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중등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실습불안 형성과 변화과정 내러티브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Narrative Exploration of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ternship Anxiety Based on Their Educational Volunteer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민 이원영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869~89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들이 12주간의 장기 교육봉사활동 과정에서 경험하는 실습불안의 형성 및 변화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 불안 연구의 이론적 토대가 된 Hart(1987)의 예비교사 불안 척도(STAS)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공식적 평가와 과업이 부재한 교육봉사활동의 맥락적 특수성을 반영하여 ‘평가 부재 불안’, ‘관계 형성 및 활동 관리 불안’, ‘학습 지원 수행 불안’, ‘모호한 역할 불안’이라는 네 가지의 새로운 불안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수도권 소재 D대학교의 2025년 4월부터 6월까지 교원양성과정 개선대학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인턴교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 31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성찰일지, 3회의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 등 다각적인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가 제안한 네 가지 분석틀을 활용하여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불안의 변화 궤적에 따라 ‘불안 해소 서사’, ‘불안 유지 서사’, ‘불안 심화 서사’라는 세 가지 대표적인 불안 서사 유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양적 연구나 유아교육에 편중되었던 논의를 확장하여, 중등 예비교사들이 교육봉사활동에서 겪는 불안의 질적 차이를 심층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갖는다. 또한, 예비교사의 불안을 문제적인 것이 아닌 성장의 과정으로 이해하고, 그들의 경험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선에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eply explore the formation and change process of practicum anxiety experienced by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during a 12-week long-term educational volunteer service program. To this end, it critically reviews Hart's Student Teacher Anxiety Scale(STAS), which form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existing anxiety research. Reflecting the contextual specificity of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where formal evaluation and tasks are absent—it proposes a new four-part anxiety analytical framework: ‘Anxiety about the Absence of Evaluation’, ‘Anxiety about Relationship Formation and Activity Management’, ‘Anxiety about Performing Learning Support’, ‘Anxiety about Ambiguous Roles’.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from 31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Intern Teacher Program’at D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This program was conducted from April to June 2025 as part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Improvement University Support Project. Data collection methods included 12 weeks of reflective journals, thre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applying the four analytical frameworks proposed by the researcher. This analysis yielded three representative narrative types based on the trajectory of anxiety change: ‘Anxiety Resolution Narratives’, ‘Anxiety Maintenance Narratives’, ‘Anxiety Intensification Narrativ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old theoretical significance by expanding beyond existing quantitative research and discussions focus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viding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qualitative differences in anxiety experienced by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during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Furthermore, it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by understanding pre-service teachers' anxiety not as a problem but as a process of growth, thereby enabling substantive support for their experien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직윤리 교육 실태 분석
- 교사의 STEAM 융합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에듀테크 기반 수업 설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Wee 클래스 슈퍼비전 제도의 도입 방안을 위한 질적연구 : 전문상담교사의 슈퍼바이지 경험을 중심으로
- 예비중등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실습불안 형성과 변화과정 내러티브 탐색
- 해외 교사교육자 연구 동향 분석: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예비 초・중등 교원을 위한 교과 외 활동 강좌 교육내용 주제 탐색 연구
- 표준화 교육과정과 학생 주도성: 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OECD Teaching Compass 특징 탐색: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 교원 디지털 역량을 위한 마이크로 디그리 설계 및 디지털 배지 적용 방안 탐색
- 학교 업무 효율화 정책에 따른 행정실무원 배치사업 효과 분석: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행정실무원을 중심으로
- 통제집단합성법을 통한지역구분 임용제도의 효과 분석
- 교육과정 문해력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과 학습 경험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원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초등교사 임용시험 과목 중 교직논술 분석: 교직수행능력을 중심으로
- Y시 초등교원의 역량 및 교사행위자성 실태 분석
-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직 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스타그램 관계망이 초등 교사의 교육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전공 이수 경험이AI 리터러시 및 AI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사안처리 중심의 학교폭력 정책변동 분석 연구
- 유치원 교사의 유아기 문해력 및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인식
- OECD Teaching Compass의 주요 특징과 유아교사 전문적 성장을 위한 시사점 탐색
- 도시형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재구성
- 교사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 중학교 교사의 기초학습 지원 실천 경험을 통한 교육적 의미 탐색
- 어떠한 유형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의 교사 참여가 교수실제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가?
-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 재학생의 학업중단 예측 요인 탐색
- 중등교사의 교수학습-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생애주기별 교원교육과정 개발
- 고교학점제 교육 정책의 특수학교 현장 적용 방안 -기본 교육과정 연구학교 담당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 특수교사가 경험한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의미 구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부설 영재학교 교원노조의단체교섭권에 대한 법적 쟁점과 개선방안:한국과학영재학교(KSA) 사례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들의 정체성과직무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저경력 중등교원의 학습기회와 교수·학습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 교사교육 질 제고를 위한 미국 실습 중심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교사교육 질 제고를 위한 미국 실습 중심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 저경력 중등교원의 학습기회와 교수·학습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