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f ‘food’ for The Jeju 4·3 Narrative Actor: Focusing on the movi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정원(JeongWon Lee)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105호, 235~26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23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평화와 인권, 세계화의 담론에서 탈피해 4·3의 서사를 행위자 네트워크이론의 관점으로 재서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원초적 서사를 고찰할 때 4·3은 인간과 비인간이 연결되고 하이브리드하며 만들어진 혼종의 서사가 증폭한 결과물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인간은 비인간과 경계를 그은 상태에서 인간만의 서사를 서술해왔다. 이 때문에 혼종의 서사를 설명, 이해하는 데 한계에 봉착했다. 4·3의 서사를 구성한 대표 비인간이 ‘음식’이다. 음식은 4·3 의례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절대적 위치를 차지한다. 영화 <지슬>은 제목에서부터 음식을 배치하며, 음식이 서사를 이끄는중심 행위자임을 선언한다. 음식이 인간과 결합해 특정 행위를 할 때 서사는 예정된비극적 결말을 향해 전환되고 진전한다. <지슬>의 대표 행위자는 감자와 고추다. 감자는 피신과 강탈, 음복(飮福)의 행위를 통해 영화 전체를 위령제로 변모시킨다. 고추는 무기로써 행위하며 4·3을 재래식 무기를 동원한 내전의 서사로 통찰하도록 한다. 4·3영화는 이미지 번역을 통해 음식과 사물들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대변인이 되고있기에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re-describe the narrative of Jeju 4·3 from the perspective of managing the narrative of peace, concepts, and globalization. When examining the original narrative, 4·3 is the result of a narrative of hybridity in which humans and non-humans are connected and shared. However, until now, humans have been narrating human narratives while drawing boundaries with non-humans. Because of this, we have encountered limitations in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hybrid narratives. The representative non-human that constitutes the narrative of 4 ·3 is ‘food.’ Food occupies an absolute position in composing the 4·3 ritual. The movie places food in the title, declaring that food is the central actor leading the narrative. When food combines with humans and performs a specific action, the narrative changes and progresses toward a predetermined tragic ending. The representative actors of are potatoes and peppers. Potatoes transform the entire film into a memorial service through their acts of refuge, robbery, and partaking of sacrificial food and drink. Peppers act as weapons and allow us to see 4·3 as a narrative of civil war using conventional weapons. 4·3 films are becoming spokespeople who reveal the voices of food and objects through image translation, so continuous research is necessary.
목차
1. 들어가며
2. 4·3 서사의 인간-음식 연결망 고찰
3. 음식의 행위로 재서술하는 <지슬>의 서사
4. 맺으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연구 제105호 목차
- 디지털 숏폼 시네마의 감각적 전환: 포스트-연속성과 플랫폼 디스포지티프
- 생기적 물질론으로 본 에코시네마의 물질적 전회: 하마구치 류스케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 한류 소재 OTT 콘텐츠의 스케이프와 문화적 표상: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엑스오, 키티>를 중심으로
- 컬트영화와 검열시대: 김기영 영화의 1970년대 생산 맥락에 대한 일고찰
- 연상호의 작품 세계: 카이뉴레닌과 불완전한 움직임의 미학
- 픽사 애니메이션의 세계관 변주: 서사적 공간 확장의 관점에서
- 화이트 포크 호러와 시각적 과잉의 미학: 영화 <미드소마(Midsommar)>(2019)를 중심으로
- 디지털 전회 이후 한국 공포영화 유령성의 위치 짓기
- 영화의 자동화(Automation)와 인공지능 영화의 미학적 의의
- 미디어 고고학의 관점에서 고찰한 인공지능과 의미생산: <정이>를 중심으로
- 이타미 주조의 <탐포포>(1985)에 나타난 음식을 통한 사회 비판과 햅틱 비주얼리티 연구
- 미디어 환경 변화와 아날로그적 스펙터클: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전략적 선택
- 4·3 서사의 행위자, ‘음식’: 영화 <지슬>을 중심으로
- 서부극의 생태학적 리얼리즘: 앙드레 바쟁의 생태미디어적 사유와 <믹의 지름길>(2010)
- 한중 SF 영화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일고찰: <더 문>(2023)과 <문맨>(2022)의 사례를 중심으로
- 1990년대 이후 홍콩 영화와 한국영화의 상호텍스트적 관계 연구: 왕가위 현상을 중심으로
- 영화제와 지역의 관계 형성과 변화에 대한 재고찰: 전주국제영화제 사례를 중심으로
- 자이니치의 초월적 정체성 연구: 일본 영화 <용길이네 곱창집>(2018) 캐릭터를 중심으로
- 여성 주체의 실패와 페미니즘 정치학의 가능성: <서브스턴스>(The Substance, 2024) 속 여성의 이중적 위치
- <500일의 썸머>와 마페졸리의 순환 시간: 정체성 전환의 감정적 윤무(輪舞)
- 인서트 쇼트의 ‘과잉된 시간성’ 연구: 로베르 브레송의 <소매치기>를 중심으로
- 신체, 공간, 계급 감각의 시각적 연출: 발터 벤야민 이론을 중심으로 본 <하녀>와 <기생충>의 연기 분석
- 노태우 정부 시기(1988-1993)의 레임덕 영화 연구
- 알프레드 히치콕 영화의 독일 표현주의 전략: <살인! Murder!>(1930)를 중심으로
- 후각의 불가능성과 영화적 재현: 영화 <향수>의 시청각적 환유 전략 연구
- <존 오브 인터레스트>의 공간 윤리와 비가시적 감각 구조
- 스피박의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에 대한 더글러스 서크 식의 ‘영화적 화답’: ‘탕웨이 2부작’ <헤어질 결심>, <만추>를 중심으로
- 크리스 마르케르의 마이너리티 리포트: <태양 없이>와 아이의 형상
-
남성 타자화와 젠더 권력의 재구성: 중국영화
(2024)를 중심으로 - 시리즈 <정년이>의 해외 팬 반응을 통한 글로벌 문화 현상 연구
- 한국전쟁을 전후한 한국영화의 지역 표상: 로케이션과 서사 이미지의 변화
- 시네필 문화 가치의 구성과 가치 전환의 정치: 가치 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세실 B. 드밀의 <왕중왕>(1927)과 니콜라스 레이의 <왕중왕>(1961)과 장성호의 <킹 오브 킹즈>(2025) 비교연구: 이중서술을 통한 기적과 부활의 재현
- 일본 영화정책의 제도적 공백과 영화 생태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