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교사의 교수학습-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생애주기별 교원교육과정 개발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ing a Life-Cycle-Based Curriculum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Focusing on Teaching and Assessment Competencie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임다미 오수경 오수연 노영현 함은혜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531~56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I·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 확대, 과정중심평가로의 전환과 같은 교육의 변화를 반영하여, 중등교사의 교수학습-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생애주기별 교원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분석과 초점집단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2차에 걸친 10인의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통해 교육과정을 타당화하여 최종 교육과정을 도출하였다. 교사의 생애주기를 복합·역동적 발달모형을 기반으로 적응기-성장기-발전기-나눔기의 4단계로 구분하고, 중등교사에게 필요한 교수학습-평가 역량을 수업 및 평가 설계 역량, 수업 및 과정중심평가 실행 역량, 피드백-성찰-개선 역량으로 구성하였다. 적응기 교육과정은 학생, 교육과정, 수업 설계에 대한 이해와 실습을 중심으로, 성장기 교육과정은 개별 프로그램에서 배운 내용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스스로 수업, 평가 설계·개발 및 개선할 수 있는 역량을 중심으로, 발전기 교육과정은 영역별 전문가 되기를 중심으로, 나눔기 교육과정은 리더, 멘토 역할이 가능하도록 학교 내 협력적 문제 해결을 위한 컨설팅 및 코칭 전략을 중심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교수학습-평가 역량 함양에 중점을 두고 교사의 생애주기에 따라 필요한 역량별 프로그램을 구체적, 체계적으로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ife-cycle-base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o strengthen secondary school teachers’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competencies. The curriculum responds to recent educational transformations such as the integ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shift toward process-based assessment. The curriculum was initially constru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then validated through a two-round Delphi study with ten experts. The teacher life cycle was conceptualized in four stages - adaptation, growth, advancement, and contribution - within a dynamic developmental framework. Competencies were structured into three domains: designing instruction and assessment; implementing instruction and process-based assessment; and engaging in feedback, professional reflection, and instructional improvements. The adaptation stage emphasizes understanding students, curricula, and instructional design through guided practice. The growth stage focuses on autonomous lesson and assessment design, implementation, and revision. The advancement stage develops subject-specific instructional expertise, and the contribution stage fosters leadership and mentorship through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consulting, and coaching in school context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lies in its systematic proposal of stage-specific programs aligned with the teacher life cycle, emphasizing the development of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competen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다미,오수경,오수연,노영현,함은혜. (2025).중등교사의 교수학습-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생애주기별 교원교육과정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42 (3), 531-560

MLA

임다미,오수경,오수연,노영현,함은혜. "중등교사의 교수학습-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생애주기별 교원교육과정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42.3(2025): 531-5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