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Narrative Study on Novice School Counselors' Perceptions of Their Positionality in Schools and Their Experiences in Self-Advocacy and Student Advocacy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임은미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735~76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명의 저경력 전문상담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각 5회의 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위치성 경험은 비주류 위치성 인식, 비주류 위치성에 대한 혼란된 반응, 경력과 노력의 상호작용으로 위축된 마음을 극복함으로 나타났다. 자기옹호 경험은 동료들과의 연대 형성, 적극적인 자기주장 감행으로 나타났다. 학생옹호 경험은 학생의 필요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한 가정방문, 학생에게 필요한 자원을 결집하기 위한 연계 작업, 학생을 위한 새로운 상담기법의 구상과 적용, 학생을 대신하여 목소리 내주기로 정리되었다. 면접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자기옹호와 학생옹호는 서로 연결되고, 학교는 변화가 가능한 곳이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내부자적 관점에서 위치성 인식과 자기 및 학생 옹호 실천 경험을 조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positionality within schools and the experiences of self-advocacy and student advocacy among novice school counselors. To this end, three novice school counselo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f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positionality included a perception of their positionality as non-major, conflicted responses to such positionality, and the overcoming of discouragement through the interaction of professional experience and personal effort. Their self-advocacy experiences were characterized by forming solidarity with colleagues and engaging in active self-assertion. Their student advocacy experiences included conducting home visits to accurately understand students’ needs, engaging in collaborative networking to mobilize necessary resources for students, devising and applying new counseling techniques tailored to students, and making voices on behalf of students. Throughout the interview process, participants came to recognize that self-advocacy and student advocacy were interconnected, and that schools were spaces open to chan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illumination of positionality perceptions and advocacy practices from the insider perspective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은미. (2025).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42 (3), 735-760

MLA

임은미.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42.3(2025): 735-7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