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nstruction of Cinephile Cultural Value and the Politics of Value Transition: Toward an Anthropology of Value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주재형(JaeHeung Joo)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105호, 951~1004쪽, 전체 5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23
9,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시네필 문화가 헐리우드 문화에 대한 실천적 대항과 비판적 성찰을 행한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고, 저항의 대상으로 삼은 주류 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시네필 문화의 가치가 다각도로 형성되는 과정을 인류학적 방식으로 접근하여 조명한다. 그레이버의 가치 분류법을 활용하여 사회적 가치, 경제적 가치, 언어적 가치의 측면에서 시네필 문화의 가치 얽힘을 조명하며, 최종적으로는 문화 그 자체를 재생산하는행위 가치의 측면을 분석한다. 첫째, 경제적 가치는 노동 계급과의 연관 속에서 극장이라는 공간의 물질성에 의해 형성되어짐을 밝혀낸다. 둘째, 사회적 가치는 시네마테크를 중심으로 필름의 보존과 증여, 그리고 관객과의 후원 관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셋째, 언어적 가치는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언어에서 잉여가치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미지-언어에서도 비생산적 차이에 의한 가치가 발생한다고주장한다. 넷째, 행위 가치는 현재 시네필 문화의 내용에 영화적인 것, 즉 진정성을기입하기 위해 시네필이 가치의 정치와 전환의 정치를 통해 경합하는 양상임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목표는 가치 인류학이 지닌 규범적 한계를 드러내고, 이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연대의 가치라는 관점에서 모든 가치 행위를 긍정·부정을 넘어 그저 유의미한 행위로서 포착할 것을 주장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process through which cinephile culture has engaged in practical resistance and critical reflection against Hollywood culture. It approaches the formation of cinephile culture’s value, which is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its relationship to mainstream culture as an object of resistance, from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Utilising Graeber’s value classification, this study illuminates the entanglement of values in cinephile culture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value, economic value, and linguistic value, and finally analyzes the aspect of the value of action, which reproduces culture itself. First, economic value is revealed to be formed by the materiality of the theater space in relation to the working class. Next, social value is centered on film preservation and gift, as well as patronage relationships with audiences, with a focus on film archives. Third, linguistic value is argued to arise from non-productive differences in image-language, similar to how surplus value emerges in language, from a structuralist perspective. Finally, the value of action reveals how cinephiles compete through the politics of value and the politics of transformation to inscribe the cinematic, i.e., authenticity, into the content of contemporary cinephile culture. In conclus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normative limitations of value anthropology and argue that,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ll the value of action should be captured as meaningful acts beyond mere positivity or nega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alue of solidarity.
목차
1. 들어가며
2. 한국 시네필의 형성과 경제적 가치
3. 시네마테크의 형성과 사회적 가치
4. 시네필 문화의 언어적 가치와 가치의 정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연구 제105호 목차
- 디지털 숏폼 시네마의 감각적 전환: 포스트-연속성과 플랫폼 디스포지티프
- 생기적 물질론으로 본 에코시네마의 물질적 전회: 하마구치 류스케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 한류 소재 OTT 콘텐츠의 스케이프와 문화적 표상: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엑스오, 키티>를 중심으로
- 컬트영화와 검열시대: 김기영 영화의 1970년대 생산 맥락에 대한 일고찰
- 연상호의 작품 세계: 카이뉴레닌과 불완전한 움직임의 미학
- 픽사 애니메이션의 세계관 변주: 서사적 공간 확장의 관점에서
- 화이트 포크 호러와 시각적 과잉의 미학: 영화 <미드소마(Midsommar)>(2019)를 중심으로
- 디지털 전회 이후 한국 공포영화 유령성의 위치 짓기
- 영화의 자동화(Automation)와 인공지능 영화의 미학적 의의
- 미디어 고고학의 관점에서 고찰한 인공지능과 의미생산: <정이>를 중심으로
- 이타미 주조의 <탐포포>(1985)에 나타난 음식을 통한 사회 비판과 햅틱 비주얼리티 연구
- 미디어 환경 변화와 아날로그적 스펙터클: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전략적 선택
- 4·3 서사의 행위자, ‘음식’: 영화 <지슬>을 중심으로
- 서부극의 생태학적 리얼리즘: 앙드레 바쟁의 생태미디어적 사유와 <믹의 지름길>(2010)
- 한중 SF 영화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일고찰: <더 문>(2023)과 <문맨>(2022)의 사례를 중심으로
- 1990년대 이후 홍콩 영화와 한국영화의 상호텍스트적 관계 연구: 왕가위 현상을 중심으로
- 영화제와 지역의 관계 형성과 변화에 대한 재고찰: 전주국제영화제 사례를 중심으로
- 자이니치의 초월적 정체성 연구: 일본 영화 <용길이네 곱창집>(2018) 캐릭터를 중심으로
- 여성 주체의 실패와 페미니즘 정치학의 가능성: <서브스턴스>(The Substance, 2024) 속 여성의 이중적 위치
- <500일의 썸머>와 마페졸리의 순환 시간: 정체성 전환의 감정적 윤무(輪舞)
- 인서트 쇼트의 ‘과잉된 시간성’ 연구: 로베르 브레송의 <소매치기>를 중심으로
- 신체, 공간, 계급 감각의 시각적 연출: 발터 벤야민 이론을 중심으로 본 <하녀>와 <기생충>의 연기 분석
- 노태우 정부 시기(1988-1993)의 레임덕 영화 연구
- 알프레드 히치콕 영화의 독일 표현주의 전략: <살인! Murder!>(1930)를 중심으로
- 후각의 불가능성과 영화적 재현: 영화 <향수>의 시청각적 환유 전략 연구
- <존 오브 인터레스트>의 공간 윤리와 비가시적 감각 구조
- 스피박의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에 대한 더글러스 서크 식의 ‘영화적 화답’: ‘탕웨이 2부작’ <헤어질 결심>, <만추>를 중심으로
- 크리스 마르케르의 마이너리티 리포트: <태양 없이>와 아이의 형상
-
남성 타자화와 젠더 권력의 재구성: 중국영화
(2024)를 중심으로 - 시리즈 <정년이>의 해외 팬 반응을 통한 글로벌 문화 현상 연구
- 한국전쟁을 전후한 한국영화의 지역 표상: 로케이션과 서사 이미지의 변화
- 시네필 문화 가치의 구성과 가치 전환의 정치: 가치 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세실 B. 드밀의 <왕중왕>(1927)과 니콜라스 레이의 <왕중왕>(1961)과 장성호의 <킹 오브 킹즈>(2025) 비교연구: 이중서술을 통한 기적과 부활의 재현
- 일본 영화정책의 제도적 공백과 영화 생태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