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직 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Lived Teaching Experiences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ith Mental Health Difficultie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허윤성 김선기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221~24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교직 경험, 사회적 낙인, 정신건강 지원 제도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통합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의료기관에서 정신질환을 진단받은 현직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Moustakas(1994)의 초월론적 현상학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교사들은 일상적인 교직 수행의 어려움과 교육활동 침해로 인한 정서적 부담이라는 이중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정신건강 문제를 겪는 교사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낙인이 이상화된 교사상 아래에서 더욱 강화되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이러한 낙인이 내면화되어 스스로를 검열하거나 지원을 회피하는 태도를 보였다. 셋째, 교사들은 교육청과 학교에서 운영하는 정신건강 지원 프로그램과 제도를 여러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이용하기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 문제를 겪는 현직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고, 정신건강 관련 제도의 실효성을 점검함으로써 학문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teaching experiences, perceived stigma, and experiences with mental health support system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ith mental health difficult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in-service teachers who had received a medical diagnosis of a mental disorder. Data were analyzed using Moustakas’ (1994)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key themes. First, teachers with mental health conditions faced dual challenges, including the everyday demands of teaching and the emotional distress caused by violations of their professional authority. Second, under the pressure to maintain an idealized teacher image, teachers perceived their diagnosis as intensifying social stigma and prejudice. This, in turn, reinforced internalized stigma, leading to self-censorship and avoidance of seeking support. Third, participants reported structural barriers that hindered their access to and use of mental health programs and services provided by educational authorities and schools. By illuminating teachers’ lived experiences and identify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olicies, this study offers meaningful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mental health support systems in educational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직윤리 교육 실태 분석
- 교사의 STEAM 융합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에듀테크 기반 수업 설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Wee 클래스 슈퍼비전 제도의 도입 방안을 위한 질적연구 : 전문상담교사의 슈퍼바이지 경험을 중심으로
- 예비중등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실습불안 형성과 변화과정 내러티브 탐색
- 해외 교사교육자 연구 동향 분석: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예비 초・중등 교원을 위한 교과 외 활동 강좌 교육내용 주제 탐색 연구
- 표준화 교육과정과 학생 주도성: 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OECD Teaching Compass 특징 탐색: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 교원 디지털 역량을 위한 마이크로 디그리 설계 및 디지털 배지 적용 방안 탐색
- 학교 업무 효율화 정책에 따른 행정실무원 배치사업 효과 분석: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행정실무원을 중심으로
- 통제집단합성법을 통한지역구분 임용제도의 효과 분석
- 교육과정 문해력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과 학습 경험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원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초등교사 임용시험 과목 중 교직논술 분석: 교직수행능력을 중심으로
- Y시 초등교원의 역량 및 교사행위자성 실태 분석
-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직 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스타그램 관계망이 초등 교사의 교육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전공 이수 경험이AI 리터러시 및 AI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사안처리 중심의 학교폭력 정책변동 분석 연구
- 유치원 교사의 유아기 문해력 및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인식
- OECD Teaching Compass의 주요 특징과 유아교사 전문적 성장을 위한 시사점 탐색
- 도시형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재구성
- 교사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 중학교 교사의 기초학습 지원 실천 경험을 통한 교육적 의미 탐색
- 어떠한 유형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의 교사 참여가 교수실제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가?
-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 재학생의 학업중단 예측 요인 탐색
- 중등교사의 교수학습-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생애주기별 교원교육과정 개발
- 고교학점제 교육 정책의 특수학교 현장 적용 방안 -기본 교육과정 연구학교 담당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 특수교사가 경험한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의미 구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부설 영재학교 교원노조의단체교섭권에 대한 법적 쟁점과 개선방안:한국과학영재학교(KSA) 사례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들의 정체성과직무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저경력 중등교원의 학습기회와 교수·학습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 교사교육 질 제고를 위한 미국 실습 중심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