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patial Ethics and Invisible Sensory Structure in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조규찬(KyuChan Cho)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105호, 923~94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23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나단 글레이저 감독의 영화 <존 오브 인터레스트>는 시청각의 차단, 비-스펙터클 전략, 감각의 불균형을 통해 관객에게 지속적인 불편함과 도덕적 긴장을 유발하였다. 본 논문은 이 작품이 단순히 감정을 유도하거나 몰입을 차단하는 수준을 넘어, 정동이 발생할 수 있는 감각적 기반 자체를 구조적으로 차단함을 분석하였다. 작품에서재현되는 정원, 담장, 열화상 이미지, 반복되는 사운드 등은 모두 비가시적 폭력을 일상성과 병치시키며, 관객을 감각적 불균형과 지각적 불안정 상태로 몰아넣었다. 이러한 감각의 병치와 지연은 윤리적 판단을 유예시키며, 영화는 이를 통해 신체적 반응으로서의 정동, 시선의 불안정성, 공간적 감각성이 교차하는 윤리적 지각 구조를 구성하였다. 본 논문은 <존 오브 인터레스트>를 통해 감각의 구조가 윤리의 구조로 어떻게 전이될 수 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시네마의 감각 정치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주로 강조해온 ‘정동의 발현’이나 ‘윤리적각성’의 가능성에서 벗어나, 오히려 정동이 체계적으로 봉쇄되는 구조적 조건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영화가 단순히 과거의 폭력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관객이 놓여 있는 감각적·윤리적 위기의 조건을 드러낸다는 점을 밝혔다. 나아가 본 연구는 아렌트, 지젝, 바우만, 마수미의 이론을 접합하여 감각 윤리에 관한 비판적 논의를확장함으로써, 현대 시네마가 제기하는 윤리적 무감각화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새로운지평을 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Jonathan Glazer’s The Zone of Interest employed strategies of audiovisual blockage, anti-spectacle, and sensory imbalance to evoke persistent discomfort and moral tension in the audience. This study analyzed how the film went beyond merely inducing emotions or interrupting immersion, revealing instead a structural blockage of the very sensory foundations upon which affect could arise. Elements such as the garden, the wall, thermal images, and recurring sounds juxtaposed invisible violence with everyday life, pushing the audience into a state of sensory imbalance and perceptual instability. Such juxtapositions and delays suspended ethical judgment, and the film thereby constructed an ethical perceptual structure in which bodily affect, unstable gaze, and spatial sensibility intersected. By examining The Zone of Interest in this way, this study considered how the structure of sensation could be transferred into the structure of ethics, thereby offering a new interpretation of the politics of cinematic sensation. Furthermore, the study identified a key difference from prior scholarship, which often emphasized the activation of affect and ethical awakening: this research demonstrated instead how affect was systematically blocked, resulting in a structure of ethical numbness. In doing so, it revealed that the film did not simply reproduce past violence but illuminated the conditions of contemporary sensory and ethical crisis. By integrating the theories of Hannah Arendt, Slavoj Žižek, Zygmunt Bauman, and Brian Massumi, the analysis also expanded the critical discourse on sensory ethics, opening a new perspective on how modern cinema exposes the mechanisms of ethical desensitization.
목차
1. 서론
2. 공간의 윤리성과 감각의 비가시화: 이론적 프레임과 분석 방향
3. 감각 윤리와 윤리적 무감각화의 시청각 전략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연구 제105호 목차
- 디지털 숏폼 시네마의 감각적 전환: 포스트-연속성과 플랫폼 디스포지티프
- 생기적 물질론으로 본 에코시네마의 물질적 전회: 하마구치 류스케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 한류 소재 OTT 콘텐츠의 스케이프와 문화적 표상: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엑스오, 키티>를 중심으로
- 컬트영화와 검열시대: 김기영 영화의 1970년대 생산 맥락에 대한 일고찰
- 연상호의 작품 세계: 카이뉴레닌과 불완전한 움직임의 미학
- 픽사 애니메이션의 세계관 변주: 서사적 공간 확장의 관점에서
- 화이트 포크 호러와 시각적 과잉의 미학: 영화 <미드소마(Midsommar)>(2019)를 중심으로
- 디지털 전회 이후 한국 공포영화 유령성의 위치 짓기
- 영화의 자동화(Automation)와 인공지능 영화의 미학적 의의
- 미디어 고고학의 관점에서 고찰한 인공지능과 의미생산: <정이>를 중심으로
- 이타미 주조의 <탐포포>(1985)에 나타난 음식을 통한 사회 비판과 햅틱 비주얼리티 연구
- 미디어 환경 변화와 아날로그적 스펙터클: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전략적 선택
- 4·3 서사의 행위자, ‘음식’: 영화 <지슬>을 중심으로
- 서부극의 생태학적 리얼리즘: 앙드레 바쟁의 생태미디어적 사유와 <믹의 지름길>(2010)
- 한중 SF 영화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일고찰: <더 문>(2023)과 <문맨>(2022)의 사례를 중심으로
- 1990년대 이후 홍콩 영화와 한국영화의 상호텍스트적 관계 연구: 왕가위 현상을 중심으로
- 영화제와 지역의 관계 형성과 변화에 대한 재고찰: 전주국제영화제 사례를 중심으로
- 자이니치의 초월적 정체성 연구: 일본 영화 <용길이네 곱창집>(2018) 캐릭터를 중심으로
- 여성 주체의 실패와 페미니즘 정치학의 가능성: <서브스턴스>(The Substance, 2024) 속 여성의 이중적 위치
- <500일의 썸머>와 마페졸리의 순환 시간: 정체성 전환의 감정적 윤무(輪舞)
- 인서트 쇼트의 ‘과잉된 시간성’ 연구: 로베르 브레송의 <소매치기>를 중심으로
- 신체, 공간, 계급 감각의 시각적 연출: 발터 벤야민 이론을 중심으로 본 <하녀>와 <기생충>의 연기 분석
- 노태우 정부 시기(1988-1993)의 레임덕 영화 연구
- 알프레드 히치콕 영화의 독일 표현주의 전략: <살인! Murder!>(1930)를 중심으로
- 후각의 불가능성과 영화적 재현: 영화 <향수>의 시청각적 환유 전략 연구
- <존 오브 인터레스트>의 공간 윤리와 비가시적 감각 구조
- 스피박의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에 대한 더글러스 서크 식의 ‘영화적 화답’: ‘탕웨이 2부작’ <헤어질 결심>, <만추>를 중심으로
- 크리스 마르케르의 마이너리티 리포트: <태양 없이>와 아이의 형상
-
남성 타자화와 젠더 권력의 재구성: 중국영화
(2024)를 중심으로 - 시리즈 <정년이>의 해외 팬 반응을 통한 글로벌 문화 현상 연구
- 한국전쟁을 전후한 한국영화의 지역 표상: 로케이션과 서사 이미지의 변화
- 시네필 문화 가치의 구성과 가치 전환의 정치: 가치 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세실 B. 드밀의 <왕중왕>(1927)과 니콜라스 레이의 <왕중왕>(1961)과 장성호의 <킹 오브 킹즈>(2025) 비교연구: 이중서술을 통한 기적과 부활의 재현
- 일본 영화정책의 제도적 공백과 영화 생태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