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ternational Fan Reception of the Series Jeongnyeon as a Lens on Global Cultural Phenomena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정민아(MinAh Jeong)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105호, 865~89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23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웹툰 기반 드라마 <정년이>를 중심으로, 한국 콘텐츠 산업의 미디어믹스 전략과 그 콘텐츠가 해외 팬덤에게 수용되는 양상을 분석한다. ‘웹소설–웹툰–드라마’로 이어지는 제작 사이클이 한국 콘텐츠 산업 내에서 어떻게 표준화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여성국극이라는 특수한 소재를 다루는 <정년이>의 각색 과정과 그 사회문화적 함의를 검토한다. 또한, 드라마에 반영된 여성 공동체, 젠더 재현, 전통 예술 재현이 어떻게 글로벌 수용자에게 해석되고 소비되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IMDb, Reddit 등 영어권 디지털 사이트에 기록된 팬덤의 수용 반응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며, 문화적 할인(cultural discount) 이론과 수용자의 해석 전략을 교차 검토한다. <정년이>를 접하는 해외 수용자들은 낯선 전통문화에서 이해의 장벽을 경험하지만, 동시에이를 새로운 매력과 가치로 수용하는 면이 나타났다. 본고는 문화적 할인보다는 ‘문화적 프리미엄(cultural premium)’의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정년이> 사례를 통해 K콘텐츠가 로컬성과 글로벌성이 교차하는 문화적 인터페이스로 기능하고 있음을 살펴보며, 캐릭터 중심의 미디어믹스 전략이 콘텐츠 산업의 재생산 메커니즘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규명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media-mix strategies of the Korean content industry and the ways in which webtoon-based drama Jeongnyeon: The Star is Born has been received by international fandom. It examines how the production cycle of “web novel–webtoon–drama” has become standardized within the Korean content industry, while also considering the adaptation process of Jeongnyeon, which employs the unique subject matter of women’s gukgeuk (all-female musical theatre), and its socio-cultural implications. In particular, the study investigates how the drama’s representations of women’s communities, gender, and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re interpreted and consumed by global audiences. To this end,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on fan responses documented on English-language digital platforms such as IMDb and Reddit, engaging with the framework of cultural discount and interpretive strategies of audiences. The findings reveal that although overseas viewers occasionally encounter barriers in understanding unfamiliar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y simultaneously embrace these elements as sources of novelty and value. Consequently, rather than cultural discount, the dynamics of “cultural premium” emerge more prominently. Furthermore, the star persona of lead actress Kim Tae-ri functions as a decisive mediating factor in reception, overriding cultural distance as a key driver of engagement. By situating Jeongnyeon as a case study, this article argues that K-content operates as a cultural interface where the local and the global intersect, and that character-centered media-mix strategies have become a core mechanism for the re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content within the industry.
목차
1. 들어가며
2. 웹소설, 웹툰, 동영상으로 이어지는 제작 사이클과 미디어믹스
3. 문화콘텐츠로서의 <정년이>
4. 시리즈 <정년이>에 대한 해외 팬 반응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연구 제105호 목차
- 디지털 숏폼 시네마의 감각적 전환: 포스트-연속성과 플랫폼 디스포지티프
- 생기적 물질론으로 본 에코시네마의 물질적 전회: 하마구치 류스케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 한류 소재 OTT 콘텐츠의 스케이프와 문화적 표상: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엑스오, 키티>를 중심으로
- 컬트영화와 검열시대: 김기영 영화의 1970년대 생산 맥락에 대한 일고찰
- 연상호의 작품 세계: 카이뉴레닌과 불완전한 움직임의 미학
- 픽사 애니메이션의 세계관 변주: 서사적 공간 확장의 관점에서
- 화이트 포크 호러와 시각적 과잉의 미학: 영화 <미드소마(Midsommar)>(2019)를 중심으로
- 디지털 전회 이후 한국 공포영화 유령성의 위치 짓기
- 영화의 자동화(Automation)와 인공지능 영화의 미학적 의의
- 미디어 고고학의 관점에서 고찰한 인공지능과 의미생산: <정이>를 중심으로
- 이타미 주조의 <탐포포>(1985)에 나타난 음식을 통한 사회 비판과 햅틱 비주얼리티 연구
- 미디어 환경 변화와 아날로그적 스펙터클: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전략적 선택
- 4·3 서사의 행위자, ‘음식’: 영화 <지슬>을 중심으로
- 서부극의 생태학적 리얼리즘: 앙드레 바쟁의 생태미디어적 사유와 <믹의 지름길>(2010)
- 한중 SF 영화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일고찰: <더 문>(2023)과 <문맨>(2022)의 사례를 중심으로
- 1990년대 이후 홍콩 영화와 한국영화의 상호텍스트적 관계 연구: 왕가위 현상을 중심으로
- 영화제와 지역의 관계 형성과 변화에 대한 재고찰: 전주국제영화제 사례를 중심으로
- 자이니치의 초월적 정체성 연구: 일본 영화 <용길이네 곱창집>(2018) 캐릭터를 중심으로
- 여성 주체의 실패와 페미니즘 정치학의 가능성: <서브스턴스>(The Substance, 2024) 속 여성의 이중적 위치
- <500일의 썸머>와 마페졸리의 순환 시간: 정체성 전환의 감정적 윤무(輪舞)
- 인서트 쇼트의 ‘과잉된 시간성’ 연구: 로베르 브레송의 <소매치기>를 중심으로
- 신체, 공간, 계급 감각의 시각적 연출: 발터 벤야민 이론을 중심으로 본 <하녀>와 <기생충>의 연기 분석
- 노태우 정부 시기(1988-1993)의 레임덕 영화 연구
- 알프레드 히치콕 영화의 독일 표현주의 전략: <살인! Murder!>(1930)를 중심으로
- 후각의 불가능성과 영화적 재현: 영화 <향수>의 시청각적 환유 전략 연구
- <존 오브 인터레스트>의 공간 윤리와 비가시적 감각 구조
- 스피박의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에 대한 더글러스 서크 식의 ‘영화적 화답’: ‘탕웨이 2부작’ <헤어질 결심>, <만추>를 중심으로
- 크리스 마르케르의 마이너리티 리포트: <태양 없이>와 아이의 형상
-
남성 타자화와 젠더 권력의 재구성: 중국영화
(2024)를 중심으로 - 시리즈 <정년이>의 해외 팬 반응을 통한 글로벌 문화 현상 연구
- 한국전쟁을 전후한 한국영화의 지역 표상: 로케이션과 서사 이미지의 변화
- 시네필 문화 가치의 구성과 가치 전환의 정치: 가치 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세실 B. 드밀의 <왕중왕>(1927)과 니콜라스 레이의 <왕중왕>(1961)과 장성호의 <킹 오브 킹즈>(2025) 비교연구: 이중서술을 통한 기적과 부활의 재현
- 일본 영화정책의 제도적 공백과 영화 생태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