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촌 관광브랜드 ‘별촌’ 인지도 향상을 위한 소비자 경험 강화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trengthening consumer experience to increase awareness of rural tourism brand ‘Byeolchon’ Flexible identity design study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박재민(Jae Min Park) 송민정(Min Jung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2(통권 35권), 295~30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3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 지정 우수 농촌체험휴양마을 브랜드 ‘별촌(구 으뜸촌)’을 대상으로 변화하는 시장, 소비자 요구를 반영하여 인지도 제고, 브랜드 방향성 모색, 참여 유도를 위해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리디자인을 제안하였다. Gîtes de France, Agriturismo, Farm Stay 등 해외 농촌 관광브랜드 5개 사례를 분석하여 소비자 소통 및 미디어의 변화에 유연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가 소비자 인지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리디자인 시안 1, 2를 개발하고 소비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참여성·주목성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시안 1을 최종안으로 선정하였다. 소비자의 긍정적 경험, 계절, 지역, 매체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도록 디자인하였으며, 감성적 연계와 시각적 반복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다. 결과적으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는 농촌 관광브랜드 매력을 유연성있게 전달하여 고유성, 미디어 확장성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d a brand redesign using flexible identity design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excellent rural experience resort brand ‘Byeolchon’. By analyzing the cases of five overseas rural tourism brands, including Gîtes de France, Agriturismo, and Farm Stay, it was found that flexible visual identity is effective in improving consumer awareness in response to changes in consumer communication and media. Flexible identity redesign drafts 1 and 2 were develop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00 consumers, and draft 1, which received high evaluations in participation and attention, was selected as the final draft. It was designed as a system that can be flexibly applied according to consumers’ positive experiences, seasons, regions, and media, and increases brand awareness through emotional connection and visual repetition. As a result, flexible identity can be suggested as an effective strategy to secure flexible uniqueness and scalability of rural tourism brand appeal.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농촌 관광브랜드 디자인 및 소비자 분석
4. 별촌 브랜드 리디자인 발상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Optimization of Lighting Environment Design in Nursing Homes Based on AHP-CRITIC Multi-dimensional Weighting
- 감성공학에 기반한 여성 서핑복 패턴 디자인 연구
- 게슈탈트 심리학에 나타난 예술성 연구 - 미술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 디자인 교육차원에서 시각디자인 전공학생의 ChatGPT 지속사용 의향에 관한 연구
- 문화, 행동, 공간의 3차원 모델을 기반한 중국 노후주택의 고령 친화적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에서 PBL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적용
- 플라스틱 컵 저감을 위한 텀블러 사용 촉진 방안 - 제도, 행동, 기술, 인식의 4가지 차원을 중심으로
- VALS2 라이프 스타일이 OTT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O2O 공간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무신사 스토어를 중심으로
- 감성 어포던스 기반 생성디자인에서의 소비자 선호와 심성모형화에 관한 연구 - 의자 디자인의 심미성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 광고 이미지에서 형(形)과 배경(背景)의 블러 속성이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 광고에 표현된 옵티컬 일루전의 유형과 시각조형적 특성
- A UI-First Approach to Brand Identity Design : A Case Study of the TPIS System
- 3D 디지털 휴먼의 자연스러운 한국어 발화를 위한 AI 학습용 데이터세트 구축 사례
- AHP 모형 기반 여성 서핑복의 감성 디자인에 관한 연구
- Sound, Symbol, and Space: An Ethnosemiotic Analysis of Vernacular Soundscapes in Honghai Morning Market
- 국내 로봇 디자인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커머스 유형, 사용자 연령대, HRI(Human-Robot Interaction)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KANO 모형 기반 중국 역사 박물관의 몰입형 감성 체험 특성에 관한 분석 연구
- 광고회피 요인 분석과 대응 전략 연구 - 광고 플랫폼에 따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농촌 관광브랜드 ‘별촌’ 인지도 향상을 위한 소비자 경험 강화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 국내 백신 개발의 긴급 승인 체계 모델링 개선 연구 - 팬데믹 위기 대응을 중심으로
- 기호학적 시각에서 바라본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의 전통 신화 인물 이미지 재구성에 관한 연구 -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 <나타> 시리즈의 중심인물을 중심으로
- 노인의 인지능력에 기초한 스마트홈 인터랙션 - ‘샤오미’ 제품군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방향성 기초연구
- 농촌 시장 공간의 지역적 생활방식 문화 유전자 식별 및 주민·관광객 선호 연구 - 중국 허난 위천 시장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의 지역가치 제고를 위한 공간디자인 사례연구
- 대각선 횡단보도와 유니버설디자인의 관계 탐색 연구
- 뉴리테일 배경에서 숙주(宿州) 농산물 브랜드 디자인 향상요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다기준 의사결정 이론(MCDM)을 활용한 온라인 박물관 가상 투어의 사용자 경험 평가 연구 -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 도시브랜드 디자인 미학에 관한 연구 - 도시브랜드 로고를 중심으로
- 뉴실버세대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금융 앱 인터페이스 개선 연구 - GUI 요소와 사용성 평가를 중심으로
- 디지털 교육을 위한 국내 온라인 체험학습 VR 및 영상 콘텐츠 현황 분석
- 질문 리터러시 기반 프롬프트 교육 모델 개발 연구 -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전략을 중심으로
- 디자인전공 중국인 유학생의 학생성공을 위한 교육서비스 제안 - 디자인인씽킹 방법을 중심으로
- 디지털 전환 시대에 문제 기반 학습을 위한 디자인 교육 모델 개발과 사례 연구
- 멀티모달 감각 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한 박물관 디지털 전시 연구 동향 분석 - CiteSpace 문헌계량학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 참여적 무형문화유산관의 발전 방향 및 구축 경로 분석
- 블록체인 기반 정산·보상 시스템의 설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소상공인 추천 리워드 시스템을 중심으로
- 미스 반데 로에(Mies van der rohe) 건축디자인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 공간 특성 연구
-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몰입 관점으로 바라본 체험형 전시 공간에서의 실감미디어 활용 방안 연구
- 생성형 AI 디자인 플랫폼을 활용한 Bespoke Stationery 브랜드 로고 개발 연구 - Adobe Firefly, ChatGPT 중심으로
- 사용자 기반 스마트아이웨어 감성 품질 향상을 위한 디자인 개발 방향성 연구 - 디자인 선호도 및 감성 평가 중심으로
- 사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무인카페 키오스크 언택트 경험디자인
- 생성형 AI를 활용한 기초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3D 디자인 교육과정 연구
- 양자 얽힘 이론을 통한 회화의 감성 구조 분석 -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작품을 중심으로
-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색채 인식이 색채 기대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색채 변화반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신경미학의 시각적 단서가 브랜드 가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명품 리테일 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거주공간 유니버설디자인-보조기기 연계 필요성에 관한 기초 연구
- 인공지능과 전통 사진 예술의 융합 탐색 - 사진 표현에서 AI 기술의 영향
- 장소자산 비의존형 축제의 장소성 구축을 위한 디자인 연구 - 안산국제거리극축제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 어시스턴트의 사용자 친밀감 형성을 위한 비언어적 인터랙션 연구
- 중국 송대 주거건축의 실내 설계 연구
- 전문대학 제품디자인 교육에서 생성형 AI의 활용 - ChatGPT의 활용을 중심으로
- 중국 전통 연화문양의 상징성을 응용한 주얼리 디자인
- 지각이론을 기반한 도시공원 환경의 휴양 만족에 관한 연구 - 심양식물원(沈阳植物园)을 중심으로
- 중국 틱톡 플랫폼의 의류 및 언더웨어 브랜드 마케팅에서의 매개 및 조절 메커니즘에 관한 이중 모형 실증 연구
-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포장 디자인의 시각화에 관한 연구
- 지방자치단체 공공디자인 자체평가에 관한 연구 - 충청북도 11개 시군을 중심으로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유기적 건축과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의 연관성 연구 - 현대 건축 사례 중심으로
- 항공사 셀프체크인 키오스크 UI 비교 분석 - 인천국제공항 사례를 중심으로
- 해안 관광 목적지의 감성디자인 평가 연구 - 부산 블루라인파크를 중심으로
- 피트니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디자인 감성분석 연구
- 초현실주의의 특성과 작가연구 - 살바도르 달리, 르네 마그리트, M. C에셔를 중심으로
- 해양 문화 관광에서의 몰입형 체험 디자인 적용 평가 연구
- 헬스케어 및 의료기기 디자인 문헌 고찰 - 체계적 문헌 고찰(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PRISMA)을 통한 동향 연구 및 미래 전망
- 헤테로토피아 관점에 나타난 마르셀 반더스 공간표현 특성 연구
- 지속 가능 디자인 교육을 위한 디자인 씽킹 적용 방안 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