience. A majority of teachers believed that literacy education should begin before the age of three, a point that varied across all teacher variables. Furthermore, teachers perceived all educational content in the communication domain as related to liter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kindergarten teachers view literacy broadly and highly recognize the need for early childhood literacy education. Furthermore, they revealed that perceptions differed depending on teachers' backgrou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strategies to strengthen teachers' expertise in literacy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예슬,임예지. (2025).유치원 교사의 유아기 문해력 및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교육연구, 42 (3), 335-362

MLA

안예슬,임예지. "유치원 교사의 유아기 문해력 및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교육연구, 42.3(2025): 335-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