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성 타자화와 젠더 권력의 재구성: 중국영화 (2024)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Male Othering and the Reconfiguration of Gender Power: Centering the Film (2024)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조가(Ke Zhao) 최정인(JungIn Choi)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105호, 895~92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23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몇 년간, 젠더 권력 구조와 여성 주체성의 부상은 중국 영상문화의 주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샤오이후이(邵藝輝) 감독의 (2024)는 싱글맘 왕톄메이(王鐵梅)를 중심으로 가족애, 우정, 자아성장 속 현대 도시 여성의 주체성 표현을담아내고 있다. 영화에서 남성 캐릭터는 의도적으로 주변화되고 기능화 되며, 여성의성장과 감정 형성 과정에서 ‘타자’로 제시되며, 이를 통해 중국 주류 영화에 내재되어있는 가부장적 구조를 전복하고 해체하려고 시도한다. 본 논문은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의 실존주의 철학과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젠더 이론을이론적 틀로 삼아, 영화 속 남성 인물들이 가부장제가 부여한 ‘본질’을 상실한 이후어떻게 자기 규정 능력과 행위 가능성을 점차 잃고 공허한 객체로 전락하는지를 분석한다. 이에 반해 여성 캐릭터들은 상호 지지와 주체적 선택을 통해 ‘존재’의 가치와의미를 재정립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러나 권력 관계의 전환과 더불어 영화가 구성하는 ‘여성의 응시’에는 역설이 잠재한다. 의미 발화의 권한이 재분배되더라도, 그 응시가 ‘타자’에 대한 윤리적 응답과 상호 인정을 결여할 경우 또 다른 규율로 작동하거나, 표면적 해체 이면에서 재코딩된 구조로 기능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바탕으로 본 논문은 가 구축한 남성 타자화의 서사적 표상과 기능을 검토하고, 이러한 젠더 치환 전략이 기존 권력 구조를 실질적으로 동요시키는 범위와한계를 비판적으로 규명한다. 특히 담론 권한의 단순한 이동이나 역할 전도에 머물때 나타나는 구조적 반복성과 역방향 규율의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중국 페미니즘 영화 담론의 비판적 지평을 확장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 reconfiguration of gendered power relations and the rise of female subjectivity have become central issues in Chinese screen culture. Shao Yihui’s Her Story (2024) centers on single mother Wang Tiemei, presenting women’s subjectivity through narratives of family, friendship, and self-growth. The film deliberately marginalizes male characters, casting them as the “Other” to destabilize patriarchal structures in mainstream cinema. Drawing on Sartre’s existentialism and Butler’s gender theory, this article argues that once stripped of the “essence” patriarchy confers, male figures lose agency and become hollow objects, while women reconstruct “existence” through solidarity and autonomy. Yet the “female gaze” risks a paradox: without ethical reciprocity with the “Other,” it may function as a new form of regulation. On this basis, the article examines how male othering operates narratively in Her Story, and critically assesses the limits of this strategy, particularly where change amounts to simple role reversal, thereby seeking to expand feminist film discourse in China.

목차

1. 들어가며: ‘타자’의 시각
2. 속 남성 이미지의 ‘타자화’
3. 주체와 타자 위치 전환의 현실적 한계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가(Ke Zhao),최정인(JungIn Choi). (2025).남성 타자화와 젠더 권력의 재구성: 중국영화 (2024)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 895-922

MLA

조가(Ke Zhao),최정인(JungIn Choi). "남성 타자화와 젠더 권력의 재구성: 중국영화 (2024)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5): 895-9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