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중 SF 영화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일고찰: <더 문>(2023)과 <문맨>(2022)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SF Movies in South Korea and China: Focusing on The Moon (2023) and Moon man (2022)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최영희(YoungHee Choi) 문현선(HyounSun Moon)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105호, 391~42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23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비교적 최근에 개봉한 <더 문>(2023)과 <문맨>(2022)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SF영화에 나타난 장르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대규모의 자본과 하이테크놀로지를 필요로 하는 SF 영화는 한국,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단순한 영화 장르가 아니라 자국 영화 산업의 수준을 확인시켜 주는 하나의 지표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이미 디지털 기술이 보편화된 21세기에 SF 영화는 단순히 과학기술의 발전을 과시할 뿐 아니라, 첨단 과학기술이 일상화된 현실의 문제를 반영하고 비판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리얼리즘 장르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최근 개봉한 한국과 중국의 SF 영화 <더 문>과<문맨>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적 SF 장르의 영화적 특성을 논의하고자 했다. 영화의 장르는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한 관습 체계와 관련이 있다. ‘달’이라는 우주 공간을 다루고 있는 <더 문>과 <문맨>은 스토리와 캐릭터, 장르 관습의 측면에서다음과 같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여준다. 스토리의 관점에서, 두 영화는 ‘대아를위한 소아의 희생’이라는 진부한 영웅서사 구조를 답습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를극복하는 요소들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두 영화는 모두 달이라는 공간을 고갈된 지구 자원의 새로운 창고 또는 식민지, 지구의 멸망 위기에 대비한 일종의방공호라는 구태의연한 인식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한편으로, 지구라는 현실의제한을 극복하는 대안 공간으로 재인식함으로써 지배와 피지배라는 기존의 권력관계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보여준다. 캐릭터의 관점에서, <더 문>과 <문맨>은모두 집단의 명령을 거부하고 개인의 욕구와 의지를 우선시하는 새로운 세대의 스테레오 타입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개인주의적인 주인공의 이기적인 선택이 결국자신과 지구, 나아가 인류를 구원하는 원동력으로 전화한다는 점에서 영웅서사의전형에 통합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 영화들에서 지구를 구원하려는 달로의 탐험을통해 파편화된 현대적 주체는 인류애와 가족애로의 회귀를 통해 매우 모범적인 영웅서사의 주인공으로 성장한다. 장르의 관점에서, <더 문>과 <문맨>은 SF와 다른장르의 요소를 혼합하는 양상을 보이며, 이를 통해 기존 장르 문법의 전복을 시도한다. <더 문>은 개인과 사회 간의 모순에 집중하는 가족 멜로의 장르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대부분 비극인 이 장르의 포뮬러를 전복하면서 해피엔딩으로 나아간다. <문맨>은 중국적인 특색이 매우 두드러지는 카이신마화 코미디 장르의 전형을 보여준다. 카이신마화 코미디는 개인의 자각과 현실로의 재통합을 지향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과정에서 개인은 희생되지만 전체는 회복된다. 이는 구조적 변화를 일으키지 못하고 개인의 행복에 머무르는 기존의 코미디 포뮬러를 변화시킨 것이라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science fiction films through the relatively recent releases The Moon (2023) and Moon man (2022). SF films, which require large-scale capital and high technology, have been recognized not merely as a film genre but as an indicator of the level of a nation's film industry in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and China. Furthermore, in the 21st century, where digital technology has already become commonplace, SF films not only showcase advenc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but also reflect the challenges of a reality where cutting-edge technology has become normalized, presenting critical alternatives as a realist genre. In this paper, I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science fiction films, focusing on the relatively recent Korean and Chinese science fiction films The Moon and Moon man. The genre of a film is related to the conventional system centered on narrative. The Moon and Moon man, which deal with the space of the moon, show the following commonalities in terms of story, character, and genre conven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tory, both films seem to follow the cliché of a heroic narrative of “The Sacrifice of the Individual for the Community,” but they also include elements that overcome this. For example, both films naturally accept the outdated perception of the moon as a new storehouse of depleted resources, a colony, or a kind of air-raid shelter in preparation for the imminent destruction of the Earth. However, they also reinterpret the moon as an alternative space that overcomes the limitaitions of Earth, therby demonstrating a shift in perception regarding the existing power relations between the dominant and the domin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aracters, both The Moon and Moon man show a new generation of stereotypes who reject the orders of the group and prioritize their personal desires and will. However, the selfish choices of these individualistic protagonist ultimately become the driving force that saves themselves, Earth, and humanity, intergrating them into the archetype of the heroic narrative. In these films, the fragmented modern subject, through its quest to save Earth by traveling to the moon, grows into a highly examplary hero by returning to humanity and famili love. From a genre perspective, both The Moon and Moon man exhibit a blend of SF and other genres, while also revealing their differences. The Moon emphasizes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family melodrama, which focuses on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 individuan and society, while subverting the formula of this genrem which is mostly tragec, and moving toward a happy ending. Moon man exemplifie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style Kaixinmahua(開心麻花) comedy genre, which is highly distinctive. Kaixinmahua comedy tends to aim for the individual's self-awareness and reintegration into reality, where the individual sacrifices themselves but the whole is restored. This represents a departure frome the traditional comedy formula, which remains confined to the individual's happiness without bringing about structural change.

목차

1. 서론
2. 동아시아적 영웅서사 스토리의 전형과 극복
3. 세대 간 갈등과 봉합 제시 캐릭터
4. 장르 혼종화와 장르 관습의 전복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희(YoungHee Choi),문현선(HyounSun Moon). (2025).한중 SF 영화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일고찰: <더 문>(2023)과 <문맨>(2022)의 사례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 391-428

MLA

최영희(YoungHee Choi),문현선(HyounSun Moon). "한중 SF 영화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일고찰: <더 문>(2023)과 <문맨>(2022)의 사례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5): 391-4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