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AI융합교육 전공 이수 경험이AI 리터러시 및 AI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an AI Convergence Education Graduate Program on AI Literacy and AI Teaching 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남수호 김경언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277~30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의 AI융합교육 전공 과정 이수 경험에 따른 AI 리터러시와 AI 교수효능감 수준 및 인식 차이를 밝히고 AI융합교육 전공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대학교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 전공 이수 경험이 있는 교사 51인을 포함한 대전 지역 초중고 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SPSS 29을 활용해 독립표본 t-검정 및 효과 크기(Cohen’s d)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AI융합교육 전공 경험 교사 3명을 포함한 총 6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AI 리터러시 및 AI 교수효능감에 대한 인식과 AI융합교육 전공 경험의 의미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 이수 교사들은 AI 리터러시와 AI 교수효능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특히 AI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 AI에 대한 개인 교수 효능에서 가장 큰 차이를 드러냈다. 질적 분석에서도 AI 리터러시 개념 이해, 정보 윤리 인식 태도, AI 도구 활용 경험, AI 수업 활용 수용 태도 등에서 뚜렷한 인식 차이가 확인되었다. 나아가 AI융합교육 경험은 교사들에게 전문적 공동체를 통한 성장, AI 역량의 비약적 상승, AI 수용 태도의 성찰적 전환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AI융합교육 전공 과정 내 마이크로 티칭 도입, AI융합교육 전공 지속 요구와 이수 교사 역량 활용 방안 마련, 미경험 교사를 위한 단기 집중 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an AI Convergence Education graduate program on AI literacy and AI teaching efficacy, and explores the perceived significance of such experienc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Daejeon, including 51 who had completed the program.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s and effect size estimates (Cohen’s d) in SPSS 29. To complem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six teachers, three of whom had program experience,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The results show that program completer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AI literacy and AI teaching efficacy. The qualitative analysis further revealed notable differences in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AI, awareness of information ethics, experiences with AI tools, and receptivity to AI-based instruction.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as also associated with professional growth through learning communities, rapid enhancement of AI competencies, and reflective changes in attitudes toward AI integrat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micro-teaching components into the program, sustaining and leveraging the expertise of graduates, and offering short-term intensive courses for teachers without prior experi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직윤리 교육 실태 분석
- 교사의 STEAM 융합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에듀테크 기반 수업 설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Wee 클래스 슈퍼비전 제도의 도입 방안을 위한 질적연구 : 전문상담교사의 슈퍼바이지 경험을 중심으로
- 예비중등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실습불안 형성과 변화과정 내러티브 탐색
- 해외 교사교육자 연구 동향 분석: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예비 초・중등 교원을 위한 교과 외 활동 강좌 교육내용 주제 탐색 연구
- 표준화 교육과정과 학생 주도성: 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OECD Teaching Compass 특징 탐색: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 교원 디지털 역량을 위한 마이크로 디그리 설계 및 디지털 배지 적용 방안 탐색
- 학교 업무 효율화 정책에 따른 행정실무원 배치사업 효과 분석: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행정실무원을 중심으로
- 통제집단합성법을 통한지역구분 임용제도의 효과 분석
- 교육과정 문해력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과 학습 경험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원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초등교사 임용시험 과목 중 교직논술 분석: 교직수행능력을 중심으로
- Y시 초등교원의 역량 및 교사행위자성 실태 분석
-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직 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스타그램 관계망이 초등 교사의 교육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전공 이수 경험이AI 리터러시 및 AI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사안처리 중심의 학교폭력 정책변동 분석 연구
- 유치원 교사의 유아기 문해력 및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인식
- OECD Teaching Compass의 주요 특징과 유아교사 전문적 성장을 위한 시사점 탐색
- 도시형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재구성
- 교사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 중학교 교사의 기초학습 지원 실천 경험을 통한 교육적 의미 탐색
- 어떠한 유형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의 교사 참여가 교수실제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가?
-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 재학생의 학업중단 예측 요인 탐색
- 중등교사의 교수학습-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생애주기별 교원교육과정 개발
- 고교학점제 교육 정책의 특수학교 현장 적용 방안 -기본 교육과정 연구학교 담당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 특수교사가 경험한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의미 구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부설 영재학교 교원노조의단체교섭권에 대한 법적 쟁점과 개선방안:한국과학영재학교(KSA) 사례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들의 정체성과직무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저경력 중등교원의 학습기회와 교수·학습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 교사교육 질 제고를 위한 미국 실습 중심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