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OECD Teaching Compass 특징 탐색: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ECD Teaching Compass: Reconceptualizing Teacher Professionalism as Agents of Curriculum Change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유성열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OECD에서 제안한 Teaching Compass의 개념적 구조와 특징을 크게 총론과 각론 차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Teaching Compass의 도입 배경과 개발 과정을 개관한 뒤 총론과 각론 차원에서 그 구조를 분석하였다. 총론적 특징으로는 자기개념을 정박 점으로 하는 구조적 설계, 미래지향적 교사상, 생태학적 접근을, 각론적 특징으로는 교사 행위성의 다층적 차원(개인-공동-집단), 지식-기술-태도·가치의 통합적 역량 체계, 신체적-인지적-사회·정서적 웰빙의 제도적 보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eaching Compass는 교사를 교육과정의 수동적 전달자가 아닌 ‘교육과정 변화 주체(agents of curriculum change)’로 재개념화하며, '존재-소속-되어감'의 3차원적 자기개념을 기반으로 행위성, 역량, 웰빙이 유기적으로 얽힌 전문성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사를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 재개념화하기 위한 시사점으로 첫째, 자기개념의 정박을 통한 교사 정체성 재구성 필요성, 둘째, 개인-공동-집단 행위성의 상호작용을 통한 교육과정 실천력 강화, 셋째, 지식과 역량의 이분법을 넘어선 통합적 역량 개발, 넷째, 교사 웰빙의 제도적 보장을 통한 전문성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Teaching Compass에 대한 국내 초기 분석 시도로서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담론의 생태학적 전환을 제안하였으며, 향후 관련 실증 연구 및 교육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준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ceptu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ECD Teaching Compass at both general and specific levels, and to explore directions for reconceptualizing teacher professionalism as agents of curriculum change. To this end, the study reviews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ing Compass, followed by a structural analysis at both levels. At the general level, the analysis identifies three key features: structural design anchored in self-concept, future-oriented teacher vision, and ecological approach. At the specific level, it examines the multi-layered dimensions of teacher agency (individual-co-collective), an integrated competency framework encompassing knowledge-skills-attitudes and values, and institutional assurance of physical-cognitive- socio-emotional well-being.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Teaching Compass reconceptualizes teachers from passive transmitters of curriculum to 'agents of curriculum change,' presenting a professionalism structure where agency, competencies, and well-being are organically interwoven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elf-concept of 'being-belonging-becom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erives implications for reconceptualizing Korean teachers as agents of curriculum change: first, the need to reconstruct teacher identity through the anchoring of self-concept; second, strengthening curriculum enactment capacity through the interaction of individual-co-collective agency; third, developing integrated competencies that transcend the dichotomy between knowledge and skills; and fourth, ensuring sustainability of professionalism through institutional guarantees of teacher well-being. As an initial domestic analysis of the Teaching Compass, this study proposes an ecological turn in the discourse on teacher professionalism as agents of curriculum change and provides theoretical foundations for future empirical research and educational policy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Teaching Compass 개관
Ⅲ. Teaching Compass의 총론적 특징
Ⅳ. Teaching Compass의 각론적 특징
Ⅴ.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를 위한 시사점
VI.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성열. (2025).OECD Teaching Compass 특징 탐색: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42 (3), 1-25

MLA

유성열. "OECD Teaching Compass 특징 탐색: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42.3(2025):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