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Social Criticism Through Food and Haptic Visuality in Itami Juzo’s Tampopo (1985)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석진(SeokJin Kim) 고병정(Byeongjeong Ko)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105호, 163~18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23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이타미 주조(伊丹十三, Itami Juzo) 감독의 1985년 작 <탐포포>를 라우라 마크스(Laura U. Marks)의 햅틱 비주얼리티(haptic visuality)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영화가 음식을 매개로 어떻게 1980년대 일본 버블경제 시대의 사회비판적 담론을 구축하는지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마크스의 햅틱 비주얼리티, 제니퍼 바커(Jennifer M. Barker)의 촉각적 시각 이론, 비비안 솝착(Vivian Sobchack)의 영화 현상학을 이론적 틀로 삼는다. 이를 통해 영화의 시각적 기법, 사운드 디자인, 장르적 실험이 관람자의 체화된 감각 경험을 어떻게 유도하며, 이것이사회비판적 메시지와 어떻게 결합되는지 분석한다. 연구 결과, <탐포포>는 단순한 음식 영화를 넘어, 서구의 웨스턴 장르 관습과 일본의 미학을 결합한 독창적인 라면 웨스턴 장르를 창조함을 확인하였다. 영화는 음식의 질감, 소리, 온도를 강조하는 햅틱적 시각성을 통해 관람자의 다감각적 기억을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전통과 근대성, 계급의식, 성 역할 등 당대 일본 사회의 문화적 긴장을 체화된 관람 경험으로 전환시킨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탐포포>가 감각적 영화 언어를 통해 추상적인 사회 비판을 구체적이고 즉물적인 감각적 깨달음으로 승화시키는 독창적 사례임을 논증한다. 감각적 스펙터클이 깊이 있는 문화 비판의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하며, 사회 참여적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Itami Juzo’s 1985 film Tampopo through Laura U. Marks’ theory of haptic visuality, exploring how the film constructs social-critical discourse about Japan’s bubble economy era of the 1980s through food as a medium. The research methodology employs Marks’ haptic visuality, Jennifer M. Barker’s tactile eye theory, and Vivian Sobchack’s film phenomenology as theoretical frameworks. Through this approach, the study analyzes how the film’s visual techniques, sound design, and genre experimentation induce viewers’ embodied sensory experiences and how these combine with social-critical messages. The research findings confirm that Tampopo transcends simple food cinema, creating an original ‘ramen western’ genre that combines Western genre conventions with Japanese aesthetics. The film activates viewers’ multisensory memories through haptic visuality that emphasizes the texture, sound, and temperature of food, thereby transforming cultural tensions of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such as tradition versus modernity, class consciousness, and gender roles—into embodied viewing experie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ampopo represents an original case of elevating abstract social criticism into concrete and materialistic sensory enlightenment through sensory cinematic language. This proves that sensory spectacle can serve as a tool for profound cultural criticism and presents new possibilities for socially engaged cinema.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시대적 상황
3. <탐포포>의 장르적 실험과 라면 웨스턴
4. 햅틱 비주얼리티를 통한 감각적 영화 언어 구사
5. 음식을 통한 사회 비판의 양상과 문화적 의미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연구 제105호 목차
- 디지털 숏폼 시네마의 감각적 전환: 포스트-연속성과 플랫폼 디스포지티프
- 생기적 물질론으로 본 에코시네마의 물질적 전회: 하마구치 류스케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 한류 소재 OTT 콘텐츠의 스케이프와 문화적 표상: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엑스오, 키티>를 중심으로
- 컬트영화와 검열시대: 김기영 영화의 1970년대 생산 맥락에 대한 일고찰
- 연상호의 작품 세계: 카이뉴레닌과 불완전한 움직임의 미학
- 픽사 애니메이션의 세계관 변주: 서사적 공간 확장의 관점에서
- 화이트 포크 호러와 시각적 과잉의 미학: 영화 <미드소마(Midsommar)>(2019)를 중심으로
- 디지털 전회 이후 한국 공포영화 유령성의 위치 짓기
- 영화의 자동화(Automation)와 인공지능 영화의 미학적 의의
- 미디어 고고학의 관점에서 고찰한 인공지능과 의미생산: <정이>를 중심으로
- 이타미 주조의 <탐포포>(1985)에 나타난 음식을 통한 사회 비판과 햅틱 비주얼리티 연구
- 미디어 환경 변화와 아날로그적 스펙터클: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전략적 선택
- 4·3 서사의 행위자, ‘음식’: 영화 <지슬>을 중심으로
- 서부극의 생태학적 리얼리즘: 앙드레 바쟁의 생태미디어적 사유와 <믹의 지름길>(2010)
- 한중 SF 영화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일고찰: <더 문>(2023)과 <문맨>(2022)의 사례를 중심으로
- 1990년대 이후 홍콩 영화와 한국영화의 상호텍스트적 관계 연구: 왕가위 현상을 중심으로
- 영화제와 지역의 관계 형성과 변화에 대한 재고찰: 전주국제영화제 사례를 중심으로
- 자이니치의 초월적 정체성 연구: 일본 영화 <용길이네 곱창집>(2018) 캐릭터를 중심으로
- 여성 주체의 실패와 페미니즘 정치학의 가능성: <서브스턴스>(The Substance, 2024) 속 여성의 이중적 위치
- <500일의 썸머>와 마페졸리의 순환 시간: 정체성 전환의 감정적 윤무(輪舞)
- 인서트 쇼트의 ‘과잉된 시간성’ 연구: 로베르 브레송의 <소매치기>를 중심으로
- 신체, 공간, 계급 감각의 시각적 연출: 발터 벤야민 이론을 중심으로 본 <하녀>와 <기생충>의 연기 분석
- 노태우 정부 시기(1988-1993)의 레임덕 영화 연구
- 알프레드 히치콕 영화의 독일 표현주의 전략: <살인! Murder!>(1930)를 중심으로
- 후각의 불가능성과 영화적 재현: 영화 <향수>의 시청각적 환유 전략 연구
- <존 오브 인터레스트>의 공간 윤리와 비가시적 감각 구조
- 스피박의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에 대한 더글러스 서크 식의 ‘영화적 화답’: ‘탕웨이 2부작’ <헤어질 결심>, <만추>를 중심으로
- 크리스 마르케르의 마이너리티 리포트: <태양 없이>와 아이의 형상
-
남성 타자화와 젠더 권력의 재구성: 중국영화
(2024)를 중심으로 - 시리즈 <정년이>의 해외 팬 반응을 통한 글로벌 문화 현상 연구
- 한국전쟁을 전후한 한국영화의 지역 표상: 로케이션과 서사 이미지의 변화
- 시네필 문화 가치의 구성과 가치 전환의 정치: 가치 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세실 B. 드밀의 <왕중왕>(1927)과 니콜라스 레이의 <왕중왕>(1961)과 장성호의 <킹 오브 킹즈>(2025) 비교연구: 이중서술을 통한 기적과 부활의 재현
- 일본 영화정책의 제도적 공백과 영화 생태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