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Lame Duck Films during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1988-1993)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반임정(LinJing Pan) 정태수(TaeSoo Chung)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105호, 643~68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23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87년 6.29선언 발표 이후 한국에서는 대통령 직선제와 5년 단임제가 시행되어1988년 노태우 정권이 출범하였다. 민주화투쟁에 의한 대통령 직선제 선출이라는 목표를 성취했지만 5년 단임제는 정권말기 레임덕이라는 권력누수 현상을 불가피하게맞게 되는 제도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노태우 정권은 임기 초 민주화라는 시대적 요구를 일정부분 수용하고 5공 청산에 나섰지만 이것은 오히려 자신의 권력기반을 취약하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특히 1990년 초 여소야대의 정국을 타개하기 위해 단행된3당 합당은 민주화를 후퇴시키는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차기 대권주자로서의 김영삼이 부상하게 되면서 노태우 정권의 레임덕 현상을 구체화하였다. 여기에 임기 말국가 대형건설사업과 관련된 일련의 친인척 비리사건에 대한 폭로와 의혹은 노태우정권의 레임덕 현상을 더욱 가속화시켰다. 노태우 정권의 이러한 레임덕 현상은 이시기 한국영화의 창작영역을 확대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것은 이전시기 금기시되었거나 터부시되었던 영역들을 영화화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것을말한다. 이는 남북한의 이념적 적대성에서 민족의 동질성을 드러내면서 이념의 비극성을 강조하는 영화들로, 노태우 정권과 직접적 연관이 있던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영화로, 국가적 차원이 아닌 개인의 경험적 시각으로서 베트남전쟁을 재인식시키는영화들로, 다양한 사회적 갈등을 통해 사회구조의 문제를 제기하는 영화들로, 미국에대한 그동안의 환상으로부터 벗어나 그 이면에 존재하는 시선들의 영화들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제와 소재의 다양화는 노태우 정권의 레임덕 현상과 이 시기 한국영화의 특징형성이 동시대 지배 권력의 변화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Following the announcement of the June 29 Declaration in 1987, South Korea implemented a direct presidential election system and a five-year single-term presidency,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in 1988. While the goal of electing a president through direct elections was achieved through the democratic movement, the five-year single-term system has inherent limitations, inevitably leading to a power drain phenomenon known as ‘lame duck’ toward the end of the administration.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initially responded to the era’s demand for democratisation by addressing the liquidation of the Fifth Republic, but this also weakened its own power base. In particular, the three-party merger carried out in early 1990 to break the political deadlock caused by the opposition party’s majority in the National Assembly not only led to a setback in democratisation, but also brought Kim Young-sam to the forefront as a candidate for the next presidential election, thereby concretising the lame duck phenomenon of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In addition, a series of revelations and suspicions regarding corruption involving relatives related to large-scale 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at the end of his term further accelerated the lame duck phenomenon of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The lame duck phenomenon of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served as an important factor in expanding the creative realm of Korean cinema during this period. This meant that it became possible to make films about topics that had previously been taboo or considered off-limits. These films emphasised the tragedy of ideology by revealing the ethnic homogeneity of the Korean people despite the ideological hostil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dealt with the Gwangju Uprising, which was directly related to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At the same time, films that reinterpreted the Vietnam War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experiences rather than the national level, films that raised questions about social structures through various social conflicts, and films that broke away from the previous illusions about the United States and r evealed the perspectives that lay beneath them has been made and released in the theatres. This diversification of themes and subjects demonstrates that the lame duck phenomenon of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and the formation of characteristics in Korean cinema during this period were inextricably linked to changes in the ruling power of the tim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노태우 대통령의 레임덕 현상
3. 레임덕 시기의 영화적 특징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연구 제105호 목차
- 디지털 숏폼 시네마의 감각적 전환: 포스트-연속성과 플랫폼 디스포지티프
- 생기적 물질론으로 본 에코시네마의 물질적 전회: 하마구치 류스케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 한류 소재 OTT 콘텐츠의 스케이프와 문화적 표상: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엑스오, 키티>를 중심으로
- 컬트영화와 검열시대: 김기영 영화의 1970년대 생산 맥락에 대한 일고찰
- 연상호의 작품 세계: 카이뉴레닌과 불완전한 움직임의 미학
- 픽사 애니메이션의 세계관 변주: 서사적 공간 확장의 관점에서
- 화이트 포크 호러와 시각적 과잉의 미학: 영화 <미드소마(Midsommar)>(2019)를 중심으로
- 디지털 전회 이후 한국 공포영화 유령성의 위치 짓기
- 영화의 자동화(Automation)와 인공지능 영화의 미학적 의의
- 미디어 고고학의 관점에서 고찰한 인공지능과 의미생산: <정이>를 중심으로
- 이타미 주조의 <탐포포>(1985)에 나타난 음식을 통한 사회 비판과 햅틱 비주얼리티 연구
- 미디어 환경 변화와 아날로그적 스펙터클: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전략적 선택
- 4·3 서사의 행위자, ‘음식’: 영화 <지슬>을 중심으로
- 서부극의 생태학적 리얼리즘: 앙드레 바쟁의 생태미디어적 사유와 <믹의 지름길>(2010)
- 한중 SF 영화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일고찰: <더 문>(2023)과 <문맨>(2022)의 사례를 중심으로
- 1990년대 이후 홍콩 영화와 한국영화의 상호텍스트적 관계 연구: 왕가위 현상을 중심으로
- 영화제와 지역의 관계 형성과 변화에 대한 재고찰: 전주국제영화제 사례를 중심으로
- 자이니치의 초월적 정체성 연구: 일본 영화 <용길이네 곱창집>(2018) 캐릭터를 중심으로
- 여성 주체의 실패와 페미니즘 정치학의 가능성: <서브스턴스>(The Substance, 2024) 속 여성의 이중적 위치
- <500일의 썸머>와 마페졸리의 순환 시간: 정체성 전환의 감정적 윤무(輪舞)
- 인서트 쇼트의 ‘과잉된 시간성’ 연구: 로베르 브레송의 <소매치기>를 중심으로
- 신체, 공간, 계급 감각의 시각적 연출: 발터 벤야민 이론을 중심으로 본 <하녀>와 <기생충>의 연기 분석
- 노태우 정부 시기(1988-1993)의 레임덕 영화 연구
- 알프레드 히치콕 영화의 독일 표현주의 전략: <살인! Murder!>(1930)를 중심으로
- 후각의 불가능성과 영화적 재현: 영화 <향수>의 시청각적 환유 전략 연구
- <존 오브 인터레스트>의 공간 윤리와 비가시적 감각 구조
- 스피박의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에 대한 더글러스 서크 식의 ‘영화적 화답’: ‘탕웨이 2부작’ <헤어질 결심>, <만추>를 중심으로
- 크리스 마르케르의 마이너리티 리포트: <태양 없이>와 아이의 형상
-
남성 타자화와 젠더 권력의 재구성: 중국영화
(2024)를 중심으로 - 시리즈 <정년이>의 해외 팬 반응을 통한 글로벌 문화 현상 연구
- 한국전쟁을 전후한 한국영화의 지역 표상: 로케이션과 서사 이미지의 변화
- 시네필 문화 가치의 구성과 가치 전환의 정치: 가치 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세실 B. 드밀의 <왕중왕>(1927)과 니콜라스 레이의 <왕중왕>(1961)과 장성호의 <킹 오브 킹즈>(2025) 비교연구: 이중서술을 통한 기적과 부활의 재현
- 일본 영화정책의 제도적 공백과 영화 생태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