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nstruction of Cinephile Cultural Value and the Politics of Value Transition: Toward an Anthropology of Value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주재형(JaeHeung Joo)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105호, 951~1004쪽, 전체 5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23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시네필 문화가 헐리우드 문화에 대한 실천적 대항과 비판적 성찰을 행한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고, 저항의 대상으로 삼은 주류 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시네필 문화의 가치가 다각도로 형성되는 과정을 인류학적 방식으로 접근하여 조명한다. 그레이버의 가치 분류법을 활용하여 사회적 가치, 경제적 가치, 언어적 가치의 측면에서 시네필 문화의 가치 얽힘을 조명하며, 최종적으로는 문화 그 자체를 재생산하는행위 가치의 측면을 분석한다. 첫째, 경제적 가치는 노동 계급과의 연관 속에서 극장이라는 공간의 물질성에 의해 형성되어짐을 밝혀낸다. 둘째, 사회적 가치는 시네마테크를 중심으로 필름의 보존과 증여, 그리고 관객과의 후원 관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셋째, 언어적 가치는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언어에서 잉여가치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미지-언어에서도 비생산적 차이에 의한 가치가 발생한다고주장한다. 넷째, 행위 가치는 현재 시네필 문화의 내용에 영화적인 것, 즉 진정성을기입하기 위해 시네필이 가치의 정치와 전환의 정치를 통해 경합하는 양상임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목표는 가치 인류학이 지닌 규범적 한계를 드러내고, 이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연대의 가치라는 관점에서 모든 가치 행위를 긍정·부정을 넘어 그저 유의미한 행위로서 포착할 것을 주장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process through which cinephile culture has engaged in practical resistance and critical reflection against Hollywood culture. It approaches the formation of cinephile culture’s value, which is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its relationship to mainstream culture as an object of resistance, from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Utilising Graeber’s value classification, this study illuminates the entanglement of values in cinephile culture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value, economic value, and linguistic value, and finally analyzes the aspect of the value of action, which reproduces culture itself. First, economic value is revealed to be formed by the materiality of the theater space in relation to the working class. Next, social value is centered on film preservation and gift, as well as patronage relationships with audiences, with a focus on film archives. Third, linguistic value is argued to arise from non-productive differences in image-language, similar to how surplus value emerges in language, from a structuralist perspective. Finally, the value of action reveals how cinephiles compete through the politics of value and the politics of transformation to inscribe the cinematic, i.e., authenticity, into the content of contemporary cinephile culture. In conclus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normative limitations of value anthropology and argue that,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ll the value of action should be captured as meaningful acts beyond mere positivity or nega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alue of solidarity.
목차
1. 들어가며
2. 한국 시네필의 형성과 경제적 가치
3. 시네마테크의 형성과 사회적 가치
4. 시네필 문화의 언어적 가치와 가치의 정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