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교육 질 제고를 위한 미국 실습 중심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이용수 0
- 영문명
- Enhancing th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Insights from U.S. programs and implications for Korea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미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3호, 709~7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예비교사의 현장 역량 강화를 위해 학교현장실습 기간을 한 학기로 확대하는 학교현장실습학기제가 시범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교원양성과정에서 실습을 강조하는 국제적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습 중심 교육과정의 방향을 면밀히 탐색하기 위해, 중등교사교육 분야에서 동료평가가 우수한 미국 5개 대학의 학부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실습 중심 교사교육이 교육과정에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한국 교원양성 교육과정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5개 대학은 교과교육과 교직과목의 비중이 높고, 교육과정의 정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수 이수 체계를 명확히 하며, 각 기관이 지향하는 교사상이나 교육적 가치를 반영한 과목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동시적 모델을 일반적으로 적용한다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반면, 한국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은 교과 내용 과목의 비중이 높고, 각 기관이 강조하는 교사상을 반영한 교직과목을 찾아보기 어려우며, 이론과 실습을 분리하는 순차적 모델이 주로 운영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 교원양성체제의 질적 개선을 위한 노력이 단순한 실습 기간의 양적 확대에 머물지 않고 전반적인 교육과정의 재검토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한다. 아울러 향후 개혁에서는 교과교육과 교직과목의 비중, 교육과정의 정합성, 이론과 실습의 연계적 운영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Korea introduced a teacher education reform that extends student teaching to a full semester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This initiative reflects the global trend emphasizing the clinical component of teacher education; however, the reform primarily concentrates on the duration of the clinical component, without sufficiently addressing the overall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s the undergraduate curricula of the five second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United States to examine how the emphasis on clinical teacher education is enacted in their curriculum and compares the curricular features with those of Korea’s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he analysis revealed that U.S.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llocate a larger proportion of coursework to professional education, which includes subject-specific methods and education courses. They also establish a coherent and structured course sequence, provide courses that reflect the vis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they emphasize, and generally adopt a concurrent model that integrates theory and practice throughout the program. In contrast, Korean programs devote more credits to subject matter knowledge, rarely offer courses explicitly aligned with institutional visions and professional identity, and primarily follow a sequential model that separates theoretical courses from field experiences.
These findings illustrate how clinical teacher education is embodied in curriculum design and highlight specific curricular features that aim at enhancing teacher expertise. The study concludes that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s teacher preparation requires more than simply lengthening student teaching. Future reforms would need to take these three key curricular features into consideration: strengthening professional education, enhancing curricular coherence, and promoting concurrent models that integrate theory and practice.
목차
Ⅰ. 서언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직윤리 교육 실태 분석
- 교사의 STEAM 융합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에듀테크 기반 수업 설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Wee 클래스 슈퍼비전 제도의 도입 방안을 위한 질적연구 : 전문상담교사의 슈퍼바이지 경험을 중심으로
- 예비중등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실습불안 형성과 변화과정 내러티브 탐색
- 해외 교사교육자 연구 동향 분석: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예비 초・중등 교원을 위한 교과 외 활동 강좌 교육내용 주제 탐색 연구
- 표준화 교육과정과 학생 주도성: 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OECD Teaching Compass 특징 탐색: 교육과정 변화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 교원 디지털 역량을 위한 마이크로 디그리 설계 및 디지털 배지 적용 방안 탐색
- 학교 업무 효율화 정책에 따른 행정실무원 배치사업 효과 분석: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행정실무원을 중심으로
- 통제집단합성법을 통한지역구분 임용제도의 효과 분석
- 교육과정 문해력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과 학습 경험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원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초등교사 임용시험 과목 중 교직논술 분석: 교직수행능력을 중심으로
- Y시 초등교원의 역량 및 교사행위자성 실태 분석
-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직 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스타그램 관계망이 초등 교사의 교육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교사의 AI융합교육 전공 이수 경험이AI 리터러시 및 AI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사안처리 중심의 학교폭력 정책변동 분석 연구
- 유치원 교사의 유아기 문해력 및 문해력 교육에 대한 인식
- OECD Teaching Compass의 주요 특징과 유아교사 전문적 성장을 위한 시사점 탐색
- 도시형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재구성
- 교사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 중학교 교사의 기초학습 지원 실천 경험을 통한 교육적 의미 탐색
- 어떠한 유형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의 교사 참여가 교수실제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가?
-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 재학생의 학업중단 예측 요인 탐색
- 중등교사의 교수학습-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생애주기별 교원교육과정 개발
- 고교학점제 교육 정책의 특수학교 현장 적용 방안 -기본 교육과정 연구학교 담당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 특수교사가 경험한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의미 구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부설 영재학교 교원노조의단체교섭권에 대한 법적 쟁점과 개선방안:한국과학영재학교(KSA) 사례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들의 정체성과직무 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저경력 중등교원의 학습기회와 교수·학습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 교사교육 질 제고를 위한 미국 실습 중심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학교내 위치성 인식 및 자기옹호와 학생옹호 실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교사교육 질 제고를 위한 미국 실습 중심 교원양성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 저경력 중등교원의 학습기회와 교수·학습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