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O2O 공간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무신사 스토어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2O space design : focusing on Musinsa Store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이우남(Woo Nam Lee)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2(통권 35권), 94~107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디지털 네이티브 브랜드의 성장과 함께 소비자 접점이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확장되며, O2O(Online to Offiline) 전략이 단순한 유통 방식을 넘어 공간 디자인과 브랜드 경험의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오프라인 공간은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는 장소를 넘어 브랜드 정체성을 구현하고, 소비자와의 관계를 심화시키는 통합적 경험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공간 디자인이 O2O 전략과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소비자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제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무신사 스토어를 중심으로, 공간 구성, 디지털 연계, 커뮤니티 형성, 기술 도입 등의 전략이 어떻게 통합적으로 작동하는지를 분석하며, 글로벌 브랜드(Zara, Nike, ASOS)와의 비교를 통해 O2O 공간 디자인의 공통된 특성과 전략적 차별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있어 공간 디자인이 단지 물리적 장치가 아니라, 브랜드의 전략적 표현 수단이자 소비자 몰입을 유도하는 경험적 장치로 기능하고 있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실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Musinsa, which successfully implemented O2O space design strategie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space design and O2O strategies of Zara, Nike, and ASO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y provide consumer-centered personalized experiences, break down online and offline boundaries, strengthen connections with communities, and strengthen brand loyal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사례연구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우남(Woo Nam Lee). (2025).O2O 공간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무신사 스토어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 (2), 94-107

MLA

이우남(Woo Nam Lee). "O2O 공간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무신사 스토어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2(2025): 94-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