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유아기 문해력 및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인식
이용수 0
- 영문명
-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literacy and early childhood literac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안예슬 임예지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335~36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기 문해력과 문해력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교사 390명이었으며, 연구자들이 개발한 인식 조사 설문지를 배부하여 빈도분석 및 카이제곱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교사들은 현 세대의 문해력이 낮게 평가되는 이유를 다양하게 인식하였는데 이는 교사의 기관 유형, 경력, 학력, 담당 학급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교사들은 디지털 기기 및 영상 매체의 발달이 문해력 저하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보았고, 유아기 문해력에 대한 관심 정도는 높은 편이었으며, 유아기 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가정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둘째, 대부분의 유치원 교사들은 문해력 교육이 유아기부터 필요하다고 하였는데 이는 문해력이 유아의 언어 능력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었다. 교사들은 유아의 문해력 수준이 대체로 보통 이상이라고 보았으나, 교사의 기관 유형과 경력에 따라 응답의 양상이 달랐다. 다수의 교사들은 문해력 교육의 시작 시기를 3세 이하로 보고 있었는데, 이는 교사의 모든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부분이었다. 또한 교사들은 의사소통 영역의 모든 교육내용들이 문해력과 관련된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이 문해력을 광의의 개념으로 보고 유아기 문해력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이는 교사의 문해력 지도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literacy and literacy education.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390 teacher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as distribut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eachers perceived various reasons for the current generation's low literacy skills, which varied depending on the teacher's institution type, career experience, education level, and class age. Teachers identified the development of digital devices and visual media as the primary cause of the decline in literacy skills. They also expressed a high level of interest in early childhood literacy, and considered family factors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early childhood literacy. Second, most kindergarten teachers believed that literacy education is necessary from an early age, as it influences children's overall language abilities. While teachers generally believed that young children's literacy skills were above average, responses varied depending on the teacher's institution type and career experience. A majority of teachers believed that literacy education should begin before the age of three, a point that varied across all teacher variables. Furthermore, teachers perceived all educational content in the communication domain as related to liter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kindergarten teachers view literacy broadly and highly recognize the need for early childhood literacy education. Furthermore, they revealed that perceptions differed depending on teachers' backgrou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strategies to strengthen teachers' expertise in literacy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직윤리 교육 실태 분석
- 교사의 STEAM 융합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에듀테크 기반 수업 설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Wee 클래스 슈퍼비전 제도의 도입 방안을 위한 질적연구 : 전문상담교사의 슈퍼바이지 경험을 중심으로
- 예비중등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실습불안 형성과 변화과정 내러티브 탐색
- 해외 교사교육자 연구 동향 분석: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예비 초・중등 교원을 위한 교과 외 활동 강좌 교육내용 주제 탐색 연구
- 표준화 교육과정과 학생 주도성: 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OECD Teaching Compass 특징 탐색: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 교원 디지털 역량을 위한 마이크로 디그리 설계 및 디지털 배지 적용 방안 탐색
- 학교 업무 효율화 정책에 따른 행정실무원 배치사업 효과 분석: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행정실무원을 중심으로
- 통제집단합성법을 통한지역구분 임용제도의 효과 분석
- 교육과정 문해력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과 학습 경험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원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초등교사 임용시험 과목 중 교직논술 분석: 교직수행능력을 중심으로
- Y시 초등교원의 역량 및 교사행위자성 실태 분석
-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직 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스타그램 관계망이 초등 교사의 교육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전공 이수 경험이AI 리터러시 및 AI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사안처리 중심의 학교폭력 정책변동 분석 연구
- 유치원 교사의 유아기 문해력 및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인식
- OECD Teaching Compass의 주요 특징과 유아교사 전문적 성장을 위한 시사점 탐색
- 도시형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재구성
- 교사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 중학교 교사의 기초학습 지원 실천 경험을 통한 교육적 의미 탐색
- 어떠한 유형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의 교사 참여가 교수실제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가?
-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 재학생의 학업중단 예측 요인 탐색
- 중등교사의 교수학습-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생애주기별 교원교육과정 개발
- 고교학점제 교육 정책의 특수학교 현장 적용 방안 -기본 교육과정 연구학교 담당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 특수교사가 경험한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의미 구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부설 영재학교 교원노조의단체교섭권에 대한 법적 쟁점과 개선방안:한국과학영재학교(KSA) 사례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들의 정체성과직무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저경력 중등교원의 학습기회와 교수·학습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 교사교육 질 제고를 위한 미국 실습 중심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