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들의 정체성과직무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Meta-Synthesis of the identity and job performance experiences of teachers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진미영 임태원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651~68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 단위 특수교육의 종합적 지원을 위하여 설치·운영되기 시작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관 특성을 바탕으로, 해당 센터에 소속된 교사들의 정체성 형성과 직무 수행 경험을 종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2018년 이후 수행된 특수교육지원센터 소속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 14편을 선정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4개 상위범주와 14개 하위범주를 도출하여 논의를 종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는 교육행정기관으로 센터 소속 교사들은 학교에서의 교육 활동 경험과 비교하여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교육 전문성 기반의 역할 정립을 과제로 제시하였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가 수행하는 진단평가, 개별화가족지원계획 등의 전문적 지원과 관련하여 센터 소속 교사들은 자신의 지식과 관련 경험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인력 기반의 조직 재구성을 촉구하였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유능한 교사로 활동하기 위해서 직무 수행 동기와 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도록 전문 연수 제공, 복무 및 업무에 관한 처우 개선에 대한 공통된 요구가 확인되었다. 끝으로, 현재 특수교육지원센터가 학교 현장에서 갖는 위상 및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기반 마련과 구체적인 업무 수행에 대한 매뉴얼 개발 등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전반의 개선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synthesize the identity formation and job performance experiences of teachers working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urteen studies conducted since 2018 targeting teachers at these centers were selected and subjected to a qualitative meta-analysis. This analysis identified 4 main categories and 14 subcategories, which were then synthesized for discussion. The main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re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eachers at these centers experienced confusion about their identity compared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at school. They suggested the need to establish roles based on educational expertise. Second, teachers at these centers perceived a lack of knowledge and relevant experience in providing specialized support, such as diagnostic assessments and individualized family support plans,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onsequently, they urged a restructuring of the organization based on a diverse workforce. Third, a common need was identified for professional training to enhance motivation and sense of efficacy in performing their duties as competent teachers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s well as improved treatment and working conditions. Finally,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need for innovation in the overall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cluding establishing a foundation to elevate their status and recognition in schools and developing a manual for specific task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미영,임태원. (2025).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들의 정체성과직무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2 (3), 651-680

MLA

진미영,임태원.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들의 정체성과직무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2.3(2025): 651-6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