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about image expression of Postmodernism - by the reciprocal action between actuality films and animations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김윤희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8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애니메이션의 학문적 기초를 세우는 것 그것은 , 결국 애니메이션의 본질을 새롭게 확립하는 일이다. 다시 말하면, 이는 바로 애니메이션의 핵심을 제대로 파악하여 이것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문화 구조주의적 측면의 시스템에 대해서 문화적 코드를 올바르게 세운다는 말이다.1) 디지털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과 함께 미디어 산업에도 다양한 변화가 찾아오고 있으며 미디어 산업을 대표하는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에도 사회문화적 사조와 함께 다양한 변화의 형태로 공존하고 있다. 그 변화의 형태 중 포스트모더니즘의 큰 특징인 장르의 결합, 즉 각 장르의 특성을 살린 새로운 작품들, 장르간의 경계가 모호한 작품들이 속속히 나타나고 있고 과거에 비하여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그 작품의 수도 하루가 다르게 많아지고 있다. 실사 영화가 대상에 대한 동일시와 재현에 있어서의 유사성, 움직이는 사진 이미지 현실감으로 관객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영역이라면, 애니메이션 영화는 인공적인 가상성, 회화적 특징, 그리고 감독이 의도하는 개성과 독특함을 마음껏 표현 할 수 있으며 이는 실사 영화보다 더욱 풍부한 상상력과 주어진 틀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가진 영역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렇게 상대적이고 대립적인 두 성질은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로, 혹은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기법, 그리고 앞의 두 경우가 혼합된 모습으로 다양한 영상매체에서 수용, 결합되고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장르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배경과 그 결합의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문화사조인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이 어떠하며 미디어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비교한다.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라는 두 장르 간의 결합으로 인해‘상호작용으로 상호간의 보완’,‘의도된 상호간의 대립성’으로 감독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보다 더 생생하고 흥미롭게, 그리고 더 자유스럽고 개성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하는데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Set up the animation's academic base' means the newly foundation of animation's essence. In other hand, it is about touch the core of animation and we can make up cultural construction system by this. Nowadays, many media industry things are changed with digital and network industry. Also, actuality films and animations are variety changed and they are coexistence with cultural trend. Among other things, reform art works are occurrence from combined genre which is peculiar to postmodernism. And, they are coming up very fast be course technological development compare than time past.
The actuality films are make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regard films in the same light as actual life. In animations are make communication by imagination, pictorial quality and personality in director's own way. It can make up imagination more than actuality films. The actuality films and animations are looks like antagonistic relationship but they used together in many medias. In this thesis mak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actuality films and animations which how they are given influence to media industry. Also, study about postmodernism which is most basic academic for this.
                    목차
1. 서론 
	                       
	                          2.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비교
	                       
	                          3. 현대 대중문화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현상
	                       
	                          4.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결합
	                       
	                          5.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 결합의 사례 분석
	                       
	                          6.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 동화를 원작으로 한 실사영화와 애니메이션의 몽타주 비교연구 -<미녀와 야수>를 중심으로-
- 디지털 3D 애니메이션에서 영상언어로서의 조명연출에 관한 연구- 작품 <슈렉>과 <몬스터 주식회사>를 중심으로-
- 한국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의 문제점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국내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에 관한 연구
- 디지털 영화제작의 실제와 그 전망-장편 디지털 극영화 [사랑은 쉬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 피터 그린어웨이(Peter Greenaway) 감독의 작품 세계에 관한 연구-[요리사, 도둑, 그의 아내, 그리고 그녀의 정부(The Cook, The Thief, His Wife, and Her Lover)]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