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학점제 교육 정책의 특수학교 현장 적용 방안 -기본 교육과정 연구학교 담당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Policy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pecial Education School Settings -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Research School Teachers -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오민아 박윤정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561~58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교육 정책의 특수학교 도입 및 적용 과정과 지원 방안에 대해 연구학교 담당 교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특수학교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 근무 중인 보직 교사, 담임교사, 업무 담당 교사 등 총 8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다. 면담 외에 서면 답변을 포함해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정책 ‘도입 및 적용 과정’에서 고교학점제를 선호하지 않는 특수학교 현장의 모습과 고민,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시스템 차이로 인하여 시행착오를 겪는 특수교사의 고충, 고시 외 과목의 개설 및 협조적 문화 조성을 위한 교사의 노력, 이를 통한 변화와 성찰을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지원 방안’에 대해서는 특수학교 고교학점제 정책의 명확한 지침과 방향, 재수강 제도의 마련, 교육청 차원의 진로 시스템 구축 및 선택 교과목의 개발, 특수학교 평가 체계 변화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특수학교 환경 구성을 위한 예산과 교사 수급 등 행정적 지원, 교육청과 학교 차원의 실제적 지원 방안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였다.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특수학교 고교학점제 정책 관련 제도적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시사점과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proces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orking in designated research schools. To achieve this,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eight participants, including department heads, homeroom teachers, and teachers in charge, working at special education research schools. In addition to the interviews, written responses wer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First,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the study identified the challenges and concerns of school settings that do not fav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difficulties fac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due to trial-and-error stemming from differences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systems, teachers' efforts to create non-notified subjects and foster a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and the reflective changes that emerged from these efforts. Second, regarding ‘support plan’ the study identified the need for clear guidelines and direction for the policy in special schools, the establishment of a re-enrollment system, the development of career systems and elective subjects at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level, and changes to the special school evaluation system.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budget for school environment development and teacher supply, and the demands for practical support from both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 level were confirmed. Focusing on the main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ed improvements for institutional reorganiz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applied to special education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직윤리 교육 실태 분석
- 교사의 STEAM 융합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에듀테크 기반 수업 설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Wee 클래스 슈퍼비전 제도의 도입 방안을 위한 질적연구 : 전문상담교사의 슈퍼바이지 경험을 중심으로
- 예비중등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실습불안 형성과 변화과정 내러티브 탐색
- 해외 교사교육자 연구 동향 분석: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예비 초・중등 교원을 위한 교과 외 활동 강좌 교육내용 주제 탐색 연구
- 표준화 교육과정과 학생 주도성: 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OECD Teaching Compass 특징 탐색: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 교원 디지털 역량을 위한 마이크로 디그리 설계 및 디지털 배지 적용 방안 탐색
- 학교 업무 효율화 정책에 따른 행정실무원 배치사업 효과 분석: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행정실무원을 중심으로
- 통제집단합성법을 통한지역구분 임용제도의 효과 분석
- 교육과정 문해력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과 학습 경험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원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초등교사 임용시험 과목 중 교직논술 분석: 교직수행능력을 중심으로
- Y시 초등교원의 역량 및 교사행위자성 실태 분석
-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직 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스타그램 관계망이 초등 교사의 교육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전공 이수 경험이AI 리터러시 및 AI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사안처리 중심의 학교폭력 정책변동 분석 연구
- 유치원 교사의 유아기 문해력 및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인식
- OECD Teaching Compass의 주요 특징과 유아교사 전문적 성장을 위한 시사점 탐색
- 도시형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재구성
- 교사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 중학교 교사의 기초학습 지원 실천 경험을 통한 교육적 의미 탐색
- 어떠한 유형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의 교사 참여가 교수실제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가?
-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 재학생의 학업중단 예측 요인 탐색
- 중등교사의 교수학습-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생애주기별 교원교육과정 개발
- 고교학점제 교육 정책의 특수학교 현장 적용 방안 -기본 교육과정 연구학교 담당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 특수교사가 경험한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의미 구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부설 영재학교 교원노조의단체교섭권에 대한 법적 쟁점과 개선방안:한국과학영재학교(KSA) 사례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들의 정체성과직무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저경력 중등교원의 학습기회와 교수·학습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 교사교육 질 제고를 위한 미국 실습 중심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