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형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재구성
이용수 0
- 영문명
- Reconstructing Principal Leadership in an Urban Integrated Elementary–Middle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허가람 박영림 김영실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393~42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시형 초·중 통합운영학교에서 학교장이 수행하는 리더십의 특성과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통합운영학교는 제도적으로 하나의 학교로 구성되어 있지만, 실제 운영 측면에서는 교육과정, 문화, 행정 구조 등에서 초·중등 간 이질성이 뚜렷한 복합적 조직이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운영학교에 근무한 교사 및 관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전사 자료를 기반으로 귀납적 분석을 통해 학교장이 수행하는 핵심 리더십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초·중 통합운영학교의 학교장은 단순한 행정관리자나 민주적 조력자가 아닌, ‘연결과 조율의 중심’, ‘공동정체성의 설계자 역할’, ‘전략적 정보 조정자 역할’로 기능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실천 양상을 바탕으로 통합운영학교에 적합한 새로운 리더십 유형으로서 ‘조율하는 리더십’, ‘공동정체성을 설계하는 리더십’, ‘지식순환을 촉진하는 리더십’을 제안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학교장 리더십 담론을 확장하며, 복합 조직 구조에 대응하는 전략적 리더십의 실천 모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리더십이 실제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통합운영학교의 특수성을 반영한 맞춤형 연수, 학교 조직 내 협업 기반 구축, 통합운영학교의 인식 재고, 제도적 정책 지원이 병행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case study explores principal leadership in urban integrated elementary–middle schools. Although these schools are legally configured as a single institution, they operate as complex organizations characterized by marked heterogeneity between the elementary and middle levels in curriculum, culture, and administrative structure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used inductive analysis of the transcripts to derive core leadership practices. Findings indicate that principals act not as mere administrative managers or democratic facilitators, but as (i) a coordinating hub, (ii) a designer of shared identity, and (iii) a strategic coordinator of information. On this basis, we propose three leadership types tailored to integrated schools: Coordinating Leadership, Identity-Crafting Leadership, and Knowledge-Circulation Leadership. This proposal extends traditional discourse on principal leadership by presenting a strategic, practice-oriented model suited to complex organizational structures. We further recommend supporting the enactment of these leadership types through customized training specific to integrated schools, collaborative organizational structures, reframing of perceptions of integrated schools, and robust policy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직윤리 교육 실태 분석
- 교사의 STEAM 융합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에듀테크 기반 수업 설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Wee 클래스 슈퍼비전 제도의 도입 방안을 위한 질적연구 : 전문상담교사의 슈퍼바이지 경험을 중심으로
- 예비중등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실습불안 형성과 변화과정 내러티브 탐색
- 해외 교사교육자 연구 동향 분석: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예비 초・중등 교원을 위한 교과 외 활동 강좌 교육내용 주제 탐색 연구
- 표준화 교육과정과 학생 주도성: 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OECD Teaching Compass 특징 탐색: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 교원 디지털 역량을 위한 마이크로 디그리 설계 및 디지털 배지 적용 방안 탐색
- 학교 업무 효율화 정책에 따른 행정실무원 배치사업 효과 분석: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행정실무원을 중심으로
- 통제집단합성법을 통한지역구분 임용제도의 효과 분석
- 교육과정 문해력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과 학습 경험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원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초등교사 임용시험 과목 중 교직논술 분석: 교직수행능력을 중심으로
- Y시 초등교원의 역량 및 교사행위자성 실태 분석
-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직 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스타그램 관계망이 초등 교사의 교육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전공 이수 경험이AI 리터러시 및 AI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사안처리 중심의 학교폭력 정책변동 분석 연구
- 유치원 교사의 유아기 문해력 및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인식
- OECD Teaching Compass의 주요 특징과 유아교사 전문적 성장을 위한 시사점 탐색
- 도시형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재구성
- 교사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 중학교 교사의 기초학습 지원 실천 경험을 통한 교육적 의미 탐색
- 어떠한 유형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의 교사 참여가 교수실제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가?
-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 재학생의 학업중단 예측 요인 탐색
- 중등교사의 교수학습-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생애주기별 교원교육과정 개발
- 고교학점제 교육 정책의 특수학교 현장 적용 방안 -기본 교육과정 연구학교 담당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 특수교사가 경험한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의미 구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부설 영재학교 교원노조의단체교섭권에 대한 법적 쟁점과 개선방안:한국과학영재학교(KSA) 사례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들의 정체성과직무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저경력 중등교원의 학습기회와 교수·학습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 교사교육 질 제고를 위한 미국 실습 중심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