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Y시 초등교원의 역량 및 교사행위자성 실태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Competencies and Teacher Agenc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ity Y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선 하동엽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195~22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Y시 초등교원의 교사행위자성 발현을 위해 필요한 전제조건으로서 교원의 역량과 행위자성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사행위자성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Y시 교사, 학생, 학부모가 참여한 협력적 탐구집단(Collaborative Inquiry Group, CIG)을 구성하여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의 역량 보유 정도와 중요도, 역량 함양 방식의 선호도, 교사행위자성 발휘 경험 및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Y시 초등교사는 정체성 영역의 역량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 관계 영역의 역량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분석 결과, 갈등 조정 역량, 학생 이해 역량, 교육과정 해석 역량, 상담 역량, 정서적 소통 역량 등이 우선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역량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행위자성 발현 경험은 다수의 교사에게서 확인되었으며, 발현을 지원하는 요인으로는 학생, 학부모의 신뢰와 존중, 자율성과 능동성을 존중하는 학교 분위기, 교사의 자발적 의지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반면 행정업무 과중과 학교장의 비민주적 리더십은 저해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교사행위자성 발현을 위해 교사의 전문적 역량 함양뿐만 아니라, 문화적·구조적 조건 개선과 신뢰 기반의 학교 문화 조성이 병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국가와 시도교육청, 단위학교는 정체성 역량의 유지, 관계·교과지도 역량의 강화, 민주적 학교 운영, 행정업무 경감을 위한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eachers’ competencies and agency as prerequisites for the enactment of teacher agenc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ity Y,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teacher agency. To this end, a Collaborative Inquiry Group (CIG) composed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City Y was organized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teacher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eachers’ levels of competency possession and perceived importance, preferences for competency development methods, experiences of exercising teacher agency, and related facto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ity Y possessed the highest level of competencies in the identity domain, while perceiving relational competencies as the most important. Second, Borich’s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revealed that conflict resolution, understanding students, curriculum interpretation, counseling, and emo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ies should be prioritized for development. Third, experiences of exercising teacher agency were reported by a majority of teachers. The supportive factors for agency included students’ and parents’ trust and respect, a school climate that values autonomy and proactivity, and teachers’ own willingness. Conversely,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load and principals’ non-democratic leadership were identified as inhibiting fact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nactment of teacher agency requires not only the cultivation of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ies but also improvements in cultural and structural condi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trust-based school culture. Accordingly, national and local education authorities, as well as individual schools, should provide systematic support to sustain identity competencies, strengthen relational and instructional competencies, promote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and reduce administrative burde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선,하동엽. (2025).Y시 초등교원의 역량 및 교사행위자성 실태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2 (3), 195-220

MLA

김지선,하동엽. "Y시 초등교원의 역량 및 교사행위자성 실태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2.3(2025): 195-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