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떠한 유형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의 교사 참여가 교수실제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가?

이용수  0

영문명
What Types of Teacher Professional Learning Activities are Mo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ing Practice?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박예지 이전이 박주호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477~50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참여하는 다양한 전문성 개발 활동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참여 정도가 교수실제(teaching practice)에 긍정적 효과를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이론과 조직학습 관점에 근거하여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을 첫째 개인 학습환경을 준거로 2개 전문적 학습활동(형식/무형식 학습활동, 비형식 학습활동)으로, 둘째 교사들 간의 협력활동을 상호 긴밀성 정도에 따라 2개 전문적 협력 학습활동(전문적 협력활동, 교환/조정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OECD의 TALIS 2018에 참여한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 2,486명을 대상으로 다층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는 비형식 학습활동과 교환/조정 활동에 대한 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교수실제에 긍정적 변화를 유의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형식/무형식 학습활동과 전문적 협력활동 참여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 학습활동에 있어 자발성과 자율성, 학교 현장 맥락성이 교수실제에 유의미한 변화를 촉발하는데 결정적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various typ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n which teachers participate and empirically examine the extent to which participation in each type predicts positive changes in teaching practices. Based on adult learning theory and organizational learning perspective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individual learning activities focused on the teacher’s personal learning environment (formal/non-formal, and informal learning)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among teacher groups (professional collaboration and exchange/coordination activities). Using responses from 2,486 Korean lower second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OECD's TALIS 2018,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levels of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exchange/coordination activitie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sitive changes in teaching practices. In contrast, participation in formal/non-formal learning and professional collaboration activitie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 learning activities characterized by autonomy and contextual relevance to the school environment play a critical role in driving meaningful changes in teaching practice. Consequently,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izing informal learning and fostering autonomy-based collaborative activities, rather than merely expanding surface-level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예지,이전이,박주호. (2025).어떠한 유형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의 교사 참여가 교수실제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가?. 한국교원교육연구, 42 (3), 477-503

MLA

박예지,이전이,박주호. "어떠한 유형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의 교사 참여가 교수실제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가?." 한국교원교육연구, 42.3(2025): 477-5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