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실 B. 드밀의 <왕중왕>(1927)과 니콜라스 레이의 <왕중왕>(1961)과 장성호의 <킹 오브 킹즈>(2025) 비교연구: 이중서술을 통한 기적과 부활의 재현

이용수  0

영문명
Demonstrating Miracles and the Resurrection by Double Narration in Cecil B. DeMille’s The King of Kings (1927), Nicholas Ray’s King of Kings ( 1961), and Jang Sung- ho’s The King of Kings (2025)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표민수(MinSoo Pyo)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105호, 1083~111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23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세실 B. 드밀의 <왕중왕>(1927)과 니콜라스 레이의 <왕중왕>(1961), 그리고 장성호의 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즈>(2025)의 서술 구조를 비교분석해, 예수영화에서 기적과 부활을 재현하는 방법론을 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세 작품은 각각무성영화와 유성영화, 그리고 애니메이션 분야를 대표하는 예수영화로서 서술형식을 활용해 신학적으로 재현이 불가능한 소재를 시청각적으로 전시하는 데 성공한 사례들이다. 먼저 예수영화의 표본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는 드밀의 <왕중왕>은 간자막과영상의 이중서술을 활용해, 예수의 기적과 신성에 대한 시각적 내기에 관객을 참여시킨다. 이에 견주어, 니콜라스 레이는 <왕중왕>에서 보이스오버 내레이션을 활용한 이중서술을 통해 예수의 신성에 대한 시각적 정보와 청각적 정보의 차이를 만들고, 관객에게 보는 것과 듣는 것 중에서 무엇을 믿을 것인지를 되묻는다. 반면, 장성호는 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즈>에서 찰스 디킨스의 원작 소설을 메타적으로 각색해 극중극의구조를 신설하고, 겉이야기와 속이야기가 교차하는 자기반영적 이중서술을 통해 예수의 기적과 부활을 현재적인 의미를 갖는 하나의 현실로 제시한다. 본 논문은 세 영화감독이 예수영화의 미학적 난제와 신학적 비판의 근거를 이중서술의 형식을 통해 극복하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성경적 텍스트의 영화적 서술방법론을 검토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and analyze double narration structures of Cecil B. DeMille’s The King of Kings (1927), Nicholas Ray’s King of Kings (1961), and Jang Sung-ho’s animated The King of Kings (2025),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cinematic methods used to represent miracles and the resurrection in Jesus films. These three works, representing silent film, sound film, and animation respectively, are among the most prominent cinematic portrayals of Jesus. Despite the theological impossibility of fully representing such transcendent subjects, each film succeeds in doing so by employing narrative strategies that attempt a cinematic expression of the inexpressible. First, DeMille’s The King of Kings, which has set up the template of this genre, employs intertitles as a method of double narrative structure to demonstrate the divine characteristic of Jesus, to the audience as a form of wager. Compared to that, Ray’s King of Kings (1961) applies voice-over narration that creates the gap between the visual information and audible information on the matter of Divine, which also involves the wager style question to the audience. On the other hand, Jang Sung-ho’s animated The King of Kings (2025) undertakes a meta-adaptation of Charles Dickens novel, The Life of Our Lord, as a tool to create the play-within-the play structure. The director uses self-reflective double narration based on the intersection of framed

목차

1. 서론
2. 세실 B. 드밀의 <왕중왕>과 간자막
3. 니콜라스 레이의 <왕중왕>에서 보이스오버 내레이션
4. 장성호의 <킹 오브 킹즈>와 극중극 서사 구조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표민수(MinSoo Pyo). (2025).세실 B. 드밀의 <왕중왕>(1927)과 니콜라스 레이의 <왕중왕>(1961)과 장성호의 <킹 오브 킹즈>(2025) 비교연구: 이중서술을 통한 기적과 부활의 재현. 영화연구, (), 1083-1113

MLA

표민수(MinSoo Pyo). "세실 B. 드밀의 <왕중왕>(1927)과 니콜라스 레이의 <왕중왕>(1961)과 장성호의 <킹 오브 킹즈>(2025) 비교연구: 이중서술을 통한 기적과 부활의 재현." 영화연구, (2025): 1083-1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