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교육을 위한 국내 온라인 체험학습 VR 및 영상 콘텐츠 현황 분석

이용수  6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VR and Video Content for Online Experiential Learning in Digital Education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김정현(Jeong Hyun Kim)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2(통권 35권), 427~44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환경의 확산 속에서 디지털 교육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한다. 둘째, 국내 온라인 체험학습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VR 및 영상 콘텐츠의 제공 현황과 유형을 살펴보는 것이다. 셋째, 국내 온라인 체험학습 관련 VR 및 영상 콘텐츠 현황을 통한 제안점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5년 2월부터 5월까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에듀넷에 탑재된 체험학습을 위한 VR 및 영상콘텐츠 279종을 콘텐츠 유형, 제공기관, 지역 분포, 전시 시작 연도 등을 범주화하여 정리하였으며 데스크 리서치와 선행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분석 대상의 체험 학습 콘텐츠 중 약 97.4%가 VR 유형이었으며, 약 77%가 서울 및 경기 소재의 기관에서 제공한 콘텐츠였다. 그리고 박물관 중심의 콘텐츠가 약 63.4%를 차지하고 있었다. 콘텐츠의 제작 연도는 2016년부터 2020년 사이로 집중되어 있으며, 2022, 2023, 2025년의 콘텐츠는 존재하지 않았다. 2021년 이후의 콘텐츠가 279개 중 4개인 것으로 보아 최신 전시와 관련한 콘텐츠가 매우 제한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의 콘텐츠 운영이 시의성과 다양성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온라인 체험학습 콘텐츠의 정기적인 갱신,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 확대, 학습자 중심의 콘텐츠 설계를 제언하였다. 또한 디지털 교육환경에서 온라인 체험학습이 보다 실효성 있는 교육 매체로 기능하기 위해 정책적·교육적 노력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chieve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 it explores the role of digital education amid the rapid expansion of digital environments. Second, it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types of VR and video content provided in online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in Korea. Third, it presents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findings related to the current state of such content.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a desk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categorizing 279 types of VR and video content for experiential learning available on KERIS Edunet from February to May 2025. The content was analyzed in terms of type, provider institution, regional distribution, and the year of exhibition launch. The analysis revealed that approximately 97.4% of the content was in VR format, with about 77% provided by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useum-based content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3.4% of the total. Most of the content was produced between 2016 and 2020, and there was no content produced in 2022, 2023, or 2025. Only four out of 279 pieces of content were created after 2021, indicating that content related to recent exhibitions is extremely limit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urrent operation of content is constrained in terms of timeliness and diversity. Accordingly, this study recommends regular updates to online experiential learning content, expansion of collaboration with various institutions, and learner-centered content design. It also emphasizes the need for both policy and educational effort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xperiential learning as a meaningful medium in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온라인 체험학습 콘텐츠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현(Jeong Hyun Kim). (2025).디지털 교육을 위한 국내 온라인 체험학습 VR 및 영상 콘텐츠 현황 분석. 한국디자인리서치, 10 (2), 427-444

MLA

김정현(Jeong Hyun Kim). "디지털 교육을 위한 국내 온라인 체험학습 VR 및 영상 콘텐츠 현황 분석." 한국디자인리서치, 10.2(2025): 427-4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