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과정 문해력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과 학습 경험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z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Learning Experiences of Curriculum Literacy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민보선 양효준 유성열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109~13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교사 양성과정에서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 문해력의 중요도와 실제 학습 기회 경험 간 격차를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K대학교 초등교육과 4학년 69명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문해력의 세 영역(주어진, 가르친, 배운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양성과정에서의 학습 기회 충분도를 측정하고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배운 교육과정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했으나(배운>주어진>가르친), 실제 학습 기회는 주어진 교육과정 영역에서 가장 충분했다고 응답했다(주어진>배운>가르친). 중요도와 학습 기회 간 격차는 배운 교육과정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주어진 교육과정에서는 학생 맥락을 고려한 교육과정 적절성 판단 및 재구성 역량, 가르친 교육과정에서는 학생 반응에 따른 실시간 조정 및 협의 역량, 배운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성장 모니터링과 학습 어려움 이해 역량이 중요도에 비해 학습 기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예비교사가 주어진 교육과정을 단순히 이해하는 수준을 넘어 학생 맥락에 따라 해석하고 판단하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 둘째, 교육실습을 차시 단위 수업 실연 중심에서 단원 단위 ‘교실교육과정 개발-실천-성찰-환류’의 순환적 경험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 셋째, 교사의 가르침뿐 아니라 학생의 배움을 읽고 응답하는 문해력을 균형 있게 강조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literacy, as well as the extent to which they had learned about it within teacher education programmes. A self-report survey was administered to 69 fourth-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at K University. The survey asked the students to rate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sufficiency of their learning experiences across three domains of curriculum literacy: the mandated curriculum, the taught curriculum, and the learned curriculum.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also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learned curriculum as the most important (learned > mandated > taught). However, they reported that learning opportunities were most sufficient in the mandated curriculum (mandated > learned > taught). The largest gap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found in the learned curriculum. Specifically, in the mandated curriculum, comparatively lower performance was observed in evaluating appropriateness and adapting to students’ needs. In the taught curriculum, real-time reflection based on student responses was performed poorly. In the 'learned' curriculum, there was a notable gap in monitoring student growth and identifying learning difficul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ree implications are discussed. Firstly, teacher education programmes should be designed to help pre-service teachers develop interpretation, judgement, and practical criteria, moving them beyond merely understanding curriculum documents. Secondly, practicum programmes should move beyond a lesson-centred approach to a unit-centred one, enabling pre-service teachers to engage in a cyclical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Thirdly, teacher education programmes should emphasise not only teaching literacy, but also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VI.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민보선,양효준,유성열. (2025).교육과정 문해력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과 학습 경험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2 (3), 109-136

MLA

민보선,양효준,유성열. "교육과정 문해력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과 학습 경험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2.3(2025): 109-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