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원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ollaborative Interaction Experiences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ng in a Semester-Long Practicum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성민선 김종훈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137~16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원들이 실습 과정에서 경험한 협력적 상호작용의 양상과 의미를 질적으로 탐구하고, 이러한 경험이 예비교원 교육에 갖는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서울시 소재 A 사범대학 3학년 예비교원 10명을 대상으로 2023년 2학기 15주간의 학교현장실습학기제 과정에서 수집된 성찰 기록 651개 문서와 심층 면담 자료를 귀납적 질적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원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은 네 가지 차원으로 나타났다. 첫째, 개인적 실습에서 공동체적 실천으로의 전환을 통해 소속감과 책임감을 형성하였다. 둘째, 수업 중심의 관점을 넘어 학교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로 확장되며 조직적 맥락과 공동체 가치를 체득하였다. 셋째, 타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교사 정체성의 형성과정에서 ‘함께 성장하기’의 의미를 발견하였다. 넷째, 일부 예비교원이 경험한 협력의 부재 상황은 역설적으로 협력적 상호작용의 필수 조건들을 명확히 드러내었다. 특히 협력적 상호작용은 예비교원에게 단순한 역할 분담이나 정서적 유대를 넘어서, 실천의 판단과 언어를 타자와 함께 구성하고 조정해 가는 관계적 실천의 방식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예비교원들은 교사됨을 고정된 자질로 내면화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실천의 의미와 정당성을 해석하고 조정하며 성장하는 관계적 과정으로 경험하였다. 이 연구는 예비교원이 경험한 협력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사됨’의 감각과 교육 실천의 관계적 구조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통찰을 제공하고, 예비교원 교육이 지식 전달 중심에서 관계적 실천과 공동체적 성장을 중심으로 하는 구조로 전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aspects and meanings of collaborative interactions experienced by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ng in a semester-long practicum, and to reveal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hese experiences have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651 reflection documents and in-depth interview data collected during a 15-week semester-long practicum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3, targeting 10 third-year pre-service teachers from A Teachers' College located in Seoul, through inductiv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collaborative interaction experiences appeared in four dimensions. First, they formed a sense of belonging and responsibility through the transition from individual practice to communal practice. Second, they expanded beyond a lesson-centered perspective to understanding the overall school culture, acquiring organizational context and community values. Third, they discovered the meaning of 'growing togeth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eacher identity through interactions with others. Fourth, the absence of collaboration experienced by some pre-service teachers paradoxically revealed the essential conditions for collaborative interaction clearly. In particular, collaborative interaction appeared to pre-service teachers not merely as role division or emotional bonding, but as a relational practice method of constructing and coordinating practical judgments and language together with others. In this process,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becoming a teacher not as internalizing fixed qualities, but as a relational process of growing by interpreting and coordinating the meaning and legitimacy of practice through interactions with others. This study provided new theoretical insights into the sense of 'becoming a teacher' and the relational structure of educational practice by analyzing in-depth the essence of collaboration experienced by pre-service teachers. It also suggests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transition from a knowledge transmission-centered structure to one centered on relational practice and communal growth, presenting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 semester-long practicu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협력적 상호작용과 예비교원의 전문성 형성
Ⅲ. 연구방법
Ⅳ.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서 예비교원이 경험한 협력적 상호작용의 양상과 그 의미
Ⅴ. 결론 및 시사점: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한 '교사됨'의 형성과 교육적 의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민선,김종훈. (2025).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원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42 (3), 137-163

MLA

성민선,김종훈.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원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42.3(2025): 137-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