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의 자동화(Automation)와 인공지능 영화의 미학적 의의

이용수  36

영문명
The Automation of Film and the Aesthetic Implications of AI Cinema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정인선(InSun Jung) 이원영(WeonYoung Lee)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105호, 107~13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23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영화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자동화(automation)’라는 개념을 통해 조명하고, 그 미학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있다. 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브리 스튜디오 스타일 이미지 생성이나 인공지능 기영상 창작의 새로운 도구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현상은 시각적 재현의 기술적 효과에만 집중한 나머지, 인공지능이 영화의 미학과 본질에 던지는 심층적이고 철학적인 질문들은 충분히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질 들뢰즈의 영화철학과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의 현실 재현론을 이론적 토대로 삼아, 인공지능 기반영화의 미학적 가능성과 한계를 ‘사유의 자동화’와 ‘현실 재현의 자동화’라는 두 가지차원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단순한 기술적 혁신을 넘어, 영화라는 매체의 존재론적전환을 고찰하고자 한다. 우선 사유의 자동화는 영화가 관객의 사유를 유도하는 고유한 작동 방식을 뜻한다. 본 연구는 들뢰즈의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 개념에 근거하여, 인공지능이 생성한 이미지 역시 관객의 사유를 촉발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음을 밝힌다. 예를 들면 은 인공지능 이미지와 실사 영상을 결합하여 시공간의 중첩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관객이 능동적으로 해석하게 만드는 미학적 구조를 보여준다. 이는 들뢰즈가 말한 ‘거짓의 역량’을 구현하며, 인공지능 이미지가 단순한 모방을 넘어서 새로운 이미지의 존재론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음으로현실 재현의 자동화는 영화가 카메라라는 기계 장치를 통해 현실을 자동적으로 기록하고 재현하는 특성에 주목한다. 영화는 사진의 계보를 잇되 시간과 운동을 통해 더복합적인 현실의 층위를 구현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통적 메커니즘에 더해, 테슬라의 자율주행 시스템이 활용하는 영상 AI 기술이 물리적 세계를 기반으로 가상의3D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이와 같은 기술은 영화의 현실 재현방식을 다른 차원에서 미학적으로 현실을 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결론적으로본 연구는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영화제작이 기술적 완성도나 시각적 유사성에 머무르지 않고, 인간과 기계의 협업을 통해 구성되는 동적 미학의 영역으로 재정립되어야함을 제안한다. 인공지능이 생성한 영화는 기존 영화 언어를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새로운 미학적 실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는 영화미학의 종말이 아닌 새로운 출발점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the rapid advancement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on the overall process of film production, focusing on the concept of “automation,” and examines its aesthetic implications. Recent trends—such as AI-generated Studio Ghibli-style images and the humanization of pets—demonstrate the growing presence of AI as a tool in visual creation. However, these phenomena often remain at the level of superficial fascination with technical effects and lack deeper engagement with the fundamental aesthetic and philosophical questions surrounding cinema.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draws upon the film philosophy of Gilles Deleuze and the realism theory of Siegfried Kracauer to analyze the aesthetic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AI-generated films through two conceptual lenses: the “automation of thought” and the “automation of reality representation.” First, the automation of thought refers to film’s unique capacity to trigger reflective thinking in the viewer. Based on Deleuze’s concepts of movement-image and time-image, this paper argues that AI-generated imagery can also activate viewer cognition. For example, the AI-generated short film , which won a prize at the Runway AI Film Festival, combines synthetic and live-action images to create overlapping temporal and spatial structures that compel interpretive engagement. This process illustrates Deleuze’s notion of the “power of the false,” wherein AI-generated images transcend mere imitation and become agents of new ontological and perceptual possibilities. Second, the automation of reality representation emphasizes cinema’s ability to mechanically record and reproduce reality through the camera. While rooted in photography, cinema extends realism by incorporating temporality and motion. This study further analyzes Tesla’s AI-based video generation technology used in its autonomous driving system, which reconstructs a 3D spatial reality from multi-camera input. This example suggests that cinematic realism, when integrated with AI, can evolve from mimetic reproduction to algorithmic construction of plausible realities—indicating a new phase of aesthetic automation. Ultimately, this study contends that AI-driven filmmaking should not be confined to discussions of visual fidelity or technological sophistication, but rather be redefined as a dynamic aesthetic field formed through human–machine collaboration. AI-generated films are actively deconstructing and reassembling the language of cinema, signaling not the end of film aesthetics, but the beginning of a new era of creative possibility.

목차

1. 들어가며
2. 영화의 자동화와 인공지능 영화의 미학
3. 영화의 자동화 Ⅰ: 사유의 자동화
4. 영화의 자동화 Ⅱ: 현실 재현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인선(InSun Jung),이원영(WeonYoung Lee). (2025).영화의 자동화(Automation)와 인공지능 영화의 미학적 의의. 영화연구, (), 107-134

MLA

정인선(InSun Jung),이원영(WeonYoung Lee). "영화의 자동화(Automation)와 인공지능 영화의 미학적 의의." 영화연구, (2025): 107-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