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이용수 0
-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ived needs for teacher education on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진 곽진이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423~4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3-5세 유아를 지도하고 있는 현직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Creswell과 Poth(2018/2021)의 나선형 자료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긍정적 경험으로는 유아권리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 점, 자신의 행동을 성찰하고 권리 존중 실천으로 나아갈 수 있었던 점이 있었다. 반면, 부정적 경험으로는 이론 중심으로만 이루어지며,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내용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권리교육의 필요성으로 '최선의 선택을 위한 기준으로서 필요한 교육', '유아의 권리를 지켜주기 위해 필요한 교육', '신규교사에게 더욱 필요한 교육'을 제시하였고, 교육 내용으로는 '교실속에서 실천 가능한 방법에 대한 교육', '자기성찰과 반성을 이끌어 내는 교육', '교육과정과 연계하는 교육'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직교사들의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실제 경험과 요구를 반영함으로써, 향후 교사 대상 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구체화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with and needs for teacher education on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in-service teachers who were teaching children aged 3 to 5,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iral data analysis method proposed by Creswell and Poth (2018/2021).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ported positive experiences such as gaining knowledge about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nd engaging in self-reflection that led to more rights-respecting practices. However, they also shared negative experiences, pointing out that the education was overly theoretical and lacked practical content applicable in actual classroom settings. Second, teachers identified the necessity of rights education as: “an essential guide for making the best decisions,” “a way to protect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nd “especially important for novice teachers.” Regarding the content of rights education, they emphasized the need for “education on practical strategies applicable in the classroom,” “programs that promote self-reflection and critical thinking,” and “education that is integrated with the curriculu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specifying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future teacher education by reflecting the actual experiences and needs of in-service teachers regarding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직윤리 교육 실태 분석
- 교사의 STEAM 융합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에듀테크 기반 수업 설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Wee 클래스 슈퍼비전 제도의 도입 방안을 위한 질적연구 : 전문상담교사의 슈퍼바이지 경험을 중심으로
- 예비중등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실습불안 형성과 변화과정 내러티브 탐색
- 해외 교사교육자 연구 동향 분석: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예비 초・중등 교원을 위한 교과 외 활동 강좌 교육내용 주제 탐색 연구
- 표준화 교육과정과 학생 주도성: 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OECD Teaching Compass 특징 탐색: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 교원 디지털 역량을 위한 마이크로 디그리 설계 및 디지털 배지 적용 방안 탐색
- 학교 업무 효율화 정책에 따른 행정실무원 배치사업 효과 분석: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행정실무원을 중심으로
- 통제집단합성법을 통한지역구분 임용제도의 효과 분석
- 교육과정 문해력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과 학습 경험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원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초등교사 임용시험 과목 중 교직논술 분석: 교직수행능력을 중심으로
- Y시 초등교원의 역량 및 교사행위자성 실태 분석
-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직 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스타그램 관계망이 초등 교사의 교육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전공 이수 경험이AI 리터러시 및 AI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사안처리 중심의 학교폭력 정책변동 분석 연구
- 유치원 교사의 유아기 문해력 및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인식
- OECD Teaching Compass의 주요 특징과 유아교사 전문적 성장을 위한 시사점 탐색
- 도시형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재구성
- 교사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 중학교 교사의 기초학습 지원 실천 경험을 통한 교육적 의미 탐색
- 어떠한 유형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의 교사 참여가 교수실제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가?
-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 재학생의 학업중단 예측 요인 탐색
- 중등교사의 교수학습-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생애주기별 교원교육과정 개발
- 고교학점제 교육 정책의 특수학교 현장 적용 방안 -기본 교육과정 연구학교 담당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 특수교사가 경험한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의미 구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부설 영재학교 교원노조의단체교섭권에 대한 법적 쟁점과 개선방안:한국과학영재학교(KSA) 사례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들의 정체성과직무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저경력 중등교원의 학습기회와 교수·학습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 교사교육 질 제고를 위한 미국 실습 중심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교사교육 질 제고를 위한 미국 실습 중심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 저경력 중등교원의 학습기회와 교수·학습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