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3 서사의 행위자, ‘음식’: 영화 <지슬>을 중심으로

이용수 9

영문명
The Study of ‘food’ for The Jeju 4·3 Narrative Actor: Focusing on the movie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이정원(JeongWon Lee)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105호, 235~26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23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평화와 인권, 세계화의 담론에서 탈피해 4·3의 서사를 행위자 네트워크이론의 관점으로 재서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원초적 서사를 고찰할 때 4·3은 인간과 비인간이 연결되고 하이브리드하며 만들어진 혼종의 서사가 증폭한 결과물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인간은 비인간과 경계를 그은 상태에서 인간만의 서사를 서술해왔다. 이 때문에 혼종의 서사를 설명, 이해하는 데 한계에 봉착했다. 4·3의 서사를 구성한 대표 비인간이 ‘음식’이다. 음식은 4·3 의례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절대적 위치를 차지한다. 영화 <지슬>은 제목에서부터 음식을 배치하며, 음식이 서사를 이끄는중심 행위자임을 선언한다. 음식이 인간과 결합해 특정 행위를 할 때 서사는 예정된비극적 결말을 향해 전환되고 진전한다. <지슬>의 대표 행위자는 감자와 고추다. 감자는 피신과 강탈, 음복(飮福)의 행위를 통해 영화 전체를 위령제로 변모시킨다. 고추는 무기로써 행위하며 4·3을 재래식 무기를 동원한 내전의 서사로 통찰하도록 한다. 4·3영화는 이미지 번역을 통해 음식과 사물들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대변인이 되고있기에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re-describe the narrative of Jeju 4·3 from the perspective of managing the narrative of peace, concepts, and globalization. When examining the original narrative, 4·3 is the result of a narrative of hybridity in which humans and non-humans are connected and shared. However, until now, humans have been narrating human narratives while drawing boundaries with non-humans. Because of this, we have encountered limitations in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hybrid narratives. The representative non-human that constitutes the narrative of 4 ·3 is ‘food.’ Food occupies an absolute position in composing the 4·3 ritual. The movie places food in the title, declaring that food is the central actor leading the narrative. When food combines with humans and performs a specific action, the narrative changes and progresses toward a predetermined tragic ending. The representative actors of are potatoes and peppers. Potatoes transform the entire film into a memorial service through their acts of refuge, robbery, and partaking of sacrificial food and drink. Peppers act as weapons and allow us to see 4·3 as a narrative of civil war using conventional weapons. 4·3 films are becoming spokespeople who reveal the voices of food and objects through image translation, so continuous research is necessary.

목차

1. 들어가며
2. 4·3 서사의 인간-음식 연결망 고찰
3. 음식의 행위로 재서술하는 <지슬>의 서사
4. 맺으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원(JeongWon Lee). (2025).4·3 서사의 행위자, ‘음식’: 영화 <지슬>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 235-261

MLA

이정원(JeongWon Lee). "4·3 서사의 행위자, ‘음식’: 영화 <지슬>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5): 235-26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